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on & Emotion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8초

집단인정치료(Group validation therapy)가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Group Validation Therapy(V/T)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 장우심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23-1039
    • /
    • 2008
  • 본 연구는 집단인정치료가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집단인정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문제행동, 우울 및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상자인 치매노인 40명을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각각 20명씩 무작위 배정하였고,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와 사전검사 후 집단인정치료를 실시하였다. 이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36명의 최종 결과를 얻게 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집단인정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활동 증가, 우울 감소, 삶의 질 향상에 유의미하였으나 문제행동 감소에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집단인정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켰으며, 삶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향후 집단인정치료는 치매노인을 돕는데 효율적인 심리사회적인 치료방법으로 실무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의학의 정신 생리와 병리에 대한 소고 -황제내경의 오신, 칠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Psychophysiology and Psychopathology of Korean Medicine -Focus on Emotion and Thought in Huangdineijing)

  • 최우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1-34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heories about the psychophysiology and psychopathology of Korean Medicine. Methods: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spirit (神), soul (魂魄), five spirits (五神), and seven emotions (七情) occurring in the Huangdineijing have been interpre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ought and emotion considered. Results and Conclusions: (1) Spirit (神) refers to the source and discipline of vital activity and mental activity. (2) With soul (魂魄), ethereal soul (魂) manifests itself as the mental process, and corporeal soul (魄) as the physical sensory interaction, such as the nervous system. (3) In the five spirits, ethereal soul (魂) is the recognition process of drawing out memories. Spirit (神) is the process of creative thought. Cognition (意) is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integrate information. Corporeal soul (魄) is the process of selecting what is important and choosing it. Will (志) is the process of storing memories. Ethereal soul (魂) and corporeal soul (魄) of the five spirits (五神) and soul (魂魄) use the same characters, but the meaning differs. Also, spirit (神) and the spirit (神) in five spirits (五神) are the same character, but, because the meaning is different, they need to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ontext. (4) Heart (心), Cognition (意), Will (志), Thought (思), Consideration (慮), and Wisdom(智) are all cognitive processes, like perception, recognition, and thinking. (5) Psychopathology is when excessive emotion affects the five viscera, harming the Energy (氣) and Blood (血) and eventually affecting the five spirits, which causes problems in thinking. Therefore, for healthy mental functioning, not only must the emotions be regulated so that they do not become excessive, but the five viscera also need to be kept healthy.

불협화음의 종류가 인지간섭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sonant Chord on Cognitive Interference and Emotion)

  • 김재희;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25권1호
    • /
    • pp.55-66
    • /
    • 2022
  • 음악의 요소 중 불협화음은 많은 연구 결과에 따라 불쾌를 일으킨다고 여겨져 왔지만, 불협화음의 종류에 따른 인지적 역할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희소하다. 본 연구는 불협화음의 음정 간격에 따라 특정한 정서를 일으키는지, 인지 간섭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불협화음의 종류에 따라 다른 부정적 정서가 느껴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불협화음은 저 각성 부적정서 보다 고 각성 부적정서를 많이 일으켰다. 특히 장 7도의 음정이 다른 불협화음보다 무섭다는 응답이 유의하게 많았다. 실험 2에서는 불협화음의 불협화 정도에 따라 인지간섭에 차등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81명을 대상으로 색-단어 스트룹 과제를 실시한 결과 불협화음은 모두 소리가 없는 조건에서보다 응답 시간이 느렸고, 오답률 또한 높았다. 특히 단 2도는 실험에 사용된 불협화음 중 가장 느린 응답 시간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불협화음의 종류가 부적정서와 인지간섭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재학생의 시험선발과 자동진급방법에 따른 영재학생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ifted Students Academic Emotion, Metacognit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Gifted Students Selection Methods between the examination selection and the automatic promotion)

  • 정진숙;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278-289
    • /
    • 2015
  •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 방법이다. 즉, 시험 선발과 자동 진급에 따라 선발된 영재학생간의 학업정서, 메타인지, 자기효능감을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발 방법에 따른 영재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영재교육을 위한 영재교육대상자 판별 및 선발에 있어서의 타당한 근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선발방법에 따라 선발된 영재 학생간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연구에서는 시험 선발 영재학생과 자동 진급 영재 학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재라는 동질 집단 조건에서는 선발방법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동일한 선발된 방법에 따른 비교에서, 영재학생의 학업정서를 살펴보면, 시험선발의 경우 초등과 중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동진급에서는 중등의 영재교육기관별 분석에서 영재교육원 학생이 영재학급 학생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p<.05). 메타인지능력에서 있어서는 초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중등의 경우 시험선발에서 남학생이, 영재교육원 학생이 높았고(p<.05), 자동진급에서는 영재교육원 학생이 높았음을 알았다(p<.05). 또한 자기효능감에서는 선발 방식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단지 자동진급에서 영재교육원 학생이 영재학급학생보다 높았음을 알았다(p<.05).

