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dY

검색결과 2,893건 처리시간 0.04초

건설 현장 내 비점오염원 처리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Treatment in Construction Site)

  • 최영화;김창용;김효상;오지현;정설화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69-75
    • /
    • 2010
  • 강우 시, 건설 현장 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경우 타 오염 물질 대비 부유 물질 부하량이 매우 높게 나타나며 강우 강도에 대한 민감도가 공사 초반의 경우 매우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을 저감할 수 있는 시설로 가설형 비점오염원 처리 시설과 여과형 처리 시설이 있다. 가설형 시설의 경우 전반적으로 비점오염원에 대한 저감 효율이 제한적이며, 여과형 처리 시설의 경우 동력의 소모가 높고, 공간적 효율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점오염원 처리 시설의 단점을 해소하고 보다 높은 비점오염원 처리 효율을 확보하기 위해 조립식 응집 침전 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여 비점오염원 처리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조립식 응집 침전 시스템의 경우 가설 형식이나 여과형 처리 시설 대비 매우 높은 처리 효율을 나타내며, 공간적 효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점오염원 발생 인근 지역의 수계 오염 방지 및 민원 발생 방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립식 응집 침전 시설의 현장 적용 시, 최적의 비점오염원 저감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발생 비점오염원의 농도에 따라 적정 응집제 주입량 산정 및 슬러지 순환 시설의 적용 및 지속적인 유지 관리를 통한 침전 슬러지의 계면 높이 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천-아크릴아마이드 미생물 고정화법에 의한 폐수 중 폴리비닐알콜의 분해 (Degradation of Polyvinyl Alcohol in Dye-Processing Wastewater by Agar-Acrylamide Microbial Immobilization Method)

  • 김재훈;김정목조무환
    • KSBB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241-248
    • /
    • 1995
  • 염색가공 폐수 중 난분해성 물질이 PYA를 처리 하기 위하여, 한천-acrylamide를 이용한 bead를 제 조한 후 air-lift 반응기에서 연속실험을 행하였다. 합성폐수의 PYA놓도가 $3,100mg/\ell$. 체류시간 24hr일 때 유출수의 농도는 $4500mg/\ell$ 이며, 제거효율은 85% 이상을 나타내었다. 실제 호발폐수의 경우 PYA 및 COD농도가 $3,253mg/\ell$, $4,500mg/\ell$일 때, 체류시간 24hr에서 유출수의 농도는 $840mg/\ell, 480mg/\ell$이며, 제거효 율은 81.3%와 85.2%로 각각 나타났다. bead의 지름이 lmm일 때는 내부의 미생물 성장 이 양호하였으나 bead의 지름이 2mm일 때는 기질 과 산소전달저항에 의하여 반지름의 48% 이상은 미 생물의 성장이 저해를 받았다. 고정화 반응기에서 전체 기질 제거속도 중 bead 내 고정화 cell의 제거 분율은 평균 70%로 나타났다. 현탁 반응기에서 희석율 $0.083hr^{-1}$ 이상에서는 기질 이용속도가 감소하였으나 고정화 반응기에서는 희석율 $0.125hr^{-1}$까지 거의 선형척으로 증가하였다. PYA 제거속도식에서 포화상수 $K_s=6.60(g PVA/\ell)$와 최대 비기질 이용속도 k=0.175(g PVA/g cell.hr)를 얻었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유가공 슬러지의 가용화 (Solubilization of Dairy Sludge using Ultrasonic Pretreatment)

