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Bias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2초

Enhancement program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metacognitive training for Schizophrenia patients

  • Park, Su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96-10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lying a program to enhanc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in schizophrenic patients. We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theories of mind and attribution style, which are the social information elements of patients, and confirmed the effect of decreasing paranoid ideation. We used the theory of mind(hinting task, the false belief task), the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external bias, personal bias), and the paranoia scale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pecifically, in theory of mind, hinting task performance was improved(t=4.14, p=.000),. The scores of personal bias(t=-7.9, p=.000) and paranoid ideation(t=-2.98, p=.004) decrease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ta - cognitive training to enhanc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Between Dental Implants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 Ki, Seungkook;Yun, Jihye;Kim, Jinhee;Lee, Yunhw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2권5호
    • /
    • pp.333-343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l implants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baseline survey (2016-2017) of the Korean Frailty and Aging Cohort Study. The study sample comprised 1115 community-dwelling people aged 70 years to 84 years who had 0-19 natural teeth. Dental implants and natural teeth were identified by panoramic radiography, while the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C).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l implants and cognitive function was analyzed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for potential bias. Results: The mean number of natural teeth in the study population was 9.50 (standard deviation [SD], 6.42), and the mean MMSE-KC score was 24.93 (SD, 3.55). In the simple univariate analysis, tooth replacement, age, sex, smoking status, alcohol consumption, body mass index, osteoporosis, number of natural teeth, periodontitis, chewing discomfort, tooth-brushing frequency, education level, monthly household incom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living alone, and marital statu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ssociatio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l implants and cognitive function remained significant (B, 0.85; standard error, 0.40; p<0.05). Age, body mass index, periodontitis, tooth-brushing frequency, and education level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e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primary analysis. Conclusions: Dental implants were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Dental implants as tooth replacements may play a role in preserving cognitive function.

이부요금제하에서의 매몰비용오류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Sunk-Cost Fallacy under the Two-Part Tarriff)

  • 이상우;고창열;최선미;박준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0B호
    • /
    • pp.1192-1199
    • /
    • 2011
  • 본 논문의 목적은 기본료와 통화료로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서비스의 이부요금제 (two-part tarriff) 방식에서 대표적인 인식편향(Cognitive Bias) 중 하나인 매몰비용오류(sunk cost fallacy) 행위의 발생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매몰비용오류 발생 최소화를 위한 바람직한 요금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이용자들은 매몰비용오류에 의해 기본료를 높게 지불할수록 자신의 최적소비량보다 많은 통화량을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통신비를 지출한다. 따라서 기본료 인하는 매몰비용오류 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효용함수에 따라 최적 소비량에 근접한 통화량을 발생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인구 집단의 스케일의 확장이 집단 비율 및 집단 크기 지각에 미치는 영향: 다수편향적 사회적 정보 활용을 중심으로 (On the Effect of Extended Human Group Scale in Perception of Group Ratio and Size at Majority-biased Social Learning)

  • 장재경 ;장대익
    • 인지과학
    • /
    • 제34권1호
    • /
    • pp.39-66
    • /
    • 2023
  • 뉴미디어는 사회적 교류의 장을 인터넷으로 옮겨와 대규모 집단이 시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한 곳에서 소통할 수 있게 만들었다. 최근 연구는 인간의 사회적 능력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경험하는 확장된 집단 스케일을 따라가지 못하는 사례를 보고하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간의 사회적 정보 지각이 인구 집단 스케일의 확장에 영향을 받는지 다수편향 맥락에서 확인하였다. 인터넷 기반 과제를 통해 구성원의 수로 나타낸 집단 크기와 전체에서 특정 집단이 차지하는 집단 비율이 개인에게 지각되고 다수편향적 사회적 정보 활용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전체 집단 스케일의 확장에 각 과정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집단 비율은 다수편향에 정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 관계는 비율 지각에 의해 부분매개 되었다. 전체 집단 스케일은 집단 비율과 비율 지각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반면, 집단 크기와 다수편향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 집단 스케일은 집단 크기 지각을 조절하였다. 전체 집단 스케일이 작은 조건에서 집단 크기와 크기 지각은 양적 상관을 나타냈지만, 전체 집단의 스케일이 확장된 조건에서 지각된 집단 크기는 유의미하게 작아졌고, 두 변수는 상관을 잃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집단 크기 지각과 관련된 심리 기제가 전체 집단 스케일의 확장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집단 크기 정보를 처리하는 전문화된 심리 기제가 존재할 가능성과 다수편향이 특이적으로 받아들이는 자극의 형태를 진화심리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메타인지 정확성의 발달 차이 연구: 고등학생과 대학생 데이터 (Developmental Difference in Metacognitive Accuracy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 배진희;조혜승;김경일
    • 인지과학
    • /
    • 제26권1호
    • /
    • pp.53-67
    • /
    • 2015
  • 메타인지적 모니터링은 자신의 인지 활동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고차원적 인지과정이며, 인지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효율적인 통제를 가능하게 만든다. 신경학적으로 모니터링과 관련된 뇌 영역은 전 전두피질(PFC)로 이 영역은 발달 상 가장 늦게 완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이는 모니터링 능력이 청소년 후기에도 발달 중에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인지적 정확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인 학습에 대한 판단(JOL)을 측정함으로써 대학생과 고등학생에서 나타나는 발달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천 소재의 하늘고등학교 학생 58명과 수원 소재 아주대학교 학생 6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참가자들은 스페인어와 한국어 쌍으로 제시된 단어를 학습한 후 향후 기억 수행에 대한 판단을 하였다(JOL). 실제 점수와 예상점수(JOL)의 차를 중심으로 모니터링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자신의 점수를 실제 점수보다 더 높다고 생각하는 과잉확신(overconfidence)을 보였다. 또한, 실제 정답과 예상 점수가 떨어진 정도(absolute bias)를 측정한 결과 대학생 집단에 비해 고등학생 집단에서 모니터링의 정확성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모니터링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쉬운 문항에 비해 어려운 문항에서 더 과잉 확신하며 모니터링의 정확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고등학생 집단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어려운 과제를 할 때 고등학생 집단이 대학생 집단에 비해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확한 모니터링을 통한 학습판단은 적절한 학습전략을 선택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고등학생 집단의 모니터링 향상을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동양문화에 기반한 인지치료인 도가인지치료의 연구동향 (Chinese Taoist Cognitive Psychotherapy, a Psychotherapy based on Oriental Culture, and Related Research Trend)

