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rse-Grained Model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4초

Developing Coarse-Grained Force Fields for Polystyrene with Different Chain Lengths from Atomistic Simulation

  • Rao, Shuling;Li, Xuejin;Liang, Haoj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7호
    • /
    • pp.610-616
    • /
    • 2007
  • We developed a coarse-grained force field and have extended it to polystyrene with longer chain length. A systematic method was introduced and was utilized to explain how the coarse-grained force field for polystyrene could be developed from the atomistic simulation in the paper. We elected to use polystyrene with different chain lengths of 20, 40 and 80 monomers in this study. In three cases, we utilized the same new mapping scheme. The coarse-grained force field does reproduce the bond, angle, and radial distribution of the atomistic model. The coarse-grained model proved successful, as shown by analyses of the static and dynamic properties of different chain lengths.

Prediction of California bearing ratio (CBR) for coarse- and fine-grained soils using the GMDH-model

  • Mintae Kim;Seyma Ordu;Ozkan Arslan;Junyoung K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3권2호
    • /
    • pp.183-194
    • /
    • 2023
  • This study presents the prediction of the California bearing ratio (CBR) of coarse- and fine-grained soi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group method of data handling (GMDH) algorithm,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model, was used in the prediction of the CBR values. In the design of the prediction models, various combinations of independent input variables for both coarse- and fine-grained soils have been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designed GMDH-type neural networks (GMDH-type NN) were compared with other regression models, such as linear, support vector, and multilayer perception regression methods. The performance of models was evaluated with a regression coefficient (R2), root-mean-square error (RMSE), and mean absolute error (MAE). The results showed that GMDH-type NN algorithm had higher performance than other regression methods in the prediction of CBR value for coarse- and fine-grained soils. The GMDH model had an R2 of 0.938, RMSE of 1.87, and MAE of 1.48 for the input variables {G, S, and MDD} in coarse-grained soils. For fine-grained soils, it had an R2 of 0.829, RMSE of 3.02, and MAE of 2.40, when using the input variables {LL, PI, MDD, and OMC}. The performance evaluations revealed that the GMDH-type NN models were effective in predicting CBR values of both coarse- and fine-grained soils.

Mechanical Behaviour of Bio-grouted Coarse-grained Soil: Discrete Element Modelling

  • Wu, Chuangzhou;Jang, Bo-An;Jang, Hyun-Sic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383-391
    • /
    • 2019
  • Bio-grouting based on microbial-induced calcite precipitation (MICP) is recently emerging as a nove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ique for improvement of coarse-grained ground. To date, the mechanical behaviour of bio-grouted coarse-grained soil with different calcite contents and grain sizes still remains poorly understood.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lcite conte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io-grouted coarse-grained soil with different grain sizes. This is achieved through an integrated study of uniaxial loading experiments of bio-grouted coarse-grained soil, 3D digitization of the grains in conjunction with discrete element modelling (DEM). In the DEM model, aggregates were represented by clump logic based on the 3D morphology digitization of the typical coarse-grained aggregates while the CaCO3 was represented by small-sized bonded particle model. The computed stress-strain relations and failure patterns of the bio-grouted coarse-grained soil were validated against the measured results. Both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suggest that aggregate sizes and calcite conte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mechanical behaviour of bio-cemented aggregates. The strength of the bio-grouted coarse-grained soil increases linearly with calcite content, but decreases non-linearly with the increasing particle size for all calcite contents. The experimental-based DEM approach developed in this study also offers an optional avenue for the exploring of micro-mechanisms contributing to the mechanical response of bio-grouted coarse-grained soils.

조립재료에 대한 MD구성모델의 매개 변수 연구 (Parametric Study of MD Constitutive Model for Coarse-Grained Soils)

  • 최창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19
    • /
    • 2013
  • 조립재료는 댐, 철도, 교량 구조물 건설시 제체, 성토재, 뒤채움재, 배수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의 거동해석을 위한 수치해석을 위해 구성모델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조립재료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구성모델에 대한 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성모델은 한계상태이론에 근간한 bounding surface 모델로서 한 세트의 모델 정수를 활용하여 배수 조건, 구속압, 간극비에 상관없이 조립재료의 거동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구성모델은 탄성 파라미터, 한계상태 파라미터, 모델 고유파라미터를 활용하여 재료의 거동을 분석하며, 본 연구에서는 모델 고유 파라미터에 대한 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변수 연구를 통해 구성모델이 조립재료의 가장 큰 특징인 비관계유통법칙(non-associative flow rule)에 따른 체적팽창 및 응력경로 변화에 따른 이동경화 현상을 적절히 모사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조립재료에 대한 MD 구성모델 캘리브레이션 연구 (A Study of MD Constitutive Model Calibration for Coarse-grained Soils)

  • 최창호;신동훈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63-72
    • /
    • 2013
  • 필댐의 안정성은 댐 축조시 주재료로 활용되는 조립재료인 암석존(rock zone)의 공학적 거동에 의존하므로 조립재료인 rockfill 재료의 전단강도 뿐만 아니라 하중-변형 특성(stress-strain characteristics)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댐 제체의 거동을 예측하고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조립재료의 거동을 모사하기에 적합한 구성모델을 활용하기 위한 물성값 분석 및 모델 파라미터의 캘리브레이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항댐 제체 재료에 대한 대형삼축압축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조립재료에 대한 구성모델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였다. 부항댐 제체 재료를 고밀도와 저밀도로 구분하여 시료를 제작하고 다양한 구속압으로 수행된 실험결과와 캘리브레이션 된 구성모델 시물레이션 결과를 상호 비교한 결과 MD 모델이 조립재료의 응력-변형률 거동을 효과적으로 모사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리스트 스케줄링을 통한 Coarse-Grained 재구성 구조의 맵핑 알고리즘 개발 (A Resource-Aware Mapping Algorithm for Coarse-Grained Reconfigurable Architecture Using List Scheduling)

