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de Translatio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4초

GML과 벡터 그래픽 기반의 GML 문서 편집 및 변환 시스템 (GML document editing and translation system based on GML and vector graphic)

  • 김창수;조용순;조태범;방진숙;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5-648
    • /
    • 2009
  • 정보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편화에 따라 지리정보의 활용분야가 다양해지고 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지리정보 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 구축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 데이터는 서로 표준화 되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저작도구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는 상호운용 가능한 표준화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기술하는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을 제안하였고 W3C에서는 벡터 기반의 SVG(Scalable Vector Graphics)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 데이터처리를 위한 XML 기반의 GML 데이터를 벡터 그래픽 객체로 생성하고 그래픽 객체들을 통해 GML 문서를 생성하는 코드 변환기를 정의하여 벡터 그래픽을 XML 기반의 논리구조로 변환하는 GML 문서 편집 및 변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메타서비스 온톨로지 자동 생성을 위한 번역기 개발 (Development of a Translator for Automatic Generation of Ubiquitous Metaservice Ontology)

  • 이미연;이정원;박승수;조위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91-203
    • /
    • 2009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간의 상황을 고려한 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전 연구를 통해 메타서비스 개념과 기술 규격,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 구축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제안한 프로세스는 각 단계에서 UML, OWL, OWL-S 기반의 분리된 모델을 생성하게 되고 모델간의 변환을 위한 일정한 체계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다양한 온톨로지 언어와 온톨로지 편집 도구들, 제안한 메타서비스 규격에 대한 전문가의 개입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문가도 일관된 모델을 생성하고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수 있도록 OWL 형식의 도메인 온톨로지에서 OWL-S 형식의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로의 자동 변환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시각 도구를 개발한다.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 변환 프로세스는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OWL 모델과 메타서비스모델을 조합하여 메타서비스 라이브러리에 대한 OWL-S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val-Apply 모델의 STGM에 기반하여 지연 계산 함수형 프로그램을 자바로 컴파일하는 기법 (Compiling Lazy Functional Programs to Java on the basis of Spineless Taxless G-Machine with Eval-Apply Model)

  • 남병규;최광훈;한태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5호
    • /
    • pp.326-335
    • /
    • 2002
  • 최근에 지연 계산 함수형 언어를 자바 프로그램으로 변환함으로써 지연 계산 함수형 언어 프로그램에 대해 코드 이동성을 제공하려는 연구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자바와 지연 계산형 함수형 언어의 추상 기계가 가지는 구조적 유사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지연 계산 함수형 언어에 대한 추상 기계인 STGM(Spineless Tagless G-machine)과 자바 언어에 대한 추상 기계인 JVM(Java Virtual Machine)은 기억장소 재활용 체계와 스택 기계 구조를 가진다는 점에서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가지의 지연 계산 함수형 언어로부터 자바로의 변환 구조는 이와 같은 추상 기계 구조상의 공통점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TGM의 계산 모델을 eval-apply 모델로 새로이 정의함으로써 STGM과 JVM의 공통점을 충분히 이용하는 새로운 변환 구도를 제안한다. 새로이 제안된 변환 구도에서는 자바 스택(Java Virtual Machine Stack)을 사용하여 함수 계산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스택 시뮬레이션으로 인해 나타나는 자바에서의 배열 접근 부담을 제거하였다. 본 논문의 변환 구도에 의해 자바로 변환된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은 기존의 변환 구도에 의해 변환된 경우보다 JDK 1.3에서 빠르게 동작한다.

메타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DTD 기반 XML 문서 변환기의 골격 원시 코드 생성 (Skeleton Code Generation for Transforming an XML Document with DTD using Metadata Interface)

  • 최귀자;남영광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4호
    • /
    • pp.549-55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목표 문서의 DTD에 정의된 구조에 따라 원시문서를 목표 문서로 변환하는 XML 문서변환기와 골격 원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생성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코드를 추가하거나 프로그램을 변경하고, 외부 클래스나 라이브러리 파일들을 연결하여 자신이 원하는 방법으로 쉽게 문서를 변환할 수 있다. 생성된 프로그램은 목표 DTD 경로(path)를 기준으로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가독성이 높다.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XML 문서변환은 XSLT를 이용하거나 XQuery를 이용하여 Java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있으나, 각 요소별로 코드를 조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가 원시/목표 문서에서 제공되는 DTD 혹은 문서에서 자동으로 추출된 DTD를 이용하여 원소 사이의 관계를 지정하면 자동적으로 문서가 변환되고 Java 원시 프로그램을 생성하기 때문에 코드 생성과정이 매우 단순하다. 메타데이터 인터페이스는 Java GUI를 이용하여 트리 형태로 표현된 DTD의 원소를 클릭하여 쉽게 생성할 수 있다. 문서변환을 위한 매핑은 원소의 특성에 따라 1:1, 1:N, N:1로 구분되며 데이터의 분해 혹은 합성을 위한 사용자 지정 함수가 메타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저장된다. 본 시스템은 실제 사용되고 있는 논문 XML 문서를 서지문서로 변환한 결과 및 프로그램 코드를 예제로 구현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C# MSIL 코드의 Oolong 코드 번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lation of C# MSIL Code into Oolong Code for Embedded Systems)

