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on?Expression of Informa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SNS의 개인정보와 자기표현정보의 중요도 인지가 정보보호 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Risk Cog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elf-Expression Information on Conation of Privacy Protection)

  • 임정호;권순동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681-69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자기표현정보의 보호행동을 두 번의 연구를 통해 규명하였다. 제1차 연구에서는 연구에 자원한 88명의 대학생들에게 평소 개인정보 중요도 인지와 이를 보호하기 위한 행동의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2차 연구에서는 정보검색 전문가가 연구에 자원한 88명의 대학생들이 SNS에 공개한 자기표현정보들을 수집 조직화한 다음, 이를 자원자 각각에게 보여주어 확인하게 한 다음, 자기표현정보의 중요도와 이에 대한 정보보호 행동의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1차 조사연구에서는 개인정보 중요도 인식이 개인정보 비공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으로 공개범위축소와 법제도화요구에 영향을 미쳤다. 제2차 연구에서는 SNS 이용자들이 평소 자신의 의견이나 생활상을 SNS에 공개적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실험적 조치를 통해 이러한 자기표현정보도 누적되고 조직화되면 민감한 정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해주면, 자기표현정보 비공개, 공개범위축소, 법제도화요구의 정보보호 행동의지를 갖게 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개인정보 및 자기표현정보 보호행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자구적 보호 노력과 외부적 보호요구 노력으로 확장 세분화함으로써 SNS 상의 정보보호행동을 설명하지 못하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였다는 점이다.

A Study on Recognition of the Eroticism in Fashion Advertisement

  • Lim, Mi-Ae;Choi, In-Ryu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2권1호
    • /
    • pp.13-25
    • /
    • 2009
  • This research is progressed to look out for efficient expression-elements of eroticism used in advertisements. Since these expressions of eroticism appealing to sex which is one of the primitive instincts of mankind are increasing in advertisements of cosmetic products which are used more often by recent high-rate-growth and the elevation of living conditions. The most usual expression-elements of eroticism in advertisement are exposure, pose, fashion style, make up, hair style and color. To analyze those expression-elements we made four pieces of fashion advertisement photos with four different types and surveyed both fashion majored students and non-fashion majored students. We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We found that in eroticism, the pose was the most important cognitive feature among the expression-elements and degree of cognition are varied according to major field and sexual interest. As a result, degree of cognition which effected by expression-elements will be varied even in same advertisement. In particular, convincing that the pose was the significant factor of eroticism cognition, expression of eroticism in advertisement would be more diverse and daring.

  • PDF

STM(Short-term Memorable) Information의 속성 및 정보표현 (Attributes and Expression of STM(Short-term Memorable) Information)

  • 한지애;류시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01-21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디자인 유형 중에서 상대적으로 "노출 시간이 짧지만 정보 전달력이 강한 정보" 즉, STM 정보(Short-term Memorable Information)” 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STM 정보의 디자인 속성을 고찰하고 거시적 관점에서 디자인적 표현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STM 정보는 기능변수의 조작, 방법, 사건, 사용 예라는 네 가지 시각화 속성을 기준으로 시각적 재현 측면에서 '이해도(Understandable)', '접근성(Accessibility)' 속성이 충족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조작 측면에서는 '무오류(Errorless)', '적정성(Timeliness)' 속성이 충족되어야 한다. 각 측면에서의 거시적 표현 방법으로써, 시각적 재현 측면에서 "속성이론", "인식모형", "정보 주도성(Proactivity)의 최대화", "잉여 정보의 최소화", "이중부호의 사용"을 제안했으며, 사용자 조작측면에서 "맥락효과", 일차적 독특성을 중심으로 한 "기억부호화", "정보 주사(Scanning)"의 두 가지 방법을 제안했다. 사용자 설문 인터뷰를 통해서 앞서 제안한 8가지 표현 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확증 및 STM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인지패턴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향후에는 노출시간별 효과적인 정보 표현 및 그에 따른 응용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효과적 방향인지를 위한 유도사인에 관한 연구 -3차원 공간에서의 2차원적 방향표식을 중심으로 (Effective directional signs for the clear cognition of directions -2-D expression of directional sighs in 3-D spaces)

