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ted material

검색결과 1,693건 처리시간 0.035초

표면전하 거동 조절을 이용한 탈크-실리카 복합체의 제조 (Preparation of Talc-Silica Composites by Controlling Surface Charge Behavior)

  • 윤기훈;박민경;문영진;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6-124
    • /
    • 2017
  • 색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무기안료 탈크와 소수성 실리카의 제타전위 차를 조절하여 표면처리된 판상 무기안료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탈크는 색조 화장품의 처방에서 주로 쓰이는 판상 무기물질로서 피부에 대한 발림성과 퍼짐성을 갖는 백색 안료이다. 또한 분산성과 신장성이 우수하며, 내열성, 내광성, 내화학성 등에 안정하다. 실리카는 일반적인 색조화장품에서 화장의 지속성을 높여주며 제형에서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탈크와 소수성 실리카를 각각 양이온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표면전하를 조절한 후 제타전위 차를 이용하여 탈크 표면에 소수성 실리카를 표면처리하여 무기안료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무기안료 복합체는 소수성 실리카가 탈크 표면 위에 $1{\mu}m$ 이하로 코팅되어 있으며 효과적인 소수성을 띤다. 무기안료의 표면전하 분석을 위해 제타전위를 측정하였고, 계면활성제 표면처리된 안료는 FT-IR 로 계면활성제의 작용기를 확인하였다. 무기안료 복합체의 표면은 SEM, EDS, FIB 등으로 관찰하였으며, XRD, FT-IR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나노 납/활성탄을 사용한 ISG용 울트라 전지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Ultra Battery Anode Material using the Nano Pb/AC for ISG)

  • 황진웅;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593-59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과 납 전구체를 사용하여 나노 Pb/AC 복합소재를 제조한 후, 울트라 전지용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나노 Pb/AC 복합소재는 활성탄에 나노 Pb 입자를 흡착시킨 후 감압 수세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소재의 물리적 특성은 SEM, BET, EDS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1740m^2/g$, 1.95 nm의 비표면적과 평균 기공크기를 얻었다. 울트라 전지의 음극은 납 극판에 나노 Pb/AC를 딥코팅하여 제조되었다. 울트라 전지는 이산화납을 사용한 양극과 나노 Pb/AC 복합소재 음극을 사용하였으며 전해액은 5M의 황산용액($1.31g/cm^3$)을 사용하였다. 전기화학적 성능은 충 방전, 순환전압전류, 임피던스, 사이클 테스트를 통해 조사되었다. 제조된 나노 Pb/AC를 이용한 울트라 배터리는 기존의 납 축전지와 AC를 코팅한 납 축전지보다 개선된 초기 용량과 사이클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나노 Pb/AC의 적절한 첨가가 수소발생 반응이 억제됨에 따라 용량 및 장기 사이클 안정성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임플란트-지대주-나사의 적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T OF THE IMPLANT-ABUTMENT-SCREW INTERFACE)

