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t

검색결과 1,508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한제국기 문관 대례복 제작에 관한 연구 - 상의 패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urt Dresses in the Daehan Empire - focused on the coat pattern -)

  • 이경미
    • 복식
    • /
    • 제63권6호
    • /
    • pp.56-68
    • /
    • 2013
  •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fundamental research of construction of coat patterns in the Daehan Empire in order to make replicas of the costumes. This study is composed of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ion of artifacts, and experiment of pattern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if the 15th Court Dress Rules regulated color, fabric, number of flower, width of braid, and size of button, there was no regulation regarding the shape of the coat. The analysis of the photos in those periods shows that the style of the tailcoat was different from that of today in the length of the front, the shape of breast and collar. Second, six artifacts in the collection showed that the shoulder line and the sideline were located on the further rear side than the current tailcoat. This can be confirmed in the western and Japanese pattern book, and especially the pattern drafting method in the books published in Japan in 1900s is different from current one in setting base lines of front bodice and back bodice. As a result, based on several experiments, this study proposes how to make coat patterns. The shoulder line, the sideline, and the princess line should be located in the back of the dress similar to the shape of swallowtail coats of 1900s. The front bodice should be constructed without the composition line in order to add embroidery on it. The collar, which shape looks like long half moon, should form V-shape neckline in the front breast when adjusting dress. The sleeves should be constructed top and down, and it should curve more than the modern design.

Variation of β-carotene Concentration in Soybean Seed and Sprout

  • Kang, Eun-Young;Kim, Eun-Hye;Chung, Ill-Min;Ahn, Joung-K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24-330
    • /
    • 2012
  • In this study, ${\beta}$-carotene concentrations was determined in soybean cultivar according to seed size, usage, seed coat color and cotyledon color as well as the process of seed germination. The total average concentration of ${\beta}$-carotene was $6.6{\mu}g/g$ in soybean seed, $33.3{\mu}g/g$ in soybean sprout. According to seed size, the total ${\beta}$-carotene concentration of soybean was $6.9{\mu}g/g$ in large soybean seed, $6.7{\mu}g/g$ in medium soybean seed, and $6.31{\mu}g/g$ in small soybean seed. In soybean sprout, the total ${\beta}$-carotene concentration was $21.4{\mu}g/g$ in large soybean sprout, $30.5{\mu}g/g$ in medium soybean sprout, and $43.5{\mu}g/g$ in small soybean sprout.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eed, the total ${\beta}$-carotene concentration of soybean seed was $7.2{\mu}g/g$ in cooked with rice soybean seed, $6.1{\mu}g/g$ in paste and curd soybean seed, and $6.3{\mu}g/g$ in sprout soybean seed. In soybean sprout, the total ${\beta}$-carotene concentration was $25.9{\mu}g/g$ in cooked with rice soybean sprout, $32.4{\mu}g/g$ in paste and curd soybean sprout, and $41.9{\mu}g/g$ in sprout soybean sprout. When comparison with seed coat color, the total ${\beta}$-carotene concentration of soybean with brown seed coat ($8.8{\mu}g/g$)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oybean with yellow ($6.1{\mu}g/g$). In soybean sprout, the total ${\beta}$-carotene concentration was $21.8{\mu}g/g$ in black seed coat sprout, $38.7{\mu}g/g$ in brown seed coat sprout, $34.1{\mu}g/g$ in green seed coat sprout, $39.5{\mu}g/g$ in yellow seed coat sprout, and $30.5{\mu}g/g$ in mottle seed coat spr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beta}$-carotene.

제주마에서 월라 모색의 유전적 특성 (Genetic Characterization of Wolla Coat Color in Jeju Horses)

  • 김남영;신광윤;이종언;한상현;이성수;박용상;고문석;홍현주;양재혁;장덕지;양영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5호
    • /
    • pp.375-379
    • /
    • 2012
  • 본 연구는 제주마 월라(Wolla) 모색의 백반형태 (Tobiano, frame Overo, sabino)에 대해 유전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제주마 376두 (월라 142두, 비월라 234두)에 대해 Tobiano 모색 확인을 위해 ECA3-inversion을 분석하였으며, frame Overo 모색은 EDNRB 2-bp 염기치환 상태를 확인하였고, sabino 모색인자형 확인은 KIT intron 16 SNP를 분석하였다. 제주마 월라 모색 개체에서 ECA3-inversion 유전자형이 +/To 이형접합 형태가 140두 (0.986), To/To 동형접합 형태 2두 (0.013)가 나타나 제주마 월라 모두에서 ECA3-inversion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EDNRB와 KIT intron 16 SNP에서는 frame Overo나 sabino 인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제주마 비월라에서는 ECA3-inversion, EDNRB 그리고 KIT intron 16 SNP에서 백반형태와 관련된 인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제주마 월라(Wolla) 모색은 모색 유전학적 분류에서 Tobiano 모색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의 유전 양성과 후보 유전좌위의 유전적 다형성 (Genetic Polymorphisms of Candidate Loci and Inheritance Ppatterns of Gray Coat Color in Jeju Horses.)

