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Rehabilitation

검색결과 461건 처리시간 0.023초

Does a cognitive-exercise combined dual-task training have better clinical outcomes for the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an a single-task training?

  • 박진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71-83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s of the exercise-cognitive combined dual-task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Method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ercise-cognitive combined dual-task training group(n=32) or single-task training group(n=31). To identify th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general cognitive function, frontal lobe function, and attention/working memory were measured. Depression was evaluated using 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outcom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8 weeks of intervention(2 days per week). Results: After 8 weeks, general cognitive function, frontal cognitive function, attention/working memory function, depression of the dual-task trai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the single-task training group(p<0.05).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 exercise-cognitive combined dual-task training for MCI was effective in improving general cognitive function, frontal /executive function, attention/working memory function and reducing depression.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based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Service

  • Song, YoHan;Kim, JinCheol;Lee, JeongA;Han, Shin;Lim, YoonGyung;Lee, HyunMi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1권2호
    • /
    • pp.67-75
    • /
    • 2019
  • Purpose: Patients with brain damage suffer from limitations in perform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because of their motor 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impair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help improve the motor 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patients with brain damage by providing them with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The usability results of the patients and specialists group were also evaluated. Methods: The ADL contents consisted of living room, kitchen, veranda, and convenience store, similar to a real home environment, and these were organized by a rehabilitation specialist (e.g., neurologist, physiotherapist, and occupational therapist). The contents consisted of tasks, such as turning on the living room lights, organizing the drawers, organizing the kitchen, watering the plants on the veranda, and buying products at convenience store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virtual reality-based visual cognitive rehabilitation service, general elderly subjects (n=11), stroke patients (n=7), stroke patients with visual impairment (n=4), and rehabilitation specialists (n=11) were selecte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bjects who were using the service, and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individual users was obtained as dat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softw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exper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usability test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ean value of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content understanding and difficulty was high, between 4-5 points. Conclusion: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ervice of this study is an efficient service that can improve the function, interest, and motivation of stroke patients.

작업치료사의 인지재활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국내 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자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Professional Education Needs for the Competenc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Cognitive Rehabilitation: Focusing on the Professors in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of Universities/Colleges in Korea)

  • 홍승표;이희령;한대성;주유미;김영근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45-59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의 작업치료(학)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전국의 작업치료 전공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인지재활 교육 현황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의 국내 인지재활 작업치료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중 전문역량과 관련된 항목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전국 총 62개 대학 중 32개(51.6%) 대학의 39명의 교수진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은 엑셀 2010과 SPSS 18.0을 사용하여 인지재활 관련 전문역량에 대한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통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재활 관련 주요 역량별 Borich 요구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인지문제를 작업수행 관점으로 설명하는 임상적 추론 능력', '인지재활 관련 수가 청구 관련 관리 능력', '결과평가에 따른 인지재활 계획 수립 능력', '작업중심 인지중재 수행 능력', '인지재활 평가 및 중재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Locus for focus 모형에서는 작업수행에 기초한 인지재활 평가와 중재, 기록 작성 등의 항목들이 교육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작업치료(학)과에서 인지재활 교육의 현황을 인지하여 교육과 교과에 교육내용과 역량을 반영하고, 대학 졸업 후 지속되어야 하는 인지재활 전문가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의 재활치료 - 인지 재활과 연하 재활을 중심으로: 사례연구 (Occupational Therapy in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Patient by Suicidal Attempt: Case Report)

  • 이의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11-26
    • /
    • 2018
  • 목적 : 본 사례연구는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의 특징적 증상과 신경학적 회복 양상을 고려한 인지 및 연하 재활 중심의 작업치료 중재를 소개하고 중재 효과로 인한 회복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을 진단받은 32세 남성으로 치료기간은 2016년 9월 8일부터 12월 6일까지이며, 주 5회 하루 한 번 재활치료를 받았다. 작업치료는 신경학적 기전으로 인한 저산소 허혈성 뇌손상의 특징과 자살이라는 정신 건강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이루어 졌으며, 인지와 연화 재활 중심의 프로그램이었다. 인지기능은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MMSE-K),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 일상생활활동 수준은 Korean-Modified Barthel Index(K-MBI), 연하기능은 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VDS),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 (ASHA-NOMS)로 평가하였다. 결과 :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의 지연성 뇌손상 기전에 따라 인지기능 평가인 MMSE-K, CNT와 일상생활활동 수준을 평가하는 K-MBI, 연하기능을 평가하는 VDS, ASHA NOMS 결과에서 초기 평가 결과에 비해 모든 기능에서 저하가 나타났으나 회복 기전과 함께 재활 치료가 병행되며 모든 기능이 회복되어 초기 평가 수준으로 호전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자살시도로 인한 심리적 요인과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 및 연하적 요인을 고려한 일반적인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환자에게 긍정적 회복 양상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으로 인한 지연성 뇌손상이 발생한 환자에게 작업치료의 개입은 필요한 부분이며, 정신건강과 인지 및 연하기능의 중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전자펜을 활용한 인지기능장애 환자 검사 시스템 (Electronic Pen-based Cognitive Dysfunction Assessment System)