  • 최성규;정지훈;이양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983-986
    • /
    • 2003
  • 마이크로소프트사는 .NET 플랫폼을 개발하면서 C/C++의 강력함과 자바나 비주얼 베이직의 높은 생산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결합한 프로피래밍 언어인 C#을 만들었다. C#은 컴파일 과정을 거치며 자바의 바이트 코드와 같은 중간 언어인 MSIL 코드를 갖는 파일을 출력하게 되는데, C# 이외에도 모든 .NET 언어들은 컴파일과정을 거치면서 MSIL 코드를 얻기 때문에 여러 .NET 언어들을 이용해서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사의 자바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이며, 컴파일러에 의해 플랫폼에 독립적인 바이트 코드를 바이너리 형태로 가지고 있는 클래스 파일을 생성하면 JVM에 의해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에 독립적으로 수행이 가능한 차세대 언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적용을 위해 C#을 컴파일 하여 나오는 중간 언어 형태인 MSIL 코드를 자바의 중간언어의 한 종류인 Oolong 코드로 변환해 줌으로서 C#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이 자바 플랫폼에서 JVM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는 MSIL-to-Oolong 번역기 시스템 구현하였다.

  • PDF

백트란 코드화를 위한 프로그램 변환과 단순화 (On the Program Conversion and Conditional Simplification for VECTRAN Code)

  • 황선명;김행곤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8-49
    • /
    • 1994
  • 기존 포트란 프로그램을 벡터 처리 가능한 코드인 벡트란으로 변환시키는데 있어 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루프내에서 제어의 분기가 발생하는 경우 조건적 전달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조건적 전단이란 어떤 문장의 실행이 다른 문장내의 변수 값에 의 해 이루어지는 제어 의존성으로, 본 논문은 루프내부의 조건적 제어를 제거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조건적 할당문을 이용하였을 때 그 내부의 복잡한 조건에 대한 단순화 알 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때 조건적 할당문의 조건은 부울 변수(2-상태)뿐 아니라 3가지 이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n-상태변수를 통하여 나타낸다.

  • PDF

The questionable effectiveness of code accidental eccentricity

  • Ouazir, Abderrahmane;Hadjadj, Asma;Gasmi, Hatem;Karoui, Hatem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3권1호
    • /
    • pp.45-51
    • /
    • 2022
  • The need to account for accidental torsion in seismic design is no longer debatable, however, the seismic codes' requirement for accidental eccentricity has recently faced criticism. In order to get as close to real conditions as possibl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accidental torsion in symmetric RC multistory buildings caused by one of its many sources, the torsional earthquake component, and compared the results to those obtained by using the accidental eccentricity recommended by the codes (shifting the center of mass). To cover a wide range of frequencies and site conditions, two types of torsion seismic components were used: a recorded torsion accelerogram and five others generated using translation accelerograms. The main parameters that govern seismic responses, such as the number of stories (to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all modes of vibration) and the frequency ratio (Ω) variation, were studied in terms of inter-story drift and displacement responses, as well as torsional mo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eccentricity ratio of 5% required by most codes for accidental torsion should be reexamined and that it is prudent for computer analysis to use the static moment approach to implement the accidental eccentricity while waiting for new seismic code recommendations on the subject.

