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nidaria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18초

부산 기장에서 채집된 말미잘의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 Sea Anemone (Cnidaria: Anthozoa: Actiniaria) Obtained in Gijang, Busan)

  • 유상준;김도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7-452
    • /
    • 2017
  •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a sea anemone collected from the coast of Gijang, Busan. The anemone was morphologically similar to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Anthopleura, but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id not allow for confirmed identification to species level. Multiple genes from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II, 12S and 16S rRNA, and nuclear 18S and 28S rRNA, were amplified for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analysis using genomic DNA extracted from the sampled anemone and a different primer set. Based on the MLST analysis, the anemone obtained in this study was identified as Anthopleura artemisia. Also, the sequence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2 was most closely related to A. artemisia, indicating that this single region might be useful for anemone identification. This study shows significance of molecular identification for sea anemones, and will be helpful in studies of sea anemone identification using genotyping-by-sequencing.

Evaluation of ${\mu}$-Calpain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Indigenous Marine Organism Extracts

  • Lee, Yoo-Jin;Lee, Eun-Young;Han, Ah-Reum;Song, Jun-Im;Kwon, Young-Joo;Seo, Eun-Kyo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102-105
    • /
    • 2012
  • Marine organism extracts were prepared from 26 species of Korean indigenous marine organisms, including 25 species belonging in class Anthozoa of phylum Cnidaria and a species belonging to subphylum Urochordata of phylum Chordata, and screened their inhibitory effects against ${\mu}$-calpain. As a result, the thirteen extracts were found to be active in the criteria of $IC_{50}$ < 100 ${\mu}g/ml$. Among them, the MeOH extracts of Plexauroides praelonga and Alveopora japonica showed remarkable ${\mu}$-calpain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4.62{\pm}0.22$ and $4.82{\pm}0.07{\mu}g/ml$, respectively. In addition, chemical investigation of A. japonica led to the isolation of an active compound, hexadecyl tetradecanoate, as a selective cathepsin B inhibitor ($IC_{50}=9.05{\pm}2.45{\mu}M$). This compound was isolated as constituent of A. japonica for the first time in the present study.

부산 주변 해역에서 출현하는 참돔(Pagrus majo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 허성회;김하원;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6-222
    • /
    • 2006
  •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참돔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참돔의 체장분포는 8.5~44.6 cm SL의 범위였다. 참돔의 주요 먹이생물은 집게류 (Anomura), 단각류 (Amphipoda), 게류 (Brachyura), 새우류 (Caridea), 갯지렁이류 (Polychaeta), 극피동물 (Echinodermata), 어류(Pisces) 등 매우 다양했다. 그 외, 복족류(Gastropoda), 이매패류(Bivalvia), 갯가재류(Stomatopoda), 두족류(Cephalopoda) 자포동물(Cnidaria), 등각류(Isopoda) 등도 소량 섭이하였다. 참돔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에 있어 변화를 보였는데, 체장 8~15 cm SL에서 새우류의 점유율이 높았으며, 15~25 cm SL에서는 집게류와 갯지렁이류의 점유율이 높았다. 그리고 25 cm SL 이상에서는 극피동물류와 어류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 해산 히드라해파리 (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2미기록종 (Two New Records of Marine Hydromedusae (Cnidaria: Hvdrozoa) in Korea)

  • Jung Hee Par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1호
    • /
    • pp.111-117
    • /
    • 2003
  • 경기도 시화호와 여수 및 대한해협에서 채집된 히드라해파리류는 관사르스해파리 (Sarsia tubujosa)와 네잎백합해파리 (Liriope tetraphylla)로 각각 동정되었다. 이들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재기재하여 보고한다. 관사르스해파리는 긴 관모양의 구병과 4개의 촉수를 가진다. 경해파리목 (Trachymedusae)에 속하는 네잎백합해파리는 내산의 중앙 표면에 위치한 삼각형의 생식선과 우산의 4분원 (quadrant)에 7개의 구심맹관 (blind centripetal canals)을 가지며 길고 굵은 구병과 구병 끝에 4개의 주름진 구엽을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산 히드라해파리류는 5목 11과 12종이 된다.