  • 한상현;이종언;김남영;고문석;정하연;이성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93-798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마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전신성 백모색 발생의 유전 양상과 유전적 변이와의 상관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백모색은 표현형과 MC1R 유전자형 분석 자료의 조합을 근거로 결정한 가라, 유마, 적다 등 모든 기본 모색에서 관찰되었다. 제주마에서는 타 품종들에서 KIT 유전자의 이형 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백색에 대한 잠재적 돌연변이 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STX17 유전자의 intron 6 에서 4.6-kb 중복을 보유한 개체들에서 특이적으로 탈색된 백모색이 관찰되었다. 관찰기록과 STX17 유전자형에 따라 제주마에서 관찰되는 탈색된 백화현상은 총마(점진적 백화증, Gray) 로 확인되었다. 가계도 분석에서 총마 형질은 상동염색체성 우성유전형 질로 나타났으며 상동염색체성 열성형질인 albinism과도 구분되었다.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이 자마 시기에는 명확하게 발현되는 않으며, 종종 다른 표현형들과 혼동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총마와 이와 유사한 표현형으로 출생 시부터 혼합 모색을 나타내는 조모색, 상처 치료 후 백화, 백반 유사피부 백색증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마와 유전적 배경의 관계를 구명한 본 연구결과는 제주마에서 분자육종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알루미늄 기지에 알루미늄-알루미나 혼합분말을 이용한 고온플라즈마 열분사 코팅층의 밀착강도 향상기구 (Improvement of Adhesion Strength of High Temperature Plasma Coated Aluminum Substrate with Aluminum-Alumina Powder Mixture)

  • 박진수;이효룡;이범호;박준식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26-2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알루미늄 금형의 복원을 위해 고온플라즈마 용사법을 이용하여 금형의 표면에 $Al/Al_2O_3$ 혼합분말을 용사한 후 코팅층과 모재의 증착강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증착강도의 평가는 분사노즐의 이동속도, 순수한 알루미늄 bond coat 층의 유무에 따라 평가되었으며, bond coat 층을 생성시키지 않았을 때, 코팅층의 두께는 열팽창에 의한 잔류인장응력의 감소를 위해 두껍지 않아야 하지만 일정두께 이상이 되어야 최대의 증착강도를 얻을 수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순수한 알루미늄 bond coat 층은 내부 결함이 없는 응고된 금속이기 때문에 두께에 따른 증착강도의 영향을 그대로 받아 두께가 두꺼울수록 bond coat 층을 생성시키지 않은 시험편보다 증착강도가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반면, 가장 얇게 bond coating 된 시험편 Bc3(3회의 bond coating층과 분사건의 이동속도가 20 cm/sec인 시험편) 는 bond coating을 하지 않은 시험편 중 가장 높은 증착강도를 가지는 시험편 Wbc20(bond coating층이 없고 분사건의 이동속도가 20 cm/sec인 시험편)보다 약 2배 이상증착강도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금형의 복원시에 중간층의 형성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코팅층의 잔류 인장응력을 보완시키며 고인성의 순수한 알루미늄과 같은 코팅층과 유사한 층을 코팅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MV 저항성 형질전환 연초식물체 제 5 세대에서 유전자 안정성 및 고온조건에서의 유전자 발현 (Gene Expression in The Fifth Generation of TMV Resistant Transgenic Tobacco Plane at Elevated Temperature)

  • 이기원;박성원;이청호;박은경;김상석;최순용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45-250
    • /
    • 1998
  • Tobacco mosaic virus(TMV) 외피단백질 유전자를 연초(Nicotiana tabacm cv. NC82)에 형질전환하고 형질전환 식물체 후세대에서 TMV 저항성인 연초를 선발하여, 선발된 TMV 저항성 제5세대 형질전환 식물체의 도입된 유전자발현 및 고온에서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TMV 저항성 식물체의 염색체 DNA에 TMV 외피 단백질 유전자가 안정되게 존재하고 있음을 genomic PCR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형질전환 식물체내에서 TMV 외피 단백질 발현은 Immunoblot hybridization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TMV 저항성 형질전환 연초식물체에서 발현된 단백질의 양은 매우 적었으며 특히 본엽에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확기 마지막 액아에 TMV의 반점이 나타난 병징발현 지연형의 형질전환 식물체의 경우에도 발현된 단백질의 양은 정상 NC 82에 TMV가 감염되었을 때와 비교하여 현저히 적었다. TMV 저항성 형질전환 식물체 내에서 발현되는 TMV 외피단백질의 양은 총 단백질에 대비하여 0.01% 이하이였다. TMV 병징 발현 지연형인 형질전환 식물체에 TMV를 인공접종한 후 고온처리상태에서 외피 단백질 유전자의 전사 및 발현을 RT-PCR과 Immune blot hybridization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때 TMV의 증식도 억제되었으므로 개량멀칭시 나타나는 고온조건하에서도 저항성이 안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동시포설 공법을 위한 택코트 재료의 기초 성능 평가 연구 (Basic Performance Evaluation of a Tack Coat Material for Use with a Spray Paver)