Protein tRNA Mimicry in Translation Termination

  • Nakamura, Yoshikazu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1년도 Proceedings of 2001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83-89
    • /
    • 2001
  • Recent advances in the structural and molecular biology uncovered that a set of translation factors resembles a tRNA shape and, in one case, even mimics a tRNA function for deciphering the genetic :ode. Nature must have evolved this 'art' of molecular mimicry between protein and ribonucleic acid using different protein architectures to fulfill the requirement of a ribosome 'machine'. Termination of protein synthesis takes place on the ribosomes as a response to a stop, rather than a sense, codon in the 'decoding' site (A site). Translation termination requires two classes of polypeptide release factors (RFs): a class-I factor, codon-specific RFs (RFI and RF2 in prokaryotes; eRFI in eukaryotes), and a class-IT factor, non-specific RFs (RF3 in prokaryotes; eRF3 in eukaryotes) that bind guanine nucleotides and stimulate class-I RF activity. The underlying mechanism for translation termination represents a long-standing coding problem of considerable interest since it entails protein-RNA recognition instead of the well-understood codon-anticodon pairing during the mRNA-tRNA interaction. Molecular mimicry between protein and nucleic acid is a novel concept in biology, proposed in 1995 from three crystallographic discoveries, one, on protein-RNA mimicry, and the other two, on protein-DNA mimicry. Nyborg, Clark and colleagues have first described this concept when they solved the crystal structure of elongation factor EF- Tu:GTP:aminoacyl-tRNA ternary complex and found its overall structural similarity with another elongation factor EF-G including the resemblance of part of EF-G to the anticodon stem of tRNA (Nissen et al. 1995). Protein mimicry of DNA has been shown in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uracil-DNA glycosylase-uracil glycosylase inhibitor protein complex (Mol et al. 1995; Savva and Pear 1995) as well as in the NMR structure of transcription factor TBP-TA $F_{II}$ 230 complex (Liu et al. 1998). Consistent with this discovery, functional mimicry of a major autoantigenic epitope of the human insulin receptor by RNA has been suggested (Doudna et al. 1995) but its nature of mimic is. still largely unknown. The milestone of functional mimicry between protein and nucleic acid has been achieved by the discovery of 'peptide anticodon' that deciphers stop codons in mRNA (Ito et al. 2000). It is surprising that it took 4 decades since the discovery of the genetic code to figure out the basic mechanisms behind the deciphering of its 64 codons.

  • PDF

Legacy 실시간 소프트웨어의 운영체제 호출을 Ada로 번역하기 위한 방법론 (A Methodology for Translation of Operating System Calls in Legacy Real-time Software to Ada)

  • 이문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11호
    • /
    • pp.2874-2890
    • /
    • 1997
  • 이 논문은 운영체제에 대한 호출들로 표현된 소프트웨어의 병렬성을 Ada로 번역하기 위한 방법론을 기술하고 있다. Legacy 소프트웨어들에 내재하는 병렬성은 주로 병렬 Process 또는 task들을 제어하는 운영체제 호출들로 표현된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예로서는 C 프로그램내부에서 사용하는 Unix 운영체제에 대한 호출과 더불어 CMS-2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ATES나 SDEX-20 운영체제의 Executive Service Routine들에 대한 호출들을 볼 수 있다. 소프트웨어 이해를 위한 다른 연구에서는 legacy 소프트웨어에 있는 운영체제호출을 또 다른 운영체제에 대한 호출로 번역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런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이해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가 수행되는 운영체제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런데 이런 운영체제는 보통 매우 복잡하거나 체계적으로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의 연구는 legacy 소프트웨어에 있는 운영체제호출을 Ada 메커니즘을 이용한 동일한 프로토콜로 번역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다. Ada로의 번역에 있어 이러한 호출들은 메시지에 기초한 kernel 중심 구조의scheme에 맞는 의미적으로 동일한 Ada 코드로 대표된다. 번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데이터 구조, task, Procedure, message들을 위해 library에 있는 template들을 사용한다. 이 방법론은 소프트웨어 재 ${\cdot}$ 역공학측면에서 운영체제를 Ada로 modeling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이다. 이 방식에는 소프트웨어 이해를 위하여 기존 운영 체제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legacy 소프트웨어에 내재했던 운영체제에 대한 종속성이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번역된 Ada 소프트웨어는 여러 Ada실행환경 에서 이식이 가능하고 또한 소프트웨어들간에 상호작동성이 좋다. 이 방식은 다른 legacy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운영체제호출들도 처리할 수 있다.

  • PDF

DEX2C: Translation of Dalvik Bytecodes into C Code and its Interface in a Dalvik VM

  • Kim, Minseong;Han, Youngsun;Cho, Myeongjin;Park, Chanhyun;Kim, Seon Wook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4권3호
    • /
    • pp.169-172
    • /
    • 2015
  • Dalvik is a virtual machine (VM) that is designed to run Java-based Android applications. A trace-based just-in-time (JIT) compilation technique is currently employed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Dalvik VM. However, due to runtime compilation overhead, the trace-based JIT compiler provides only a few simple optimizations. Moreover, because each trace contains only a few instructions, the trace-based JIT compiler inherently exploits fewer optimization and parallelization opportunities than a method-based JIT compiler that compiles method-by-method. So we propose a new method-based JIT compiler, named DEX2C,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by finding more opportunities for both optimization and parallelization in Android applications. We employ C code as an intermediate product in order to find more optimization opportunities by using the GNU C Compiler (GCC), and we will detect parallelism by using the Intel C/C++ parallel compiler and the AESOP compiler in our future work. In this paper, we introduce our DEX2C compiler, which dynamically translates Dalvik bytecodes (DEX) into C code with method granularity. We also describe a new method-based JIT interface in the Dalvik VM for the DEX2C compiler. Our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our compiler and its interface achieve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by up to 15.2 times and 3.7 times on average, in Element Benchmark, and up to 2.8 times for FFT in Smartben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