  • 문상재;전병철;최진택;남세용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44-248
    • /
    • 2017
  • 본 연구는 유가공 슬러지의 경우 하수 슬러지, 기타 산업폐수 슬러지에 비해 중금속 등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높은 유기물 함량으로 슬러지 가용화를 통한 재활용의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으나 활발히 연구가 되지 않고 있어 초음파 전처리를 이용하여 재활용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1. 유가공 슬러지와 축산 슬러지를 20 kHz의 주파수와 700 W, 500 W의 조사강도, 조사시간 90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고형물 변화를 비교한 결과, 유가공 슬러지의 TS와 VS 제거율이 28%, 14% 감소하였으며, 축산 슬러지는 13%, 7% 감소하였다. 2. SCOD 변화는 동일한 조건의 초음파 처리 시 유가공 슬러지의 경우 7.1배, 5.9배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축산 슬러지의 경우 4.9배, 4.0배로 나타났다. 슬러지 가용화 효율은 유가공 슬러지의 14.5%, 12.1%의 가용화 효율을 보였으며, 축산 슬러지의 경우 10.6%, 8.6%로 나타났다. SCOD 증가속도 또한 유가공 슬러지의 경우 $0.022m^{-1}$, $0.020m^{-1}$, 축산슬러지의 경우 $0.021m^{-1}$, $0.018m^{-1}$의 증가속도를 나타내었다. 3. Soluble N 농도의 변화는 유가공 슬러지의 경우 90분간 초음파 처리 후 3.4배, 2.2배 증가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축산 슬러지의 90분간 초음파 처리 후 3배,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N 비의 경우 유가공 슬러지가 7.5, 8.7을 나타냈고, 축산 슬러지는 5.7, 6.4로 나타났다. 유가공 슬러지의 경우 TS, VS 감량을 통한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SCOD의 증가량이 많아 C/N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가공 슬러지의 가용화를 통한 외부탄소원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향후 전처리방법의 조합 및 최적 처리조건 도출 등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새만금 갯벌의 입도조성과 유기물질 분포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 Composition and Organic Matter Distribution for Tidal Flat Sediments in the Saemankeum Area)

  • 유선재;김종구;조은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9-54
    • /
    • 2003
  • 새만금 갯벌의 입조조성 및 유기물질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1999년 갯벌 91개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입도의 특성을 보면 새만금 갯벌은 사질이 우세하였고, 세립한 제이차 혼합물인 실트질이 추가된 반면 Clay 함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평균값의 범위는 $4.60\~10.90\;{\phi}$이었고 분급도 범위는 $-0.1\~1.75\;{\phi}$이었다. 그리고 왜도의 범위는 $-1.0\~0.92\;{\phi}$이었으며 첨도의 범위는 $0.27\~6.75\;{\phi}$를 보였다. 그러므로 새만금 방조제 공사에 의해 갯벌은 심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기물질과 관련된 항목을 살펴보면, ORP의 범위는 -133$\~$200 mV로 평균 73 mV의 산화 상태를 나타내었지만 전체 91개 지점 중 24개 지점에서 환원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CODs의 농도범위는 $17.54\~6,176.25\;mg/kg$을 보였고 총탄소와 총황의 비 (S/C)는 0.02$\~$0.45 (평균0.24) 범위를 보였다. 그러므로 새만금 갯벌은 아직까지는 육상에서 유입되는 인위적인 유기 오염물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새만금 갯벌은 사질이며 육상에서 유입되는 유기물 오염이 낮아 수산생물 생육 장소로 적합하므로 계속 보존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조사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동진강 상류하천 유역의 수질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Upper Stream Watershed of Dongjin River)

  • 손재권;박종민;최진규;송재도
    • 농촌계획
    • /
    • 제9권2호
    • /
    • pp.19-28
    • /
    • 2003
  •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tream water quality in upper stream of Dongjin river, and to giv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Water samples were taken periodically at 9 sampling sites during 8 months from March to October in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water temperature and pH of stream water were ranged $9.0{\sim}29.4^{\circ}C,\;6.48{\sim}9.33$, respectively. The COD values of stream water was ranged from 0.60 to 19.06. The contents of T-N and T-P mainly affected by the livestock wastes, and agricultural activity were $1.88{\sim}6.74\;mg/L$, ND(not deleted)${\sim}0.50\;mg/L$, respectively. 2. The SS, DO and BOD values of stream water were ranged $0.4mg/L{\sim}274.0mg/L$, $0.5{\sim}6.0\;mg/L$, and $7.3{\sim}13.7\;mg/L$ respectively. 3. The 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in analysis of stream water quality. The contents of analysis, $Ca^{++},\;Mg^{++},\;Na^+$ and $K^+$ were ranged $1.96{\sim}11.08\;mg/L$, $1.21{\sim}6.16\;mg/L$, $3.38{\sim}18.44\;mg/L$, $1.12{\sim}7.96\;mg/L$, respectively. SAR was ranged $0.31{\sim}1.63$ below 2.0. The contents of cation showed in the order $Na^{++}>Ca^{++}>K^+>Mg^+$. 4. The contents of heavy metal Zn, Cu, and Pb were $ND{\sim}0.071\;mg/L$, $ND{\sim}0.012\;mg/L$, and $ND{\sim}0.043\;mg/L$, respectively. Cd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5. As a result of these researches showed water quality in upper stream watershed of Dongjin river more affected by livestock wastes and living sewage than agricultural activity.