한국 해산 히드라해파리 3미기록종(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Three New Records of Marine Hydromedusae (Cnidaria: Hydrozoa) in Korea)

  • 박정희;원정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179-184
    • /
    • 2004
  • 동해, 여수 및 영광에서 2001년 11월과 2002년 12월에 채집된 히드라해파리를 동정$\cdot$분류한 결과 노란무늬지상해파리 (Proboscidactyla flavicirrata) 보야 누스두겹관해파리 (Diphyes bojani) 및 바르그만머그관해파리 (Muggiaea bargmannae)가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재기재하고 보고한다. 본 연구의 결과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산 히드라해파리는 5목 15과 18종이 된다.

해파리의 식품성분 특성과 이의 유효 이용 (Food Component Characterization and Efficient Use of Jellyfish)

  • 임치원;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59-473
    • /
    • 2014
  • The recent mass appearances of jellyfish in Korea have caused economic and social damage, as they plague swimmers and fishermen. However, jellyfish have high economic and nutritional value, and contain low levels of calories and hydrolysates. Thus, jellyfish are a natural, healthy food that can improve high blood pressure, bronchitis, and a multitude of other diseases. Here, we present research on the ecology, classification, bloom, damage caused, food component characterization, and tissues of jellyfish,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further study. Research on use of jellyfish as salted products, and for collagen and qniumucin would also be valuable. A jellyfish body is classified into three parts: the body, termed the umbrella; the oral arm; and the tentacle. Jellyfish are planktonic marine members of a group of invertebrate animals comprising the classes Schypozoa (phylum Cnidaria) and Cuboza. In Korea in 2012, jellyfish damage resulted in decreases of annual catch and commercial value estimated at 177 and 141 billion won, respectively. Becaus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are below the safety limits for seafood, dried jellyfish appear to be safe raw materials for food.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Nemopilema nomurai and Aurelia aurita were 97.1% and 96.5% moisture, 0.9% and 1.2% crude proteins, undetected and 0.1% crude lipids, and 1.7% and 1.8% ash,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total contents of essential, tot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jellyfish gonads were deemed good-quality protein. Because the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jellyfish are collagen and qniumucin, jellyfish can be used salted, or these components of healthy diets can be extracted from them. For more effective use of jellyfish, unit costs should be decreased and safety guaranteed. Additionally, dehydrators attached to conveyor belts should be developed. Since jellyfish can be used throughout the year, they should be listed in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s a food source.

한국 해산 히드라해파리 (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2미기록종 (Two New Records of Hydromedusae (Cnidaria: Hydrozoa) in Korea)

  • Park, Jung-Hee;Song, Jun-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1호
    • /
    • pp.31-37
    • /
    • 2004
  • 서귀포(제주도),, 횡간도 및 일산해수욕장(울산)에서 1985년 7월 11일, 1990년 7월 23일 1994 년 7월 16일에 채집된 히드라해파리류는 평면해파리(Aequorea coerulescens)와 작은부레관해파리(Physalia physalis utriculus)로 각각 동정되었다. 이들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재기재하여 보고한다. 평면해파리는 외산이 편평한 베레모 모양이고 큰 입을 가지며 60개의 주름진 구엽과 120개의 방사관을 가진다. 작은부레관해파리는 비교적 큰 부유기를 가지고 부유기의 아래에 섭식개충, 지상개충(=방어개충), 생식개충과 1개의 리본 모양의 큰 주촉수와 많은 작은 촉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산 히드라해파리류는 5목 13과 15종이 된다.

