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ting index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6초

졸겔법에 의한 알루미나 박막의 제조 및 특성 (III) 저반사 코팅유리의 제조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umina Thin Film by Sol-Gel Method (III) Preparation of Anti-Reflective Coating Glass)

  • 이재호;최세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7-62
    • /
    • 1995
  • The coating condition of reproducible anti-reflective coating film and the light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anti-reflective coating glass were investigated as a study for the preparation of single-layer anti-reflective coating glasss. In case of coating with the sol in which the solvent was substituted with the ethanol with the addition of 0.1 mol HNO3, the coated glass showed the minimum value of the refractive index of 1.464, light transmittance of 94.2% at 550nm standard wavelength which is 3.2% higher than that of the parent glass, and the reflectance in the entire wave range of visible light. The refractive index represented its minimum at the sol concentration of 1.0 mol per 100mols of water and the higher the sol concentration, the higher the refractive index,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e light transmitance. The production condition of the reproducible anti-reflective coating on glass with the maximum transmittance of 94.2% was 4cm/min of withdrawal speed, 40$0^{\circ}C$ and 1 hour of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resulting in the film thickness of 94nm.

  • PDF

폴리머 안경렌즈의 반사방지 코팅효과 연구 (A Study on the Anti-Reflection Coating Effects of Polymer Eyeglasses Lens)

  • 김기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16-221
    • /
    • 2017
  • 폴리머 안경렌즈를 제조할 때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되는 빛을 증가시키고, 안경렌즈 표면에 형성되는 허상을 방지하는 반사방지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굴절률 1.56, 1.60 및 1.67을 갖는 안경렌즈를 폴리머 렌즈 모노머 및 이염화 이부틸 주석 촉매제, 알킬 인산 에스터 이형제 등의 혼합물을 인젝션 몰드 방법으로 열중합 공정을 적용하여 제조하였다. 폴리머 안경렌즈 표면에서의 반사방지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층 박막 반사방지 코팅 구조(양면 또는 단면 코팅), 3층 박막의 Gaussian gradient-index profile 불연속 근사 반사방지 코팅 구조, 3층 박막의 quarter-wavelength 근사 반사방지코팅 구조 등 다양한 반사방지 코팅 구조를 설계하였고, E-beam 증착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중합공정으로 제조된 폴리머 안경렌즈에 각각 코팅하였다. 폴리머 안경렌즈의 광학적 특성은 UV-visible spectrometer로 분석하였다. 반사방지 코팅 층을 구성하는 박막의 굴절률, 표면 거칠기 등의 소재 특성은 Ellipsometer와 원자힘 현미경(AF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굴절률 1.56의 낮은 굴절률을 갖는 폴리머 안경렌즈에서 가장 효과적인 반사방지 코팅 구조는 다층 박막 반사방지 코팅 구조의 양면코팅이었다. 하지만 굴절률 1.67의 고굴절률 안경렌즈에 대해서는 3층 박막의 Gaussian gradient-index profile 불연속 근사반사방지 코팅 구조의 양면 코팅도 다층박막 반사방지 코팅구조의 양면코팅에 상응하는 반사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로부터 고굴절 하드코팅 도막의 제조 (Preparation of Hard Coating Films with High Refractive Index from Titania Nanoparticles)

  • 김남우;안치용;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762-769
    • /
    • 2015
  • 직경 2~3 nm 크기를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가 산성 용액에서 titanium tetraisopropoxide(TTIP)의 가수분해 반응을 조절함에 의해 합성되었다. 생성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를 졸-겔법에 의해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GPTMS)과 반응시킴에 의해 유-무기 혼성 코팅 용액이 제조되었다. 그 후 코팅 용액을 기재인 polycarbonate(PC) 시트 위에 스핀 코팅시키고, $120^{\circ}C$에서 열경화 시켜 고굴절률 하드코팅 도막이 제조되었다. 코팅 도막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90%의 높은 광학적 투과율을 보였으며 2H의 연필경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코팅 용액 내의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함량이 4%에서 25%로 증가됨에 따라 코팅 필름의 굴절률은 633 nm 파장에서 1.502로부터 1.584로 향상되었다.