  • 김낙형;정재헌;손미경;백대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03-518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about considerable variations in machining accuracy and consistency in the implant-abutment-screw interface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chining accuracy and consistency of implant/abutment/screw combinations on two randomly selected implants from each of four manufactures. Material and methods : In this study, screws were respectively used to secure a cemented abutment, to a hexlock implant fixture ; teflon coated titanium alloy screw(Torq-Tite) and titanium alloy screw in Steri--Oss system, gold-plated gold-palladium alloy screw(Gold-Tite) and titanium alloy screw in 3i system gild screw ana titanium screw in AVANA Dental Implant system, and titanium screws in Paragon System. The implants were perpendicularly mounted in polymethyl methacrylate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block(Orthodontic resin, Densply International Inc. USA) by use of dental surveyer. Each abutment screw was secured to the implant with recommended torque value using a digital torque controller. Each screw was again tightened after 10 minutes. All samples were cross sectioned with grinder-polisher unit(Omnilap 2000 SBT Inc) after embeded in liquid unsaturated polyester (Epovia, Cray Valley Inc) Results : There were the largest gaps in the neck areas of screws in hexagonal extension implants which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leading edge of the abutment screw thread (superior surface) was in contact with the implant body thread, and the majority of the contacting surfaces were localiz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mating threads. Considerable variation in the contacting surfaces was noted in the samples evaluated. Amounts of contact in the abutment screw thread were larger for assemblies with Gold-Tite screw, gold alloy screw. Torq-Tite screw than those with titanium screws. The findings of intimate contact between the screw and screw seat were seen in all samples, regardless of manufacturers. However, microgap between the head and lateral neck surface of the screw and the abutment could be dectected in all samples. The findings of intimate contact between the platform of the implant and the bottom of the abutment were consistent in all samples, regardless of manufacturers. However, microgaps between the lateral surface of external hex of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could be dectected in all samples. Conclusion : Considerable variations in machining accuracy and consistency were noted in the samples and the implant-abutment-screw interfaces were incomplet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development of the system will be required, including improvements in pattern design.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추출물을 첨가한 사료의 급이가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장, 혈액성상 및 식세포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plemental Asterias amurensis Extract in the Experimental Diets on Growth, Blood Chemistry and Superoxide Production of Kidney Phagocytes of Sebastes schlegeli)

  • 박희연;임치원;김연계;최태진;윤호동;이가정;서연경;김지영;박기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62-366
    • /
    • 2007
  • 수산 해적생물인 불가사리의 주정추출물을 농도별로 사료에 첨가하여 조피볼락의 성장, 혈액성상 및 식세포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불가사리추출물의 함량이 다른 사료를 급여한 조피볼락의 1일성장율(SGR), 사료계수(FCR), 비만도(CF), 생존율(SR)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불가사리추출물에 의한 먹이 기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료를 코팅을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불가사리추출물이 조피볼락의 체내 대사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 중의 glucose, total cholesterol의 함량과 GOT를 측정한 결과, glucose와 total cholesterol의 함량은 불가사리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혈청 GOT는 실험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불가사리추출물이 독성이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불가사리추출물 첨가사료의 급이가 조피볼락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식세포의 활성산소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불가사리추출물의 첨가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불가사리추출물은 면역증강 기능성 사료첨가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월동 피복재 종류에 따른 참다래 주간부 표면 온도변화 (The Influence of Insulation Wraps on the Temperature Change of Kiwifruit Trunk Surface During Winter)

  • 곽용범;김홍림;김성철;김목종;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3-408
    • /
    • 2014
  • 난온대성 낙엽과수인 참다래는 겨울철 동해에 민감하여 주산지역에서도 월동기에 주간을 피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참다래 재배에서 월동기 주간부 동해 예방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피복재의 온도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경남 사천의 5-6년생 '헤이워드' 과수원에서 이루어 졌다. 사용된 피복재는 볏짚과 은박쿠션 2종류였으며, 낙엽후인 12월 하순에 설치하여 이듬해 4월 중순에 제거하였다. 피복재 내부의 온도 측정은 WatchDog 2450 (Spectrum Technologies, Inc.)을 이용하여 2013-2014년1-3월에 측정 비교하였다. 1월과 2월 최저기온이 각각 $-10.2^{\circ}C$, $-10.9^{\circ}C$로 추웠던 2013년에 은박쿠션 내부의 최저기온은 1, 2월에 각각 $-6.3^{\circ}C$, $-2.6^{\circ}C$로 보온효과가 뛰어났다. 반면, 볏짚 내부의 1, 2월 최저기온은 각각 $-9.8^{\circ}C$, $-9.9^{\circ}C$로 대기 온도와 큰 차이가 없어 보온효과가 미미했다. 측정 시각에 따른 평균기온의 변화에서도 은박쿠션이 볏짚에 비해 낮 동안의 열을 피복재 내부에 잘 간직하여 야간 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했다. 따라서 참다래 나무의 월동 피복 자재로써 은박쿠션이 볏짚에 비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장품에서 UV 차단제의 피부 자극성과 SPF 측정 (SPF Measurement and Cytotoxicity of Sunscreen Agents in Cosmetic)