한국 해산 히드라충류의 동물지리학적 분포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Hydroids(Cnidaria: Hydrozoa: Hydroida) in Korea)

  • 박정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2호
    • /
    • pp.279-300
    • /
    • 1992
  •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산 히드라충류는 17과 55속 120종이다. 이 가운데 Abietinaria filicula (ellis and Solander, 1786)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졌고 Sertularella miurensis Stechow, 1921는 96개 채집지 가운데 33개 지점에서 채집되어 한국해역의 히드라충류 가운데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한국 해역은 동해, 남해, 황해 그리고 제주도의 4개 해역으로 나뉜다. 각 해역에서 채집된 종수는 동해 43종, 남해 73종, 황해 52종 그리고 제주도 83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주도 해역은 한국 해산 히드라충류의 가장 높은 다양활르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각 해역간의 군집계수는 동해-황해가 0.444, 동해-남해가 0.553, 동해-제주도가 0.519, 황해-남해가 0.682, 황해-제주도가 0.533 그리고 남해-제주도가 0.642이다. 그러므로 히드라충류의 분포에 따른 두 해역 사이의 연관은 황해-남해가 가장 높고 동해-황해가 가장 낮다.

  • PDF

남해안 특정도서 암반조간대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on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Specified Islands, Southern Coast of Korea)

  • 양세희;양효식;이창일;서총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53-865
    • /
    • 2022
  • 본 연구는 남해안 38개 특정도서의 암반조간대에서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방형구(50x50cm)를 이용하여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와 우점종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정도서에서는 총 80종이 출현하였으며, 연체동물이 54종으로 67.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고, 절지동물은 15종(18.7%)이었다. 그 외 자포동물, 해면동물, 극피동물은 1~6종의 범위내에서 출현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여수의 특정도서에서 61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하동, 남해, 추자도 등에서는 각각 42~46종으로 유사하였고, 보성과 고흥은 29종으로 출현종수가 가장 적었다. 정점별 출현종수는 6종(정점 6)~33종(정점 20)의 범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으로 15개 특정도서에서 우점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검은큰따개비가 11개 특정도서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좁쌀무늬총알고둥은 36개 특정도서에서 출현하여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대수리 30개, 굵은줄격판담치 29개, 갈고둥 28개, 갯강구 27개, 총알고둥 26개의 특정도서에서 출현하였다. 국외반출승인 대상종은 연체동물 9종, 절지동물 4종, 자포동물 2종이며, 국가적색목록은 총 50종으로 관심대상(LC)은 44종, 정보부족(DD) 3종, 미평가(NE), 준위협(NT) 및 미적용(NA)은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남해안 특정도서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지역에 따른 노출시간, 암간 조간대의 길이, 암반기질 등 서식환경 차이에 의한 출현종수와 우점종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특정도서 모니터링과 관리방안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 차귀도 연안역 저서 무척추동물의 출현과 계절별 변동 (Species Appeara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 in the Coastal Water of Chagwi-do, Jeju-Island)

  • 양문호;문태석;유준택;고준철;장대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5-243
    • /
    • 2007
  • 제주 바다목장조성지인 차귀도 주변해역의 저서 무척추동물에 대한 출현 및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고산, 용수, 용당, 신창의 4개 해역을 설정하여 2004년 9월과 11월 및 2005년 2월, 4월, 6월, 8월 등 모두 6 차례에 걸쳐 조사 분석을 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201 종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다. 연체동물이 74 종 (37.2%)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중 복족류가 28.4%로 가장 우점 하였고, 절지동물 43 종 (19.2%), 자포동물 34 종 (16.7%) 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평균 개체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455 개체/$m^2$ (53.9%), 15,565.0g/$m^2$ (64.4%) 로 종류와 마찬가지로 연체동물이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가장 높게 출현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Trochus sacellus, Batillus cornutus, Pagurus gracilipes, Cantharus cecillei의 복족류에서 높은 우점률을 보였다. 계절별 출현양상은 하계에 개체수 및 생체량이 증가하다 동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종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의 해역별 변동을 보면 조사해역의 남쪽에 위치해 있는 고산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북쪽에 위치한 신창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