구배형 굴절률 반사방지막 연구 (The Study on the Graded Index Antireflection(AR) Coating)

  • 김창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65-570
    • /
    • 2017
  • 우수한 반사방지막을 얻기 위하여 코팅 층의 구조를 나노입자구조로 만들어 코팅 층에 입사하는 빛을 분산시키거나, 코팅 층의 매질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굴절률을 제어하여 반사율을 낮추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코팅 층의 굴절률 분포를 변화시켜 우수한 반사방지막을 얻는 방법 중 기존논문에서 제시되었던 5차 함수의 굴절률 분포와 제안하는 구배형 굴절률 분포의 반사방지막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반사방지막 구조는 각각 3, 6, 9층 구조로서 총 두께 180 nm 이고, 입사파의 파장 범위는 300 nm ~ 1100 nm 이다. 각 각 서로 다른 층수에서 반사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단층인 경우의 전달매트릭스를 구하고 3, 6, 9층의 구조에서의 반사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 3층의 구조 일 때 제안하는 구배형 굴절률 분포가 약 600 nm ~ 1100 nm 파장 범위에서 5차 함수의 굴절률 분포보다 더 낮은 반사율을 보였다. 향후 이 결과는 가시광선(적색)과 근적외선 영역에 사용되는 광소자 및 광 필터에 응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구강관리행동과 구강환경에 의한 구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litosis by Oral Care Behavior and the Oral Environment)

  • 정수진;이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29-637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관리행태와의 연관성과 설태지수, 치석, 스케일링 전후의 구강환경에 따른 구취변화를 알아보고자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K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스케일링 실습을 위해 내방한 참여자 130명을 대상으로 설태지수와 구취를 조사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조사대상자에 대하여 설문조사, 설태지수와 치면세균막과 치석정도를 측정한 구강검사, 구취측정 등을 하였다. 그 결과 설태가 구취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설태지수는 흡연과 혀 닦기와 관련이 높았다. 또한 구취는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낮은 수치를 보였고 비외과적 치료인 스케일링을 통해 구취감소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나이와 설태지수가 관련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적절한 구강관리를 실천하여 치태과 설태의 양을 줄이고 정기적인 스케일링을 받음으로써 구강건강증진은 물론 구취감소의 효과를 얻어야 할 것이다.

굴절률 분포에 따른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 반사방지막 설계기술 연구 (The Study on the Antireflection(AR) Coating Design Scheme According to the Index Profile in the Thin-Film Silicon Solar Cell)

  • 김창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139-414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향후 태양전지 반사방지막에 적용여부를 알기 위하여 굴절률 분포에 따른 반사방지막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기존논문에서 제시되었던 1차, 3차 및 5차 함수의 굴절률 분포를 6층 구조의 두께 180 nm 반사방지막에 적용하고 각 굴절률 분포에 대한 반사율을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새로운 구배형 굴절률(graded index) 구조를 제안하였고, 제안한 구조와 기존의 1차, 3차 및 5차 함수의 반사율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써, 굴절률 분포가 고차 함수로 갈수록 반사율이 대체적으로 감소하였고, 구배형 굴절률 분포의 경우는 짧은 파장대(500 nm ~ 700 nm 이하)에서는 1차, 3차 및 5차 함수보다 더 높은 반사율을 보였고, 긴 파장대(700 nm 이상 ~ 800 nm)에서는 더 낮은 반사율을 보였다. 따라서 긴 파장대에서는 구배형 굴절률 분포가 기존의 1차, 3차, 5차 함수인 경우보다 더 좋은 반사방지막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 결과는 긴 적색 가시광선에서 적외선 영역에 적용되는 광소자 및 광필터에 적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표면도포제에 따른 수복용 글라스 아이오노머 세멘트의 표면조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SURFACE ROUGHNESS OF GLASS IONOMER CEMENT BY SURFACE COATING AGENT)

  • 최병재;황동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15-92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surface roughness of glass ionomer cement during initial setting time followed by applying surface coating agent. No other finishing or polishing procedure is done and each surface coating agents (varnish, adhesive, gloss, sealant) are used after filling of glass ionomer cement. Surface roughness indices(Ra) are measured and surface contours are obtained electronically by Surfcorder SEF-30D(Kosaka laboratory Ltd., Jap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During initial setting time, surface roughness increases slightly regardless of surface coating agents. But it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05) 2. Among surface coating agents used, Ra indices of group using varnish are high significantly compared to other groups regardless of elapsed time.(p<0.05) Among the groups which has used other surface coating agents except for the varnish group, similar Ra index all over the experiment is obtained,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no agent). 3. If no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tri-cure glass ionomer cement (Vitremer) has higher Ra Index than light cure glass ionomer cement (Fuji II LC) (t<0.05).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Ra index if any kinds of agents are applied except for sealant. (t>0.05)

