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balt ion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5초

음이온 계면활성제 미셀형성을 이용한 중공사 한외여과막 시스템에서의 코발트(Co)이온 제거 (Removal of Co++ Ion in the Hollow Fiber Ultrafiltration System using Anion Surfactant Micellar Enhancement)

  • 양현수;한광희;최광순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09-117
    • /
    • 1996
  •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미셀을 이용하여 한외여과막에서의 금속이온의 제거 기술은 분리공정이 간단하고 상변화가 필요없어 폐수로부터 중금속과 작은 분자량의 분자들을 제거할 수 있는 최근에 발전된 기술이다. 임계미셀농도 이상에서 계면활성제 분자들은 서로 모이고 거대분자 또는 미셀을 형성한다. 양이온의 코발트 이온과 음이온 계면활성제 미셀과의 정전기적인 결합으로 크기가 커진 거대분자가 한외여과막에서 제거되었다. 막투과압력차는 한외여과막에서의 금속의 제거율에 비교적 작은 영향을 끼치는 반면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금속염간의 비(S/M)는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 PDF

Clostridium autoethanogenum을 이용한 합성가스 발효에 대한 중금속의 영향 (Effect of Heavy Metal on Syngas Fermentation Using Clostridium autoethanogenum)

  • 임홍래;권록규;박소은;김영기
    • 공업화학
    • /
    • 제31권4호
    • /
    • pp.423-428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합성가스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용하는 Clostridium autoethanogenum 배양에서 배지 성분 중 금속이온의 농도가 균주 성장과 대사산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 autoethanogenum 배양에 사용되는 기본 배지구성 성분의 금속이온 종류 중 molybdenum, nickel, cobalt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성분들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균주 성장과 에탄올, 아세트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Molybdenum은 0, 0.001, 0.01, 0.1 g/L농도를 시험하였으며 0.001 g/L에서 에탄올 생산량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시험한 농도 범위 내에서 뚜렷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Nickel은 0, 0.001, 0.01, 0.1 g/L의 농도 범위에서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0.01 g/L 농도에서 에탄올 생산농도가 기본 배지 농도인 0.1 g/L에서보다 26%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balt는 0, 0.018, 0.18, 1.8 g/L 농도 범위에서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기본 배지 조건인 0.18 g/L의 이상의 농도에서는 균주 성장이 약간 저해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연구에 사용된 세 가지 금속이온 성분 중 cobalt는 배지 내 성분 농도에 따른 에탄올 생산농도 향상을 이루지 못하였으나, molybdenum, nickel은 기본 배지 내 일반적인 농도의 1/10을 사용함으로써 에탄올 생산농도 향상을 이룰 수 있었다.

Mode of Cell Death and Molecular Change of Oral Squamous Carcinoma Cells Exposed to Metal Ions

  • Kim, Hyung-Il;Baek, Chang-Jun;Kim, In-Ryoung;Kim, Hyung-Keun;Park, Hae-Ryou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1권1호
    • /
    • pp.15-20
    • /
    • 2006
  • Concerns remain regarding the biocompatibility and adverse effects of dental casting alloy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ytopathogenic effect of metal ions, which might be released from dental alloys, on oral squamous carcinoma(OSC) cells. The cellular morphology, viability, the type of cell death and molecular change in response to metal ion salt solutions including aluminum(Al), cobalt(Co), copper(Cu) and nickel(Ni) were examined. The $TC_{50}$ values for the metal ions with the exception of AI were estimated to be between 400 and $600{\mu}M$. The cells treated with the metal ions showed apoptotic change with the exception of Al ions. Metal ion-induced apoptosis was further confirmed using flow cytometric analysis. This study showed that the cytotoxicity and the mode of cell death by metal ions clearly depend on the cell type, the type of metal ion and the duration of exposure. The protein level of Rb, a tumor suppressor that affects apoptosis para-doxically, was higher in the cells treated with Co, Cu and Ni. It is believed that apoptosis and cell damage in the OSC cells treated with Co, Cu or Ni can be evoked by the regulation of Rb.