  • 심은미;백진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5-22
    • /
    • 2003
  • 공공시설물에서의 사인은 정확한 의미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유도사인의 경우는 우리 주위환경과 루트를 적절히 표시하고 인식시키면서 우리의 행위를 유도해 주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유도사인은 3차원적 공간의 방향을 2차원적 관점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이는 실제의 3차원 공간 속을 이동할 때 혼란을 유발시키는 한 요인으로 간주된 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유도사인의 역할을 재 검토해보고 시지각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유도사인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지하철역을 대상으로 한 의식조사를 통해 이용자의 유도사인에 대한 인지적 태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현재 이용되는 역의 유도 사인은 방향정보 전달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지 않으며, 특히 화살표의 표현방법이 재고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공간 인지적 메카니즘을 토대로, 방향 정보 전달에 있어 현행의 2차원적 화살표 표현의 문제점을 고찰한다. 이러한 새로운 모색은 효율적인 유도사인의 구축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상황인지(Situated Cognition)원리를 적용한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 방안 연구: MOO 학습환경을 중심으로 (Effe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with Situated Cognition in the MOO based Environments)

  • 이승희;서윤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64-7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 학습에서 상황인지(Situated Cognition)의 중요성을 탐색해 보고 상황인지 원리가 반영된 학습환경 중의 하나로 MOO(Multi-user Object Oriented)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른 분야에서도 그러하겠지만, 외국어 학습은 특히 학습해야 할 어휘 또는 표현법의 개념 이해를 넘어 이를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고차원적 수준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어린이가 실제 생활 속에서 주변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모국어를 습득하듯이, 상황적 맥락이 충분히 제시되는 환경 속에서 외국어를 학습해야 이를 실제상황에서 십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상황인지의 교육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교육 분야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는 MOO는 텍스트 기반의 공간적 메타포(Spatial Metaphor)를 적용한 가상현실로서, 학습과정에 상황적 맥락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매우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OO의 특성들을 활동중심, 맥락중심, 상호작용 측면에서 접근하여 외국어 학습환경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제안하였다.

  • PDF

제품 사용 경험과 선호도에 따른 감성어휘의 표현 특성 (A Characteristic of Emotional Word According to Experience Using and Preference of Product)

  • 허성철
    • 감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375-38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제품에 대한 이미지 연상과 관련된 인지 반응 특성을 파악하고, 제품 선호도 및 경험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휴대폰과 제안형 제품사진을 실험자극으로 선정하여, 연상되는 감성어휘를 표현하는 실험과 각 제품사진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두 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먼저, 사용 경험이 있는 제품에 대한 언어적 지각 반응에서는 비유 언어와 정서적 이미지의 표현을 혼용하며 선호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서적 표현의 적용이 많아진다. 두 번째는, 제품의 비사용 경험은 선호도와 관계없이 인지 대상을 단지 지각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일반적 경험 정보와 유사성을 고려하여 대응시키는 반응을 유발한다.

  • PDF

스포츠 브랜드의 캐릭터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행동 (Consumers' Cognition and Buying Behavior of Sports Brand Character)

  • 이지연;안민영;박재옥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2호
    • /
    • pp.103-11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cognition and buying behavior on sports brand character. Since the character industries are boom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source and the expression method of sports brand characters that are already known to consum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sports brand characters, living in Seoul and Kyenggi-do. The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ANOVA, Duncan Test, and Spearman′s Rh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preferred source of sports brands character was "illustrated human figure"(i.e. a famous athlete like Michael Jordan). And the most favorite expression method of character was the combination of letter and symbol as the character of ASICS and NIKE. 2. The important design factors of sports brand character were the symbolism and aesthetics. The consumer recognized NIKE as the most well-designed character design. 3. Consumers′ preference of sports brand was found to be NIKE, REEBOK, ADIDAS, and FILA, in order. The reasons for preference were the design, the brand image, and the quality. On the other hand,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brand was NIKE, FILA, and ADIDAS in order. Most of the purchase took place in the brand outlet store, and the consumers usually came with their friends for purchase of sports brand. The display of store was the consumers′ major source of information. 4. The preference group of sports brand character recognized more importantly color, design, brand, and especially fashionability than the non-preference group. And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brand selection were design, price, and comfort orderly. 5. Female consumers recognized more importantly color, design, brand, and others′ recommendations than male consumers. The aged consumers recognized importantly durability, comfort, and quality.