  • 신상호;지혜미;박재현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7-23
    • /
    • 2018
  • 본 논문은 인지기능장애를 동반한 환자를 검사하고, 재활치료와 인지기능 평가를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자펜 기반의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에 병원에서 널리 사용 중인 종이와 펜을 활용한 라인추종시험(Line tracing test; LTT)을 그대로 응용함으로써, 환자와 치료사가 거부감 없이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정확성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전자펜을 활용한 측정치와 사람이 직접 측정한 측정치 간의 신뢰도가 0.90으로, 효과크기는 0.38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전자펜을 활용한 검사 결과를 충분히 신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같이 신뢰성을 유지하는 반면, 검사 결과를 산출하는 시간에 있어서 사람이 직접 산출하는 경우 평균 48.2초가 소요되는데 반하여 전자펜을 기반으로 하는 방식의 경우 실시간으로 평가 결과가 기록되며 검사 종료 후 즉시(1초이내) 결과가 산출되기 때문에 시간 효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파킨슨병, 심장마비 등으로 인한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장애 검사에 활용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장애, 인지장애 및 신체상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isability, Cognitive Disorder and Body Image in Stroke Patients)

  • 홍미순;남미라;이진희;정경인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4-41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the physical disability, cognitive disorder and body image. Method: The research was a descriptive relationship study. A sample is composed of 101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05 to December, 2005. The survey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Sharon and Glen's physical disability scale, Lim's cognitive disorder scale and Osgood's body imag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 The level of physical disability the score was 2.26, cognitive disorder 1.84 and body image 3.54. and they were relation to significant correlation. The body imag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disability, cognitive disorder. Physical disabil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disorder(r=.639, p=.000),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r=-.420, p=.000). Cognitive disorder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r=-.620, p=.00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ody image by gen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age(p=.000), occupation(p=.004), education(p=.008), disease(p=.007). monthly income(p=.006), burden of medical expenses(p=.001), duration of stroke(p=.008).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disability, cognitive disorder and body image. there will be considered useful nursing intervention effect to physical disability, cognitive disorder and body image of stroke patients.

  • PDF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 적용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APAEL Smart Glove's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 김요한;박시영;정재훈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가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라파엘 스마트글러브를 적용한 실험군 15명과 전통적인 인지재활을 적용한 대조군 15명으로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중재 전 후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LOTCA, NCSE, MBI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집단 내에서 중재 전 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p>.05), 통계학적으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기존 재활치료와 같이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할 경우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운동-인지 이중과제가 인지장애를 가진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실험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s of Motor-cognitive Dual Task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with Cognitive Disorders: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신수정;박경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16-225
    • /
    • 2020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선정된 연구를 질적 분석하여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에게 실시된 이중과제의 적용방법, 결과측정방법,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등록된 연구를 검색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 PubMed, ProQuest를 이용하였으며, 검색어는'dual task' OR 'multi modal'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OR 'Alzheimer's disease' AND 'intervention' OR 'rehabilitation를 사용하였다. 최종 선정된 연구는 8편이었다. 이중과제는 단독중재로서 적용되기보다 다른 운동중재와 함께 구성된 복합중재의 부분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이중과제의 인지 및 운동과제는 각각 별개의 내용으로 서로 독립적인 과제가 대부분이었다. 평가는 MMSE, CERAD와 같은 전반적인 인지기능평가와 집행기능평가, 기억력평가 등이 포함되었고 이중과제의 직접적인 향상을 보기위하여 Dual task cost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이중과제의 연구 및 임상적 적용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감이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서가원;송영신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1-8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in addition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IADL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cross-section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3 to June 2014. A total of 143 participants without dementia, depression and disabilit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using Seoul verbal learning test (SVLT), digital span (forward/backward) and fist-edge-palm test. The Korean-IADL and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were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Overall, a multiple regression model revealed that approximately 27.4% of total variability in IADL in the sample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could be explained by the significant 12 variables in this model ($R^2=0.274$, F=5.467, p<.001). Age, having religion and cognitive function were the predictors of IADL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we need to monitor cognitive function in older to maintain the ability for IADL in older adults. Also, individualized program for improving older adults' IADL should be included in nursing intervention.

기억강화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기억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mory Intensive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Memory Performance, and Self-Esteem in Elderly People)

  • 정명숙;김정화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70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memory intensive training program on the elderly people's cognitive function, memory performance, and self-esteem. Method: Using a quasi-experimental or experimental design, 60 elderly aged over 60 years randomly assigned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mpleted pretest-post evaluatio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emory intensive training program was offered to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ree weeks (2times/week). The t-test and $X^2$-test using SAS program. Results: 1) The cogni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t=3.26, p=.002). 2) The memory performance that included immediate word recall tasks, word recognition tasks and delayed word recall task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5.30, p<.00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memory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t=5.30, p<.001). 3) The self-esteem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1.94, p=.058). Conclusion: The Memory Intensive Training Program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performance of the elderly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