  • 김인영;강삼우
    • 분석과학
    • /
    • 제11권2호
    • /
    • pp.79-87
    • /
    • 1998
  • 최근의 소비자들은 waterproof 기능을 가진 광범위한 UV 차단 제품을 선호하며, 피부 안전성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NR method로 세포 자극성(in-vitro)을 실험한 결과, UV-B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8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고, UV-A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6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들의 patch-test는 각각 10.5와 11.25 이하로 피부에 자극성은 없었다. UV 흡수 곡선, UV-B는 octyl methoxycinnamate(OMC), UV-A는 butyl methoxy dibenzoylmethane(BMDM) 가장 적합하였다. 따라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OMC와 BMDM이 nylon과 polyethylene에 코팅된 원료인 $Nylonpoly^{TM}$ UVA/UVB을 사용하였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zinc oxide(ZnO)와 titanium dioxide($TiO_2$)를 사용하였다. ZnO와 $TiO_2$의 혼합 비율은 6:4가 적당하였다. 총 UV차단제의 함량은 ZnO 6%, $TiO_2$ 4%와 $Nylonpoly^{TM}$ UVA/UVB 5%를 썬 스크린 크림에 혼합하였다. In-vi-tro의 SPF값은 38.9이었다. 응용으로, 동일 함량을 넣은 O/W type과 W/S type의 썬 스크린 크림을 만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SPF를 측정한 결과, SPF가 O/W type보다 W/S type이 5배 이상 오래 지속되었다. 이것은 해수욕, 등산, 스키를 탈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며, 매끄러움성, 피부 안전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

수종의 All-Etching Agent와 산부식시간에 따른 법랑질 산부식형태 및 전단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VARIOUS ALL-ETCHING AGENTS AND VARIED ETCHING TIME ON ENAMEL MORPHOLOGY AND BOND STRENGTH)

  • 권소란;윤태현;박동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1호
    • /
    • pp.136-149
    • /
    • 1996
  • The effects of various All-Etching Agents (10% phosphoric acid, 10% maleic acid and 10 % citric acid) and 32 % phosphoric acid and varied etching time were evaluated by observing the morphology of the etched enamel surface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by measuring the shear bond strength of a composite resin to human enamel. A total of 156 extracted premolar and molar teeth free of irregularitie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Specimens for the observation of enamel morphology were divided into 12 groups of 3 teeth each, based on the type of etchant used and application time. After exposure to the etching agent specimens were washed air-dried and then glued to aluminum stubs and coated with a layer of gold for examination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pecimens for the evaluation of bond strength were divided into 12 groups of 10 teeth each also based on the type of etchant used and application time. After exposure to the etching agent the specimens were washed, air-dried and a thin layer of bonding agent was applied using a brush. Z 100 composite resin was light cured to the surface and stored at $37^{\circ}C$, 100% humidity for 7 days.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apply a shearing force at $90^{\circ}$ angle from the enamel surface. It is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commercial All-etching agents can be used with a 15-second etching without adversely affecting retention of dental resin materials. At the same time, the acid concentration is probably a suitable compromise regarding the acid's function as a dentin demineralizing all-etch conditioning ag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pecimens etched with 10 % citric acid showed a random superficial etching pattern which could not be related to prism morphology. 2. Specimens etched with 10 % and 32 % phosphoric acid and 10 % maleic acid showed a type I pattern in which core material was preferentially removed leaving the prism peripheries relatively intact or a type II pattern in which prism peripheries were preferentially removed. This delineation became more distinguished as etching time was increased. 3. All-Etching Agents and 32 % phosphoric aci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hear bond strength at 15 seconds etching time.(p<0.05) 4. 10 % maleic acid and 32 % phosphoric acid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10 % phosphoric and citric acid at 15 seconds etching time.(p<0.05).