  • PDF

이용자 중심의 얼굴 표정을 통한 감정 인식 TV의 상호관계 연구 -인간의 표정을 통한 감정 인식기반의 TV과 인간의 상호 작용 연구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based on cognitive user-centered television)

  • 이종식;신동희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3-28
    • /
    • 2014
  •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reactive television when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mechanism is used. Most of today's user interfaces in electronic products are passive and are not properly fitted into users' needs. In terms of the user centered device, we propose that the emotion based reactive television is the most effective in interaction compared to other passive input products. We have developed and researched next generation cognitive TV models in user center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at had been taken with Fraunhofer IIS $SHORE^{TM}$ demo software version to measure emotion recognition. This new approach was based on the real time cognitive TV models and through this approach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cognitive TV. This study follows following steps: 1) Cognitive TV systems can be on automatic ON/OFF mode responding to motions of people 2) Cognitive TV can directly select channels as face changes (ex, Neutral Mode and Happy Mode, Sad Mode, Angry Mode) 3) Cognitive TV can detect emotion recognition from facial expression of people within the fixed time and then if Happy mode is detected the programs of TV would be shifted into funny or interesting shows and if Angry mode is detected it would be changed to moving or touching shows. In addition, we focus on improving the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Furthermore, the improvement of cognition TV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is needed for the different personality of users in human to computer interaction. In this manner, the study on how people feel and how cognitive TV responds accordingly, plus the effects of media as cognitive mechanism will be thoroughly discussed.

컴패니언 로봇의 멀티 모달 대화 인터랙션에서의 감정 표현 디자인 연구 (Design of the emotion expression in multimodal conversation interaction of companion robot)

  • 이슬비;유승헌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137-152
    • /
    • 2017
  • 본 연구는 실버세대를 위한 컴패니언 로봇의 인터랙션 경험 디자인을 위해 사용자 태스크- 로봇 기능 적합도 매핑에 기반한 로봇 유형 분석과 멀티모달 대화 인터랙션에서의 로봇 감정표현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인의 니즈 분석을 위해 노인과 자원 봉사자를 대상으로 FGI, 에스노그래피를 진행하였으며 로봇 지원 기능과 엑추에이터 매칭을 통해 로봇 기능 조합 유형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도출된 4가지 유형의 로봇 중 표정 기반 대화형 로봇 유형으로 프로토타이핑을 하였으며 에크만의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을 기반으로 6가지 기본 감정에 대한 표정을 시각화하였다. 사용자 실험에서는 로봇이 전달하는 정보의 정서코드에 맞게 로봇의 표정이 변화할 때와 로봇이 인터랙션 사이클을 자발적으로 시작할 때 사용자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이야기 회상 검사(Story Recall Test: STR)와 표정 감정 분석 소프트웨어 Emotion API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정보의 정서코드에 맞는 로봇의 표정 변화 그룹이 회상 검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기억 회상률을 보였다. 한편 피험자의 표정 분석에서는 로봇의 감정 표현과 자발적인 인터랙션 시작이 피험자들에게 정서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고 선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항 센서와 기울기 센서의 융합에 의한 보행 의도 감지 (Walking Intention Detection using Fusion of FSR and Tilt Sensor Signals)