  • PDF

피복지수에 의한 목초종자 피복제의 물리적 특성 평가 (Evalua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ating Materials for Forage Seed Coating by Coating Index)

  • 이성운;허삼남;김택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62
    • /
    • 2004
  • 종자피복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인 CFclear(CF), arabic gum(AG), cethylmethyl cellulose(UC), polyvinyl alcohol(PVA), polyvinyl pyrrolidone(PVP), hydroxy propyl cellulose(HPC), methyl cellulose(MC)와 고형물질로 bentonite(B), kaolin(K), calcium carbonate(CC), peatmoss(PM), talcum(T), vermiculite(V), zeolite(Z), calcium hydroxide(CH), plaster(PT), calcium phosphate((PP)를 공시하여 제조한 피복종자의 품질과 물리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Red clover 종자는 CF나 PVA에서 회수된 단립 종자 무게가 높았으며, 충격에 의한 피복층의 탈락성은 AG, CF, PVA에서 제일 낮았다(P<0.01). 피복종자의 백립중은 CF 피복종자가 제일 무거웠다. Tall fescue종자는 CF에서 회수된 단립 종자 무게가 높았으며(P<0.01), 충격에 의한 피복층의 탈락성은 AG, CF, PVA에서 제일 낮았다(P<0.01). 피복종자의 백립중은 CF 피복종자가 제일 무거웠다. Red clover는 V나 V+T(1 : 1)로 피복된 종자에서 회수된 단립 피복종자 무게가 제일 높았으며 tall fescue에서는 V+T(1 : 1)로 피복된것이 제일 높았다(P<0.01). 접착제별 피복지수는 두 초종 공히 CF나 PVA로 피복한 종자가 여타 접착제로 피복한 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1). 고형물질별 피복지수는 red clover는 V나 V+T(1 : 1)로 피복한 종자에서 높았으며 tall fescue는 T, V, V + T(1 : 1로 피복한 종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종자피복에 있어서 red clover와 tall fescue 공히 접착제는 CF나 PVA로 하고 고형물질은 V나 V+T(1:1)로 피복함으로서 가장 좋은 피복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입사각에 따른 반사방지막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ntireflection Coat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ngle of Incidence)

  • 김창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131-4136
    • /
    • 2015
  • 본 논문은 반사방지막의 성능을 더 정확히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방법과 달리 반사방지막에 수직입사가 아닌 입사각이 $8^{\circ}$에서 $60^{\circ}$까지 변화한다고 가정하고 단층 구조와 다층 구조의 반사방지막의 평균반사율을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입사파의 파장범위를 400 nm ~ 1200 nm 라고 가정하고, 분석에 사용된 반사방지막의 구조는 두께 180 nm인 1차 및 5차 함수의 굴절률 분포를 갖는 6층 구조와 균일한 굴절률 분포를 갖는 단층구조이다. 분석 결과로써 180 nm 단층구조의 경우 평균반사율이 19.6 % 이고, 같은 두께의 6층 구조의 1차 함수 굴절률 분포에서는 14.2 % 이고, 5차 함수 경우에는 11.6 %의 결과를 얻어 균일한 굴절률 분포의 단층구조 보다 5차 함수 굴절률 분포를 갖는 6층 구조의 경우 약 8%의 반사율 감소 효과를 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광소자 및 광 필터에 적용되는 반사방지막 제작에 용용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Chitosan Coating이 계란의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Coating on Quality of Egg during Storage)

  • 이신호;노홍균;정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88-293
    • /
    • 1996
  • Chitosan의 막형성능을 이용하여 계란의 저장성 증진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세척란과 미세척란을 chitosan용액 1%와 2%를 이용하여 coating 처리하여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난중 감소율, yolk index, Haugh unit 및 유화력 등을 측정하여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난중 감소율은 chitosan 처리에 의해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Yolk index와 Haugh unit 측정결과 chitosan의 처리효과는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난황의 유화력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hitosan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Chitosan coating의 농도별 처리는 계란의 저장중 무처리구에 비해 품질보존 효과가 점차 뚜렷하였으며, 미세척란 보다 세척란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