  • 조신행;김경남;;김낙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6호
    • /
    • pp.737-744
    • /
    • 2021
  • 최근 택코트 부착성능의 중요성이 높아지며 시공과정에서의 택코트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동시포설공법이 제안되고 있다. 동시포설공법은 아스팔트 페이버에 택코트 살포장치를 부착하여 택코트 살포와 동시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는 공법이다. 노후 콘크리트 포장의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은 강성포장 위에 연성포장이 적용되기 때문에 이질적인 재료에 따른 부착성능의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 이에 따라 동시포설공법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이질적 재료에도 충분한 부착성능을 나타내는 택코트 재료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동시포설공법을 위해 개발된 택코트 재료의 기초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조건의 부착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부착성능 평가결과 양생조건과 택코트 손실에 의해 부착성능에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개발 재료는 동시포설공법과 동일한 시공조건 모사 실험에서 기존 재료 대비 인장접착강도 1.21배, 전단부착강도 1.99배 높은 부착성능을 나타내어 동시포설공법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쌀보리 품종의 전분함량 및 종실관련형질 (Starch Content and Its Associated Grain Characters in Naked Barley)

  • 박문웅;채제천;김정곤;이춘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5-62
    • /
    • 1994
  • 쌀보리의 전분함량 변이와 유전율을 밝히고, 이들 특성이 어떤 형질들과 상호 관련성이 있는가를 구명하여 효율적인 육종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원시 권선구 탑동 소재의 맥류연구소포장에서 1989년과 1990년에 수확된 쌀보리의 교배모본 137품종 및 계통을 재료로 전분함량 및 이와 관련된 형질들을 조사하였고, 전분의 유전율은 쌀보리 지역적응시험에 공시된 계통 성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분함량은 최저 49.15%, 최고 62.50%, 평균 57.20%이었으며 육성종과 병성밀수품종이 활성이나 병성소수품종, 도입종보다 높았다. 2. 종피중은 1.12mg에서 3.02mg까지 분포되고 평균 1.88mg이었으며 종실에 대한 종피비율은 4.0%에서 8.7%까지, 평균 6.5%였으며 품종간 차이가 컸다. 3. 단백질함량은 9.60∼15.90%의 변이를 나타내고 평균 12.86%였다. 4. 전분함량은 입중, 종피중, 종피비율, 입폭, 입후, 단백질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동일 품종 내에서도 입의 크기가 작은 것이 전분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종피중과 종피비율은 입폭, 입후와는 정의 상관이 있었고 전분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전분함량의 유전율은 30.0%였다.

  • PDF

제주마 집단의 세대 경과에 따른 모색 유전자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Coat Color-Related Genes according to Generational Changes in Jeju Horses)

  • 김남영;채현석;백광수;조인철;정영훈;우제훈;박설화;김지향;이성수;양영훈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3-188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마 집단의 모색유전자 분포 특성 및 세대별 모색 유전자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하는 제주마, 1,462두에 대한 모색 관련 유전자인 MC1R, ASIP, ECA3-inversion, STX17을 분석하였다. 흑모색과 관련된 MC1R 유전자의 $E^+/E^+$$E^+/E^e$ 유전자형 빈도는 각각 0.122와 0.447로 조사되었고, 적색(chestnut) 유전자형인 $E^e/E^e$ 유전자형 빈도는 0.429로 확인되었다. ASIP 유전자의 $A^A/A^A$, $A^A/A^a$$A^a/A^a$ 유전자형 빈도는 각각 0.46, 0.448, 0.091로 확인되어 $A^a/A^a$ 유전자형 빈도가 낮았다. 토비아노(Tobiano) 형태를 발현하는 To/To와 +/To 유전자형은 각각 0.001과 0.119로 토비아노 형태의 모색은 12%를 점유하고 있었다. 회색 모색과 관련된 STX17의 G/G와 G/g 유전자형의 빈도는 각각 0.002와 0.680로 나타나 제주마 집단에 회색마는 68.2%를 점유하였다. 세대별 모색 변화는 MC1R, ASIP 유전자에서는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ECA3-inversion에서는 토비아노를 발현하는 To allele은 세대변화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회색 모색과 관련된 STX17 G allele은 세대변화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본 연구결과, 제주마 집단의 모색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종마 선정 단계에 모색 유전자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