  • 장은혜;전병태;이재연;지수영;강상승;조영조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441-448
    • /
    • 2010
  • 보행보조로봇은 고령화 사회에 노인 복지 및 중증 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이동을 도울 수 있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이다. 특히, 하지 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보조로봇의 편리성을 위해서는 환자의 보행 의도를 내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환자 의지에 따라 로봇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보행 의도 감지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 먼저 저항 센서와 기울기 센서의 융합을 통하여 3족 보행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분석하였다. 저항 센서는 사용자의 양쪽 손바닥과 발바닥에 각각 부착되어, 부착된 위치의 압력을 센싱하였다. 양쪽 손바닥의 신호는 보행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발바닥의 신호는 보행 단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기울기 센서는 몸의 움직임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사용자의 등 부분, 요추에 부착되어 상체의 움직임(roll, pitch)을 센싱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가 지팡이를 바닥에 짚을 때 양 손바닥에서 측정되는 2개의 저항 신호만으로 기본적인 보행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나, 기울기 센서 정보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오른발 뻗기, 왼발 뻗기 등의 움직임을 시작하려는 상태 등에 대한 보행 의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저항센서와 기울기 센서의 융합에 기반한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감지할 수 있었다.

  • PDF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지기능 장애가 유발된 소음인 환자 치험 1례 (A Case Study about Soeumin with Cognitive Disorder from Traumatic Head Injury)

  • 조성규;배효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4-212
    • /
    • 2007
  • 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report that a Soeumin patient with cognitive disorder from traumatic head injury needed to be manag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of Nature and Emotion(性情). 2. Methods To evaluate the patient's cognition disorder and mental state, we performed the MMSE(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the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and he was diagnosed as Soeumin and treated by Kwakhyangchungki-san(藿香正氣散) mainly. 3. Results and Conclusions (1) In this case, we observed specifically-biased Nature and Emotion(性情) of Soeumin like ‘恒欲處而不欲出’, ‘恒欲爲雌而不欲爲雄’, ‘喜別人之助己也’. ‘喜好不定’, ‘不安定之心’ (2) The management of Soeumin with cognitive disorder from traumatic head injury is that he or she should live together his or her family, and have an active manner with a generous and broad-minded mental attitude. (3) A therapist must give a patient mental support and inspire him or her with courage. (4) The deviation of Nature and Emotion(性情)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we manage the patient with cognitive disorder from traumatic head injury.

  • PDF

패션 사회적기업과 공익연계마케팅의 유사한 사회적가치 추구 활동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Research on Consumer Responses to Similar Social Value Seeking Activities Conducted by Fashion Social Enterprises and Cause-Related Marketing)

  • 서민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06-520
    • /
    • 2019
  •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relationships among fashion consumer's positive emotion toward social value seeking activities (SVSA), enterprise image (EI), enterprise-perceived quality (EPQ), and purchase intention. Additionally, it demonstrates if the confirmed relationships are different in similar SVSA between social enterprise and cause-related marketing (CRM). An online experiment using a 2 (the implementation organization of social values: social enterprise vs CRM) ${\times}2$ (SVSA: support of vulnerable group vs environmental protection)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to test the established hypothese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condition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PLS-SEM) and partial least squares multi-group analysis (PLS-MGA). The results revealed that positive emotion toward SVSA directly influenced EI and purchase intention. EI and EPQ were identified as sequential mediators linking positive emotion toward SVSA and purchase intention. A finding for similarity in consumer response paths between social enterprises and CRM highlights that social enterprises need to develop a marketing strategy distinguished from CRM.

유발된 정서가 대학생의 부정적 어휘정보 처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iming Emotion among College Students at the Processes of Words Negativity Information)

  • 김충명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18-324
    • /
    • 2020
  • 본 연구는 정상 및 불안 집단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정적 어휘를 포함하는 서술어의 의미추론 과정에서 정서유형 및 부정어휘 출현의 정도가 과제처리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정서 3유형, 자극 2유형 그리고 부정어휘 횟수 3유형을 피험자 내 변인으로, 벡(Beck) 불안척도로 구분된 불안수준을 피험자 간 변인으로 혼합반복측정 설계를 적용하여 피험자 반응시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서유형과 자극의 종류 그리고 부정어휘 횟수에 대한 주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불안수준 x 부정어 횟수에서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긍정적 정서에 비해 부정적 정서에서, 비언어 자극보다는 언어 자극 환경에서 과제처리에 더 효율적이었지만, 부정어휘 변인에서는 그 횟수의 증가가 정상집단의 신속한 반응과 불안집단의 지연된 반응으로 분기되면서 부정어휘처리 반응시간의 지체로 나타났다. 또한 유입 정서유형 및 자극의 종류와 상관없이 불안수준은 과제처리 속도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추후 연구를 위한 함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