판별분석을 통한 농촌유역 소하천의 수질등급모형(WQLM)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ater Quality Level Model (WQLM) for the Small Streams of Rural Watersheds with Discriminant Analysis)

  • 김진호;최철만;류종수;정구복;신중두;한국헌;이정택;권순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0-265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lement water quality standards and to establish new concept for water quality standards reflecting current state of water quality in small streams. By this purpose,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and Water Quality Level Model (WQLM) was developed using the data such as EC, BOD, $COD_{Mn}$, SS, T-N, T-P, $NH_3-N$ in 224 agricultural streams. To give water quality level for water quality parameters, it divided into 20%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excellent water quality. On the basis of the lowest water quality level, water quality level of small streams is granted. As a result of it, number of stream corresponding to Level I was no, Level II was 2 streams, Level III was 22 streams, Level IV was 70 streams, and Level V was 130 streams. Average of water quality in each level was the highest in Level V. EC, SS, and T-N of 7 parameters were selected in variance concerned water quality level. By standardized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 coefficient, EC of three variances was the highest in 0.625 at the discriminant power. The next was T-N (0.509), SS (0.414). By discriminant function for water quality level, Level II was equal to $-2.973+19.376{\times}(EC)+0.647{\times}(T-N)+0.009{\times}(SS)$, Level III was equal to $-3.288+19.190{\times}(EC)+0.733{\times}(T-N)+0.041{\times}(SS)$, Level IV was equal to $-4.462+27.097{\times}(EC)+0.792{\times}(T-N)+0.053{\times}(SS)$, and Level V was equal to $-9.117+40.040{\times}(EC)+1.305{\times}(T-N)+0.111{\times}(SS)$. As a result of test at real agricultural watershed of Jeongan and Euidang in Gongju city, the fitness of WQLM was high to 88.78%. But, to get accomplished water quality assessment more exactly in agricultural streams, we had to concentrate and get vast data, and WQLM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continually.

고래회충유충증 107례 보고 및 어류감염 실태 조사 (Gastric anisakiasis cases in Cheju-do, Korea)

  • 임경일;신호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79-186
    • /
    • 1995
  • 고래흰충유충증은 바다 포유동물에 기생하는 고래회충과(과)의 유충이 인체의 소화관 특히 위(위)와 소장에 침입하여 발생되는 질병으로 범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급성복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바닷고기 생식여부를 조사하고 위내시경을 관찰하여 위점막내로 뚫고 들어가는 고래회충과 유충을 적출하여 동정함으로써 진단하였다. 1989년 6월부터 3년간 남자 60명 여자 47명의 고래회충유충증 환자를 찾아내었다. 주요 증상은 상복부통, 급성복통. 구토 등이었고. 바닷 고기를 생식하고 4시간 내지 1일 이내에 증상이 생겼고. 대부분 1-3일 후 유충을 제거하였다. 위 내시경 관찰을 하였더니 유충들은 위의 몸체에서 제일 많이 발견되었고 유충이 침입한 위점막으로 부터 출혈. 부종. 미란 등이 관찰되었다. 적출된 유충 90마리 중 82마리가 고래회충(Anisakis simplex)의 유충이었다. 문진을 통해 확인된 환자가 생식한 어종으로는 조기. 바닷장어. 히라스, 오징어가 많았다. 농수산물센타에서 임의로 구입한 5가지 바닷고기에서 고래회충과 유충을 조사하였더니 고등어와 우럭에서 검출되었고. 내장 및 복부 근육에서 고래회충(Anisokissi simplex)과 물개 회충(Pseudotewqnova deipiens)의 유충 등이 검출되었다.