  • 권찬영;최은지;정선용;김종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3-117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Chinese Taoist Cognitive Psychotherapy (CTCP), a psychotherapy based on Oriental culture, and review related research to understand its efficacy.Methods Relevant articles were searched from CNKI, WANFANG, Pubmed, EMBASE, AMED and CENTRAL.Results Thirty-seven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our inclusion criteria, which included 31 RCTs. The overall risk of bias of the RCTs was unclear or high. In the total relevant studies, the target diseases were most commonly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Generally, CTCP combined with Western medicine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prescribing medicine alone.Conclusions CTCP can be useful for several 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however, more high-quality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its efficacy.

소비자의 신념편향에 대한 도피이론적 접근 (Escape Theory Approach to Consumers' Belief Biases)

  • 한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411-421
    • /
    • 2014
  • 본 연구는 우울함이나 부정적 자아인식 등과 같은 부정적 감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인지적 협소화가 인지적 편향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도피이론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즉, 부정적 감정의 극복을 위한 도피수단의 하나로 사용되는 인지적 협소화는 행동의 장기적인 결과에 대해 고려하지 못하게 하거나 규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과장되고 비현실적인 사고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는 여기서 더 나아가 이러한 인지적 협소화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에서 벗어나는 인지적 오류, 특히 신념편향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하여 이에 대한 실증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협소화의 수준에 따라 신념편향의 발생수준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고 제시되었다.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원예치유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Activity Daily Living(ADL) in Dementia Car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 배승종;이선희;김대식
    • 농촌계획
    • /
    • 제27권4호
    • /
    • pp.97-10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to objectively identify the effect siz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activity daily living(ADL) of dementia patients. Related studie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were selected by searching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databases. The risk of bias assessment of individual studies was performed on the included 18 literatures. Horticultural therap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effective in cognitive function(effect size=1.06), depression(effect size=0.64), self-esteem(effect size=0.99), and ADL(effect size=1.98) in dementia care. It is expected that related experimental studies will be repeatedly conducted to produce a more objective effect size calculation.

만성 일차성 불면증 환자에게 적용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메타분석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rimary Insomnia: A Meta-analysis)

  • 김지현;오복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07-421
    • /
    • 2016
  • 본 연구는 만성 일차성 불면증 환자에게 적용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16개의 논문을 메타분석한 것이다.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CINAHL와 여러 개의 국내 데이타 베이스를 통해 2015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자료검색이 이루어졌다. 주요 검색전략은 인지행동중재와 불면증을 병합하여 이루어졌다. 논문의 방법론적 질 평가는 코크란의 RoB(The Cochrane's Risk of Bias)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Cochrane Library의 RevMan 5.3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16편의 논문, 1503명의 대상자가 선정기준에 부합되었다. 자극조절요법, 수면제한법, 수면위생교육과 인지적 재구성이 인지행동중재의 주요 치료적 구성요소였다. 인지행동 중재의 적용 주수는 평균 5.4주, 적용횟수 평균 5.5회, 1회 평균 중재시간 90분으로 조사되었다. 인지행동중재의 효과는 총 수면시간(d=-0.31), 수면 잠복기(d=-0.29), 입면 후 각성시간(d=-0.55), 수면효율성(d=-0.70), 불면증 심각성(d=-0.77)과 수면에 대한 신념 및 태도(d=-0.64)에 유의하였다. 전반적으로 작은 효과크기에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인지행동중재는 불안(d=-0.30)과 우울(d=-0.35)에도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행동중재가 불면증이 있는 환자들의 수면의 질과 수면시간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중재가 암환자의 통증완화에 미친 효과: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Reduce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 오복자;한숙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8-66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pain in cancer patients. Methods: Eight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0 and 2012 in Korean and ten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2 in English met the inclusion criteria with a total of 1539 participants.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ed by Cochrane's Risk of Bias for randomized studies and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 randomized stud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RevMan 5.2 program of Cochrane library. Results: Overall, study quality was moderate to high. Effect sizes were heterogeneous and subgroup analysis was don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were effective for pain (ES= -0.35; 95% CI= -0.56, -0.13). Pain education studies measured with NRS and VAS were effective for pain (ES= -0.77; 95% CI= -1.01, -0.52). Publication bias was not detected.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 the use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administered to cancer patients for their pain management. However, more well-designed studie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