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astal regions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34초

Time trend of malaria in relation to climate variability in Papua New Guinea

  • Park, Jae-Won;Cheong, Hae-Kwan;Honda, Yasushi;Ha, Mina;Kim, Ho;Kolam, Joel;Inape, Kasis;Mueller, Iv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1권
    • /
    • pp.3.1-3.11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regional malaria incidence in relation to the geographic and climatic conditions and describe the effect of altitude on the expansion of malaria over the last decade in Papua New Guinea. Methods Malaria incidence was estimated in five provinces from 1996 to 2008 using national health surveillance data. Time trend of malaria incidence was compared with rainfall and minimum/maximum temperature. In the Eastern Highland Province, time trend of malaria incidence over the study period was stratified by altitude. Spatio-temporal pattern of malaria was analyzed. Results Nationwide, malaria incidence was stationary. Regionally, the incidence increased markedly in the highland region (292.0/100000/yr, p =0.021), and remained stationary in the other regions. Seasonality of the malaria incidence was related with rainfall. Decreasing incidence of malaria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rainfall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whereas it was not evident in the northern coastal region. In the Eastern Highland Province, malaria incidence increased in areas below 1700 m, with the rate of increase being steeper at higher altitudes. Conclusions Increasing trend of malaria incidence was prominent in the highland region of Papua New Guinea, while long-term trend was dependent upon baseline level of rainfall in coastal regions.

하계 완도 연안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분포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 Wando in Summer)

  • 문성용;정창수;서호영;오현주
    • 환경생물
    • /
    • 제24권4호
    • /
    • pp.329-336
    • /
    • 2006
  • 하계 완도 연안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군집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8월 30일에 6개의 정점에서 NORPAC net를 이용하여 수직 채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37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출현 개체수는 $147{\sim}1696\;indiv.\;m^{-3}$의 범위를 나타냈다. 우점종은 E. tergesrina, A. pacifica, P. parvus s. 1, 십각류 유생, S. crassa로서 전체 출현 개체수에 90%이상을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어졌으며, 소안도 인근해역의 A군집, 소안도와 청산도의 중앙부해역인 B군집, 청산도 북부해역의 C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군집으로 구분되는 세 그룹간의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출현 개체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결과적으로 하계 완도 연안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는 대마난류와 황해저층냉수의 확장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국내 연안해역 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for Safety Management at the Coastal Sea Area in Korea)

  • 장인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3-399
    • /
    • 2009
  • 해양사고의 대부분은 해상교통량이 많은 연안해역과 해수욕장, 방파제 등 많은 사람들이 찾는 연안지역에서 발생한다. 최근 해양레포츠의 활성화로 연안에서의 안전사고위험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의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이 안전사고 증가속도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육지와 바다를 연계한 안전관리가 체계적이지 못하다. 최근 5년 동안 발생했던 안전사고를 분석하여 사고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관리 대책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안의 안전사고는 육지와 바다가 접촉되는 연안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종합적인 안전대책이 필요하며, 종합적인 안전망 구축을 위해서 제도상 법률상으로 주무기관이 일원화되어야 한다. 또한 사고발생시 신속하게 인명과 재산을 구조할 수 있는 사고대응 체제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축되어야 한다.

  • PDF

생태계 모델링을 이용한 부산연안해역 수질개선 예측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using Ecological Modelling in Busan Coastal Area)

  • 정우성;김진호;김동명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4-531
    • /
    • 2017
  • 본 연구는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부산연안으로 유입되는 부하량 삭감에 따른 해역의 수질개선 정도를 예측하였다. 모델링 결과에 의하면 COD, T-N, T-P 모두 수영만 연안과 낙동강 하구에서 뚜렷한 개선을 나타냈으며, 수영만을 제외한 만 중부에서 만 동쪽까지는 수질개선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부산연안이 남해에 위치한 다른 해역에 비해 개방형경계를 가지고 있어서, 물질교환이 빠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수질개선을 위한 본 해역의 삭감 COD 부하량은 타 해역에 비해 적었고, 총 유입부하량에 대한 삭감비율 또한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 적용한 부하삭감량을 적용하면 수영만, 낙동강 하구부근에서 뚜렷한 수질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에 관한 연구 II. 한국연안수역의 식물플랭크톤 (Phytoplankton Studies In Korean Waters II. Phyt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 최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1-12
    • /
    • 1967
  • 바다의 플랭크톤은 장소와 시기에 따라 출현종류와 수량에 많은 변동이 있고, 이것들의 종적조성, 출현수량 또는 그 분포는 바다의 생태계를 구명하고, 해역의 생산성을 계측하는데 극히 중요한 기초적지식이 될뿐아니라 어업과 바다의 양 증식 에도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 PDF

강진만 해역복원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분석 (Analysis of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on Coastal Restoration Project in Gangjin Bay)

  • 홍선기;김경완;김재은;이경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7-127
    • /
    • 2010
  • 본 연구는 준설과 모래채취가 시행된 강진만 해역복원사업 이후 강진만의 생태계 변화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민 모니터링을 실시한 것이다. 과거 주요 바지락 생산지였던 강진만의 갯벌생태계는 해역복원사업(모래채취 및 준설)으로 인하여 생태계가 교란되어 어패류를 생산할 수 없게 되었다. 아직도 부분적으로 고막과 석화 등이 채취되나 점차 그 생산량은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주민들의 삶도 크게 변화되고 있다. 농어촌의 특성상 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특징은 여느 농어촌과 비슷하지만, 해역의 훼손과 오염으로 인해 어패류가 급감되자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어민들로 인해 더욱 심각한 인구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지역주민 인식분석 결과 강진만의 오염과 어패류의 급감은 해역복원사업과 장흥댐 건설로 인한 담수 공급 어려움에 의한 것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갯벌에 대한 생태계 조사뿐 아니라 이곳에 의존하는 어촌주민들에 대한 장기적인 사회경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Review on Multidecadal Coastal Changes at Funafuti, Tuvalu from 1897 to 2015