  • PDF

마산만 가포지역 인공갯벌의 유기물 및 영양염 수지 (Organic Matter and Nutrient Budget of Constructed Tidal Flat in Gapo Area of the Masan Bay, Korea)

  • 안순모;백봉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411-419
    • /
    • 2003
  • 마산만에 연한 가포지역은 1990년에서 1994년 사이에 이루어진 마산만 준설공사 시 오염퇴적물이 투기된 지역으로서, 인공갯벌 조성에 따른 자연정화능력과 저서생태계의 반응을 살필 수 있는 이상적인 연구 장소이다. 이곳의 유기물과 영양염의 유동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2001년 말부터 2002년 초까지 4차례에 걸쳐서 1-조석 주기 동안 l시간 간격으로 해수를 채취하였다. 3차원 해저지형도에서 시각별 해수 유동량을 추정하고 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각 시간동안 물질의 유입과 유출을 구하였다. 1-조석주기 동안 총유입량과 총유출량을 비교하여, 순유입, 유출을 추정하였다. 유기물의 양을 대표하는 화학적산소요구량은 2001년 10월과 12월 그리고 2002년 4월에 2.2∼3.9 g m$^{-2}$ h$^{-1}$로 순 유출 되었고 2002년 3월에만 1.4 g m$^{-2}$ h$^{-1}$의 순유입이 있었다. 암모니움 이온은 모든 계절에서 0.1∼118 mg m$^{-2}$ h$^{-1}$의 순유출을 나타냈다. 본 조사 기간 중 가포지역의 인공갯벌은 유기물이 분해 되기보다는 생성되는 곳이었다. 그러나 유동량은 조사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여, 가포지역이 유기물 분해에 기여하는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조사가 필요하다.

산란계에 있어서 계분의 배설량과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Quantity and Characteristics of Excreta Produced by Laying Hen)

  • 최희철;이덕수;강희설;곽정훈;최동윤;한정대;김형호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9-44
    • /
    • 2001
  • 산란계의 분 배설량과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축산기술연구소 환경조절축사에서 산란계 초생추 45수, 19주령과 55주령 산란계 48수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란계 육성기 12주령시 배분량은 95.1g이었으며 수분함량은 77.5%였다, 도한 산란기 1일 사료섭취량은 105.1~122.9g이었고 음수량은 193.1~222.5$m\ell$였으며 분 배설량은 143.3~144.8g이었고 계분의 수분 함량은 74.7~80.5%였다. . 계분 중의 N 함량은 4.49~5.52%, ;$P_2O_5$는 육성기 1.22, 산란기 2.19~2.34%였으며 TEX>$K_2O$;는 1.23~3.52%였다. CaO는 육성기에 1.36%로 낮았으나 산란기에는 7.42~9.02%로 높았다. 3. 산란계 계분의 수질오염물질 농도는 $BOD_5$ 30.122, $COD_{MN}$$\ell$였으며, 중금속농도는 Cu 2~5mg/$\ell$, Pb 5.43~6.23mg/$\ell$으로 낮았다. 4. 무창계사의 여름철 계분의 수분함량은 65.4%로 자연환기 개방계사 계분 81.3%보다 낮았다.

  • PDF

돈분뇨슬러리 폭기시 담체 설치효과 (The Effect of Media Application in Aeration Tank for Aerobic Treatment of Swine Slurry)

  • 정광화;조승희;곽정훈;김재환;정의수;정만순;강희설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7-174
    • /
    • 2010
  • 본 시험은 돈분뇨 슬러리�l 액상처리효과를 증시키기 위하여 담체를 활용한 폭기조 운영조건 변화에 따른 처리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OD와 COD의 제거효율은 일반 관행폭기에 비해 담체 처리구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담체 중에서도 섬유상 담체에서 그 제거율이 높았다. SS의 경우는 관행 폭기처리구보다 담체 적용구에서 그 변화정도가 적었다. 반면에 질소의 제거율은 담체 적용에 의해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2. 슬러지 침강성과 농축성을 나타내는 SVI 값은 대조구에서 나타난 25%에 비해 담체 적용구가 높았으며 섬유상 담체적용구에서 45%의 가장 높은 감소정도를 보였다. 3. 관행 폭기구에서의 슬러지 발생량을 100으로 기준하여 볼 때 섬유담체에서 약 85% 정도의 슬러지 발생량을 보임으로써 각 처리구중에서 슬러지 발생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담체를 적용한 경우 슬러지중의 휘발성 고형분 함량이 일반 관행 폭기구에서 발생한 슬러지보다 더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