  • 김현진;홍혜정;김홍식;강성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6호
    • /
    • pp.58-64
    • /
    • 2009
  • 재구성 구조를 위한 자동화된 툴의 개발에 있어서 명령들을 재구성 구조에 맵핑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은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리소스가 한정된 Coarse-Grained 재구성 구조에 명령들을 맵핑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휴리스틱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하드웨어 리소스 사용에 대한 명령 할당과 라우팅 경로 할당을 사이클 기반의 타이밍 모델을 통해서 동시에 고려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통신에 사용되는 리소스의 사용 및 전역 메모리 접근을 리스트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최소화한다. 리스트 스케줄링에서 맵핑되어야 할 명령들은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플로우의 일반적인 특성들로 우선순위가 결정되게 된다. 제안된 맵핑 알고리즘의 대한 평가를 통해서 볼 때 전역 메모리 자원의 소모 및 수행 시간면에서 상당한 성능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재령에 따른 포장용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예측식 개발 (Development of Model Equations for Strength Properties with Age in Concrete Pavement)

  • 양성철;권수안;임유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35-43
    • /
    • 2010
  • 본 연구는 콘크리트 포장설계법에 사용되는 재료입력변수의 DB화를 염두에 두고 신뢰성 있는 콘크리트 물성 정량화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포장용 콘크리트는 화강암, 석회암, 사암의 조골재를 사용하였으며 화강암 배합의 경우 세 골재로서 자연사, 세척사, 부순모래 배합을 포함하였다. 먼저 콘크리트 강도시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강도간의 상관관계 모델식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각 조골재별로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휨강도, 쪼갬인장강도 및 탄성계수의 모델식을 제시하였다. 화강암 배합의 경우 세골재로서 사용된 자연사, 세척사, 부순모래 배합을 모두 포함한 산술평균을 적용하여 모델식을 제시하였다. 한편 쪼갬인장강도와 탄성계수는 실험방법 및 계측상 결과가 분산되는 경향이 있어서 상관관계식에서 예측된 값과 직접 구한 실험결과에 대해 산술평균을 적용후 보정하여 각 조골재별로 재령에 따른 탄성계수 및 쪼갬인장강도의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조골재 배합별 콘크리트의 포와송비 및 건조수축에 대한 기준 값을 제시하였다.

조립질 지반에서의 수평배수재 종류에 따른 배수성능 비교 (Comparisons of Drainage Performance on Coarse Grained Soils with Regard to Horizontal Drainage Type)

  • 방태완;조완제;설승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25-31
    • /
    • 2023
  • 대표적인 비탈면 배수공법인 수평배수공은 비탈면 내 간극수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국내외에서 다수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어 왔으나, 수평배수공의 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명확한 설계기준이 없어 획일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평배수공의 배수성능과 영향인자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현장토를 이용하여 모형토조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배수재 형상이나 크기에 따른 배수성능을 비교하고자 입도분포가 다른 시료에서의 유출량 결과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정상류 상태에서 배수실험을 확인하기 위해 유출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최소 3분에서 최대 15분 뒤 일정한 속도로 배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립질 지반에서 단일 시간당 유출되는 양(단위 유출량)으로 비교한 경우, 배수재 형상과 크기에 따른 배수효과가 상이하여 배수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세립질 지반에서의 배수 성능실험과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립재료와 지오신세틱스의 접촉면 마찰특성 평가 (Evaluation of Interface Friction Properties between Coarse Grained Materials and Geosynthetics)

  • 장용채;이승은;서지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53-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형직접전단시험을 이용하여 조립재료와 지오신세틱스 사이의 접촉면 마찰특성을 비교하여, 조립재료인 고둥껍질과 쇄석간의 조립재료특성을 파악하여 고둥껍질의 효용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모형지반을 조립재료인 쇄석 또는 고둥껍질로 형성하여 부직포 또는 지오스트립 지오신세틱스를 포설 전단시켜 마찰계수와 마찰각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쇄석의 단위중량이 $13.7kN/m^3$ 일 때 $33.8^{\circ}$, 고둥껍질의 단위중량이 $5.4kN/m^3$ 일 때 $35.4^{\circ}$의 내부마찰각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오신세틱스와 쇄석의 접촉면 마찰각이 지오신세틱스와 고둥껍질 접촉면 마찰각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Selection of design friction angle: a strain based empirical method for coarse grained soils

  • Sancak, Emirhan;Cinicioglu, Ozer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0권2호
    • /
    • pp.121-129
    • /
    • 2020
  • In the design of geotechnical structures, engineers choose either peak or critical state friction angles. Unfortunately, this selection is based on engineer's preference for economy or safety and lacks the assessment of the expected level of deformation. To fill this gap in the design process, this study proposes a strain based empirical method. Proposed method is founded on the experimentally supported assumption that higher dilatancy angles result in more brittle soil response. Using numerous triaxial test data on ten different soils, an empirical design chart is developed that allows the estimation of shear strain at failure based on soil's peak dilatancy angle and mean grain diameter. Developed empirical chart is verified by conducting a small scale retaining wall physical model test. Finally, a design methodology is proposed that makes the selection of design friction angle in structured way possible based on the serviceability limits of the proposed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