  • PDF

동결융해 및 UV 폭로시험을 거친 FRP Hybrid Bar의 인발거동특성 평가 (Evaluation of Bond Strength in FRP Hybrid Bar Affected by Freezing/thawing Test and UV Rays)

  • 박재성;윤용식;박기태;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53-58
    • /
    • 2017
  • FRP Hybrid Bar는 내부에 강재를 유리섬유와 에폭시 수지가 코팅된 형태로 사용되는데, 인장경화 성능이 있으며, 경량이므로 효과적인 보강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및 동결융해에 노출된 에폭시는 표면 열화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는 매립된 철근 및 표면의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철근, FRP Hybrid Bar 및 자외선(UV) 폭로시험을 거친 FRP Hybrid Bar의 외관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보강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인발 공시체를 제조하였으며, 동결융해시험을 실시해 Cycle에 따른 부착성능을 분석하였다. FRP Hybrid Bar는 UV 폭로시험 후에도 표면 산화(Chalking)와 같은 에폭시계 재료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결융해시험은 120Cycle 및 180Cycle까지 진행하였는데, UV 폭로시험 후 FRP Hybrid Bar를 사용한 공시체는 $241{\pm}kN$ 부착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일반철근 대비 약 106.3%수준으로 개선된 부착강도인데, FRP Hybrid Bar 표면의 규사코팅에 따라 부착면적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3가지 조건(일반철근, FRP Hybrid Bar, UV 폭로시험 후의 FRP Hybrid Bar)에 대하여, 동결융해 Cycle이 증가함에 따라 부착력이 크게 감소하지는 않았으나, 코팅된 규사의 박락으로 인해 UV 시험 이후의 동결융해를 거친 조건에서는 실험 편차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터널 지보재로서의 적용성 검토를 위한 박층 뿜칠 라이너의 부착성능과 지보성능의 평가 (An experimental study on bonding and bearing capacities of thin spray-on liner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as a tunnel support member)

  • 한진태;이규필;박영택;최순욱;황귀성;최명식;장수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571-583
    • /
    • 2013
  • 박층 뿜칠 라이너(Thin Spray-on Liner, TSL)는 1990년대에 개발되어 광산에 처음 적용된 이후로 숏크리트의 대체 재료로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함량이 다른 두 가지 TSL 재료에 대하여 인장강도시험, 부착강도시험, TSL 코팅 시험편에 대한 압축강도시험 및 EFNARC(2008)에서 제안한 TSL의 지지 성능평가 시험을 수행하여 지보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TSL의 역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두 가지 재료 모두 지보재로서의 최소 성능 규정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폴리머 성분이 높을수록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반면, 시멘트계 성분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초기 재령에서 부착강도가 크게 나타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로이유리의 전도성 금속박막을 이용한 발열유리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heatable glass using conductive metal thin film on Low-e glass)

  • 오재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05-112
    • /
    • 2018
  • 본 논문은 로이유리(Low emissivity glass) 표면에 증착되어 있는 금속박막의 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발열유리(Heatable glass)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로이유리의 발열량은 로이유리 표면저항에 의한 주울(Joule) 열에 의존하므로 소재의 표면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예측 및 설계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방사층이 11nm인 소프트로이유리 시료에 각 50mm 간격으로 은(Ag) 전극을 형성시키고, 4단자법으로 면저항을 측정하여 로이유리의 소비전력과 발열량을 예측한 후에, 제작 및 실험을 통해 발열성능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발열유리 제작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일반유리(Normal glass)에 니크롬(Nichrome) 열선을 삽입하는 방법과, 일반유리에 전도성 투명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이 있다. 니크롬 열선 삽입 방식은 발열성능은 우수하나 유리 고유의 투명성을 저해하고, 전도성 투명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은 투명성은 양호하나 공정이 복잡하여 실용성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건축물의 단열효과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로이유리를 이용하여 로이유리 전면에 코팅되어 있는 전도성 금속박막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원하는 발열성능을 가지는 발열유리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니크롬 열선을 삽입하는 방법에 비해 투명성이 양호하고, 전도성 투명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에 비해 제작과정이 보다 수월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레이저를 조사하여 로이유리의 표면 박막을 패터닝(Patterning) 하는 형태에 따른 발열특성의 비교와 로이유리에 적합한 레이저 출력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