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 information signage design for driving in perspective of improving contextual visibility

주행 공공 안내표지판의 맥락적 시인성 향상을 위한 표지판 디자인 연구

  • 이사야 (한동대학교 문화미디어디자인학과) ;
  • 조익현 (한동대학교 문화미디어디자인학과) ;
  • 김채희 (한동대학교 문화미디어디자인학과) ;
  • 이중섭 (한동대학교 콘텐츠융합디자인학부) ;
  • 김승준 ;
  • 이은종 (한동대학교 콘텐츠융합디자인학부)
  • Received : 2021.11.15
  • Accepted : 2021.11.29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Public Signs guiding drivers on the road should help make decision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o appropriate information should be effectively expressed at the point. Currently, the road marking rules revised by the law show a significant change in the type of information, expression method, and weight of expression compared to existing road signs to be based on road name addresse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revised road signs changed based on the road name were effective in perspective of perception-cognition-understanding-projection and examined whether they provided appropriate information for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esent an improved design, evaluate the degree of visibility compared to existing road name-oriented signs, and a qualitativ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suitability of the sign content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more suitable driving information and measures to increase intuitive visibility can be reviewed.

도로 위 공공 정보를 안내하는 표지판은 짧은 시간 내에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야 하므로 해당 지점에서 적합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법령에 의해 개정된 도로표지규칙은 도로명 주소를 기반으로 하려 기존의 도로표지판과 비교할 때 정보의 종류, 표현 방법, 표현 비중 등에서 크게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명을 기준으로 달라진 개정된 도로표지판이 실제 지각-인지-이해-투영의 인지적인 관점에서 효과적인지를 분석하고 실제 주행하는 환경과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개선된 디자인을 제시하고, 기존의 도로명 위주의 표지판과 비교하여 시인성 정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표지판 내용의 적합성에 대한 정성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적합한 주행 정보와 직관적인 시인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연구개발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R2019020082)

References

  1. 변재형, "청각장애 운전자의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자동차 내 청각정보 유형 분석", Smart media journal, vol. 10, no. 1, pp. 70-78, 2021년, 3월
  2. 심미희, 류시천. "빅데이터 통계그래픽스의 유형 및 특정 - 인지적 방해요소를 중심으로", Smart media journal, vol. 3, no. 3, pp. 26-35, 2014년 9월
  3. 바뀐 안내표지판은 여전히 혼란스러워(2017). http://www.shanews.com/news/article View.html?idxno=319379 (accessed Oct,. 04, 2021).
  4. 김승현, 고영준. "도로안내표지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한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18권, 제3호, 102쪽, 2019년 9월
  5. "현행 도로 표지판 설치, '효율성 떨어진다' 지적" (2020). http://www.joongdo.co.kr/web/view.php?key=20200423010008158 (accessed Oct,. 04, 2021).
  6. 이건표,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 18호, pp. 137-150, 1996년 12월
  7. 김상욱, "도로명 안내체계 표지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vol. 31, pp. 183-192, 2011년 5월
  8. 정현정, 류시천 "자연물을 모티브로 활용한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기법", Smart media journal, vol. 3, no. 2, pp. 20-28, 2014년 6월
  9. Schober, P., Boer, C., & Schwarte, L. A. "Correlation coefficients: appropriate use and interpretation" Anesthesia & Analgesia, vol. 126, no. 5, pp. 1763-1768, May, 2018. https://doi.org/10.1213/ane.0000000000002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