The Aesthetic Evaluative Response of Eating and Drinking Space Design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esthetic Variables and Preference by Perceptual-Cognitive and Affective Judgment-

식음 공간 디자인의 심미적 평가 반응 -지각적.감정적 판단에 따른 미적 변수와 선호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 최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부) ;
  • 권영걸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o quantitatively measure or evaluate aesthetic factors is not easy in comparison with physical, functional, behavioral or economic factors. Yet aesthetic factors essentiall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sign modeling process. Despite its importance, research on aesthetic assessment or the interaction of aesthetic influential element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preference and aesthetic variables of perceptual-cognitive dimension and affective dimension in commercial space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ubstantiation research, aesthetic variables that gi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of commercial space design are unity, order, and clarity in perceptual-cognitive dimension and 'pleasant', 'relaxing' in affective dimension. On the other side, aesthetic variables that give a nega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are contrast, complexity, and ambiguity that is a contrary concept of clarity in perceptual-cognitive dimension and 'exciting', 'arousing' in affective dimension.

디자인의 심미적 요인은 물리적, 기능적, 행태적, 경제적 요인에 비해 정량적으로 측정되거나 평가되기가 쉽지 않다. 그렇지만 심미적 요인들은 디자인 조형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심미적 가치평가나 심미적 영향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상업 공간디자인의 시각적 선호도와 지각적-인지적, 감정적 차원의 미적 변수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실증 조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업 공간디자인의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미적 변수로는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통일', '질서', '명료성'과 감정적 차원의 '기분 좋은', '편안한'을 들 수 있다. 반면, 선호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미적 변수로는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대비', 복잡성', 그리고 명료성의 반대 개념인 '불명료성'과 감정적 차원의 '호기심 있는', '긴장되는'을 들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