  • Ahmed, Harun-Al-Rashid;Chan-Su, Ya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45
    • /
    • 2023
  • Tuvalu is a small reef islands country in the Pacific Ocean. Its coastal regions are very much dynamic due to the profound effects of tropical cyclones and sea level rise (SLR). However, research works on coastline dynamics of Tuvalu mainly cover its capital, Funafuti. Therefore, this review summarizes the extent of long-term coastal changes in different islets of Funafuti and on overall Tuvalu. In Funafuti, highly accreting areas are Te Afualiku, Fuafatu, Motugie, and Amatuku, and highly eroding areas are Fuagea and Tefala with the fully disappeared islet of Vasafua after 2005. However, in spite of different causes and supposition of scientists on disappearing these lands the accretion is more dominant than erosion which resulted in 7.3% net increase of land areas of Tuvalu over 117 years till 2015. Severe tropical cyclones mainly caused accretion of land areas by forming coral rubble rampart formation and further reworks and erosion to small sandy islands whereas frequent low-energy cyclones mainly caused erosion. Though, till now severe erosion of coastal areas are not evident by global SLR, islets of Funafuti experienced remarkable shoreline increase as formation of 30-40 m wide rubble rampart formation along 19 km in 1971 by tropical cyclone Bebe and net increase of area of 3.45 ha by tropical cyclone Pam in 2015. In spite of such overall accretion of coastal areas several scientists suspect drowning of its areas in future because of high SLR (~5.1±0.7 mm/year) at Funafuti which supposedly will not work as a breakwater anymore. Thus, protection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coastline erosion as well as land reclamation activities should be done following the global examples.

증발냉각시스템의 온실냉방 적용성 평가 (Adaptability of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Greenhouses to the Weather Conditions of Korea)

  • 남상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3-289
    • /
    • 1998
  • 우리 나라의 기후구분에 따른 대표적인 9개 지역의 20년간(1975~1994) 기상자료를 기초로 여름철 고온기(6, 7, 8월) 온실에 대한 증발냉각시스템의 적용성을 퍼지이론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 보았다. 남부서해안과 남해안, 제주도 등 일부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증발냉각시스템을 이용하여 온실의 실내온도를 32.5$^{\circ}C$ 이내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증발냉각시스템에서의 냉각범위가 5$^{\circ}C$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결과는 환기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것을 전제로 하였으므로 증발냉각시스템을 적용할 경우에는 충분한 기계환기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우리 나라의 여름철 기후는 고온다습하지만 증발냉각시스템의 적용성은 충분히 큰 것으로 판단되므로 확대보급을 위한 기술의 체계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쓰시마 해류와 쿠로시오 해역 연안 수온의 연변화 및 연별변동 (Annual and Interannual Fluctuations of Coastal Water Temperatures in the Tsushima Current and the Kuroshio Regions)

  • 강용균;최석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97-505
    • /
    • 1985
  • 쓰시마 해류와 쿠로시오 해역의 9개 연안 정점의 30년간 ($1941{\sim}1970$) 순별 표면수온 자료에 대한 분석 (조화분석, 상관분석 및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동 해역 표면수온의 연변화와 연별변동을 구명하였다. 계절적 수온변화의 연평균과 연진폭은 해마다 차이가 있으며, 변동의 편차는 0.3 내지 $0.7^{\circ}C$정도이고, 연위상의 편차는 3 내지 4일 정도이다. 누년 평균적인 계절변화를 제거한 이상수온(temperature anomalies)은 약$1^{\circ}C$정도이며, 봄과 가을보다는 여름과 겨울에 이상수온의 변화가 심하다. 쓰시마 해역의 이상수온 쿠로시오 해역의 이상수온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상수온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하면 주기 26개월의 준격년 진동(quasi-biennial oscillation)과 주기 14개월의 극조(pole tide) 주기에 따른 수온 변동이 나타난다

  • PDF

천해역에 기인장 계유된 2차원 부방파제 운동 해석 (On the Motion of Two-dimensional Healing Breakwaters Moored Tautly in Shallow Water)

  • 정원무;편종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37-151
    • /
    • 1991
  • 영역별로 속도포텐셜을 정의하고 부방파제 측면의 가상 경계에서 유체운동의 질량속과 운동량속의 연속조건으로부터 미지계수를 구하는 속도포텐셜 접속법을 이용하여 천해역에 기인장의 상태로 계유된 직사각형 부방파제의 운동을 해석하였다. 본 방법에서는 정도 등(1972)이 수중계유물제 운동해석시 사용한 방법을 부유체 계유로 수정하여 전체유체영역을 입사파 영역, 투과파 영역 및 부방파제 저면 영역의 3개 부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전도 등(1972)이 무시한 기인장된 계유라인에 의한 복원력을 선형 스프링으로 모형화하였다. 본 방법을 수리모형실험 결과와 비교ㆍ분석한 결과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부방파제의 흘수 및 폭의 변화에 따른 발파 성능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