포도당(葡萄糖) 이성화(異性化) 효소(效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三報) 분리(分離) 선정(選定)된 균주(菌株) 효소(酵素)의 작용(作用)에 미치는 금속염(金屬鹽)의 영향(影響)에 대(對)해서- (Studies on the Glucose Isomerizing Enzyme -Part III The Effects of Metal Ions on the Reaction of K-17 Strain's Glucose Isomerizing Enzyme-)

  • 서정훈;김종규;기우경;이인구;권태종;우두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55-61
    • /
    • 1969
  • 본(本) 연구(硏究)에서 사용(使用)한 K-17 균주(菌株)의 효소생성(酵素生成)및 그의 금속염(金屬鹽) 등(等)에 대(對)한 영향(影響)등(等)을 요약(要約)하면 대략(大略) 다음과 같다. 1. 본(本) 균주(菌株)는 Glucose Isomerizing Enzyme 생성(生成)에 있어서 Xylose를 절대적(絶對的)으로 요구(要求)하지 않는다. 2. 본(本) 효소(酵素)는 Free Incubation 상태(狀態)에서는 $75^{\circ}C$, 30시간(時間)의 가열(加熱)로서 대부분(大部分)의 효소(酵素)가 실활(失活)된다. 3. 금속(金屬) Ion 중(中) $Mg^{++}$는 효소작용(酵素作用)에 있어 일종(一種) 의 Activator로 작용(作用)하며 $Co^{++}$는 Activator로 서의 작용(作用)은 없고 효소(酵素)의 열(熱) 실활(失活)을 보호(保護)하는 작용(作用)을 나타낸다. 4. 본(本) 효소작용(酵素作用)에 있어서 Glucose의 용매(溶媒)로서는 Phosphate Buffer가 가장 우수(優秀)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5. 본(本) 균주(菌株)의 효소(酵素) 생성(生成) 배지(培地)로서는 탄소원(炭素源)으로서 주어지는 당류(糖類)의 혼용(混用)이 단용(單用)에 비(比)해 균체(菌體)의 수량(收量)이나 효소능(酵素能)이 다같이 높아짐을 알게 되었다.

  • PDF

옥수수 일차뿌리에서 TIBA가 brassinolide에 의해 유도된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BA on the Brassiolide-induced Gravitropic Response in the Primary Roots of Maize)

  • 강병희;박지혜;김종식;장수철;김성기;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39-1144
    • /
    • 2009
  • 옥수수 뿌리에 BL을 처리하면 양성굴중성 반응이 촉진되고, ethylene 생성도 증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BL에 의해 유도된 굴중성 반응과 ethylene 생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ethylene 생성 억제제인 $10^{-4}$ M AVG를 처리하면 ethylene 생성은 90% 이상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13% 정도 억제되었다. AVG를 BL과 함께 처리한 뿌리는 ethylene 생성은 약 60%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대조구 보다 증가하였다. 다른 ethylene 생성 억제제인 cobalt ion을 처리하면 ethylene 생성은 약 10% 정도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억제되지 않았다. BL과 cobalt ion을 함께 처리한 뿌리는 ethylene 생성이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증가되었다. 이러한 BL의 효과가 auxin transport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uxin transport inhibitor인 TIBA를 처리하였다. $10^{-5}$ M TIBA와 BL과 TIBA를 함께 처리한 경우(BL+TIBA), ethylene 생성은 각각 96%, 132% 증가하였으나 굴중성 반응은 모두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BL, TIBA 그리고 IAA를 함께 처리한 뿌리 (BL+TIBA+IAA)는 음성굴중성 반응을 나타냈으나 뿌리 생장은 오히려 증가시켰으며, 이는 수평으로 있는 뿌리에서 IAA가 아랫면으로 transport 되지 못하고 윗면에 축적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BL이 뿌리 내에 존재하는 IAA의 차등분포에 영향을 주어 양성굴중성 반응을 촉진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동전기적방법을 이용한 TRIGA 연구로 주변 토양내의 세습과 코발트 제거 (Removal of Cesium and Cobalt within Soil around TRIGA Reactor by Electrokinetic method)

  • 김계남;원희준;정종헌;오원진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13-23
    • /
    • 2004
  • 동전기적방법을 사용하여 TRIGA 연구용 원자로 주변 세슘 및 코발트제거 특성을 분석하고 토양컬럼 내의 pH 상승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전기장을 높이기 위해 NaCl 용액이 전해질로 사용되었을 때, 토양컬럼 음극주변에 침전물이 형성되어 낮은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그래서, pH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초산완충액을 토양컬럼에 주입하고, 초산을 주기적으로 음극저수조에 주입했다. 초기제염기간 동안 전기삼투보다는 전기이동에 의해 많은 세슘과 코발트가 제거되었다. 토양컬럼 내의 총 세슘 중 96%가 5.9 일 동안 제거되었고, 총 코발트 중 94%가 제거되었다. 또한, 개발된 모델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험결과와 거의 일치했다.