  • PDF

컴패니언 로봇의 멀티 모달 대화 인터랙션에서의 감정 표현 디자인 연구 (Design of the emotion expression in multimodal conversation interaction of companion robot)

  • 이슬비;유승헌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137-152
    • /
    • 2017
  • 본 연구는 실버세대를 위한 컴패니언 로봇의 인터랙션 경험 디자인을 위해 사용자 태스크- 로봇 기능 적합도 매핑에 기반한 로봇 유형 분석과 멀티모달 대화 인터랙션에서의 로봇 감정표현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인의 니즈 분석을 위해 노인과 자원 봉사자를 대상으로 FGI, 에스노그래피를 진행하였으며 로봇 지원 기능과 엑추에이터 매칭을 통해 로봇 기능 조합 유형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도출된 4가지 유형의 로봇 중 표정 기반 대화형 로봇 유형으로 프로토타이핑을 하였으며 에크만의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을 기반으로 6가지 기본 감정에 대한 표정을 시각화하였다. 사용자 실험에서는 로봇이 전달하는 정보의 정서코드에 맞게 로봇의 표정이 변화할 때와 로봇이 인터랙션 사이클을 자발적으로 시작할 때 사용자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이야기 회상 검사(Story Recall Test: STR)와 표정 감정 분석 소프트웨어 Emotion API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정보의 정서코드에 맞는 로봇의 표정 변화 그룹이 회상 검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기억 회상률을 보였다. 한편 피험자의 표정 분석에서는 로봇의 감정 표현과 자발적인 인터랙션 시작이 피험자들에게 정서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고 선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행 공공 안내표지판의 맥락적 시인성 향상을 위한 표지판 디자인 연구 (Public information signage design for driving in perspective of improving contextual visibility)

  • 이사야;조익현;김채희;이중섭;김승준;이은종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4호
    • /
    • pp.63-70
    • /
    • 2021
  • 도로 위 공공 정보를 안내하는 표지판은 짧은 시간 내에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야 하므로 해당 지점에서 적합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법령에 의해 개정된 도로표지규칙은 도로명 주소를 기반으로 하려 기존의 도로표지판과 비교할 때 정보의 종류, 표현 방법, 표현 비중 등에서 크게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명을 기준으로 달라진 개정된 도로표지판이 실제 지각-인지-이해-투영의 인지적인 관점에서 효과적인지를 분석하고 실제 주행하는 환경과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개선된 디자인을 제시하고, 기존의 도로명 위주의 표지판과 비교하여 시인성 정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표지판 내용의 적합성에 대한 정성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적합한 주행 정보와 직관적인 시인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상모델하우스의 유형에 따른 사용자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s Evaluation for the Visual Types of Virtual Model House)

  • 하지민;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60-169
    • /
    • 2011
  • In Korea, the construction company has provided houses through apartment sales system. Residents have obtained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ir future house by visiting a sample house called "the model house" before they purchase home. Advanced technology such as web-based VOD or Virtual Model in recent years has gradually replaced those built environment. In 2009,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nounced the restraint to the construction of sample houses. Instead, they highly recommended a Virtual Model House as an alternative solution. This study aimed to propose how to design the user-oriented virtual model house through the experiment and survey research. The 3D virtual model house of 85m$^2$ apartment was built and presented by two types (Type A: Bird's Eye View, Type B: Walk through View) on the web page. The subjects evaluated presence, spatial perception and cognition, and usability of each type after exploring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evaluation of presence showed Type B has more negative effects than Type A such as feeling dizzy or tired even if their values were not so high. (2) The subjects perceived and cognized both types of virtual model house more realistic for the expression of volume of space, the size of opening, and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than that of wall finishes and materials. (3) The usability of Type 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ype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