  • PDF

Studies on Interaction of Essential Metal Ions with Bioactive Ligands

  • Tewari, Brij Bhush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6호
    • /
    • pp.809-812
    • /
    • 2004
  • Complexation reactions of nitrilotriacetate (NTA) and penicillamine with $Cu^{2+}$ and $Co^{2+}$ have been studied in solution phase using paper electrophoresis technique. The stability constants of the complexes Cu(II)-nitrilotriacetate-penicillamine and Co(II)-nitrilotriacetate-penicillamine have been found to be $6.64{\pm}0.03\;and\;5.86{\pm}0.05$ (logarithm stability constant values), respectively at 35$^{\circ}C$ and ionic strength 0.1 M.

흡착 교질 포말부선법에 의한 Cobalt Ion의 제거 (Removal of Cobalt Ion by adsorbing Colloidal Flotation)

  • 정인하;이정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3호
    • /
    • pp.3-10
    • /
    • 1998
  • 모의폐액으로 제조한 50ppm의 코발트이온을 Fe(III) 및 Al(III)의 응집제와 sodium lauryl sulfate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흡착 교질 포말부선법으로 제거하였다. 용액의 pH, 계면활성제 농도, Fe(III) 및 Al(III) 농도, 공급기체의 유속 등을 변수로 하여 실험한 결과, Fe(III)를 응집제로 사용한 경우 초기 코발트이온농도 50ppm, pH 8.5, 공급기체유속 $70mell$/min, 제거시간 15분 등의 조건에서 99.8%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코발트 이온 제거에 앞서 모의폐액에 35% $H_2O_2$를 첨가하여 폐액을 전처리하였다. 그 결과, 최적 pH 및 처리 후 잔존용액의 pH가 낮아졌고, 넓은 범위의 pH에서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Fe(III) 50 ppm을 사용하여 코발트이온과 공침시킨 후 20ppm의 Al(III)를 첨가한 결과, Fe(III) 또는 Al(III)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였던 경우에 비하여 제거 가능한 pH 범위가 더욱 더 확대되었다. 이 현상은 zeta potential 의 증가 및 공침효과의 상승요인으로 추측되었다. $NO_3^-$, $SO_4^{2-}$, $Na^+$, $Ca^{2+}$를 첨가하여 외부이온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SO_4^{2-}$가 0.1M 함유된 코발트용액을 Fe(III) 및 Al(III)를 사용하여 처리한 결과 제거효율은 99%를 나타내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subsp. spizizenii의 sirohydrochlorin chelatase SirB의 코발트 복합체 구조 (Cobalt complex structure of the sirohydrochlorin chelatase SirB from Bacillus subtilis subsp. spizizenii)

  • 남미선;송완석;박순철;윤성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23-130
    • /
    • 2019
  • Chelatase는 tetrapyrrole에 2가 금속을 삽입하는 데 관여하는 효소로서 cobalamin, siroheme, heme, chlorophyll과 같은 금속-tetrapyrrole의 생합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SirB는 sirohydrochlorin(SHC) tetrapyrrole의 중앙부에 코발트나철을 삽입하여 코발트-SHC 또는 철-SHC를 형성하는 SHC chelatase이다. SirB의 금속 결합 기전 및 SHC 인식 기전을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Bacillus subtilis subsp. spizizenii에서 유래한 SirB(bssSirB)의 코발트 복합체 구조를 규명하였다. bssSirB는 N-말단 도메인(NTD)과 C-말단 도메인(CTD)으로 구성된 ${\alpha}/{\beta}$ 단량체 구조를 형성한다. bssSirB는 NTD와 CTD 사이에 서열 보존성이 높은 공동을 지니며 NTD의 histidine 잔기 2개를 이용하여 공동 상단에서 코발트 이온과 상호작용한다. 또한 구조 비교 분석 결과 bssSirB는 공동 내에 SHC 분자를 수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구조적 발견에 기초하여 bssSirB의 공동은 SHC의 코발트 삽입이 이뤄지는 활성 부위임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