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ud point

검색결과 840건 처리시간 0.028초

영상 처리기법을 이용한 오일의 왁스생성온도 측정 (Measurement of Wax Appearance Temperature Using Image Processing)

  • 황순혜;강판상;임종세
    • 에너지공학
    • /
    • 제25권1호
    • /
    • pp.1-8
    • /
    • 2016
  • 저온환경에서 석유생산이 이루어질 경우 유동관, 라이저와 같은 석유생산시스템 내에서 온도에 민감한 왁스 고형물이 빈번히 집적되어 석유 이송을 방해하거나 배관을 막아 유동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간 소모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왁스 집적 문제를 제어하기 위해 오일 내 왁스가 처음 석출되기 시작하는 온도인 왁스생성온도를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왁스생성온도 표준측정법은 왁스결정 석출로 인하여 변하는 시료의 혼탁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한계가 있으며, 오일의 연속적인 온도변화를 측정하기 어려워 정확도가 낮다. 이 연구에서는 오일의 왁스생성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왁스생성온도 측정 가시화 실험시스템을 통해 시간에 따라 온도를 감소시키며 왁스생성거동을 촬영하였다. 또한 영상 처리기법으로 투명 오일시료의 명도변화를 분석하여 왁스생성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표준측정법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키넥트 깊이 정보와 DSLR을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합성 (Stereoscopic Video Compositing with a DSLR and Depth Information by Kinect)

  • 권순철;강원영;정영후;이승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0호
    • /
    • pp.920-927
    • /
    • 2013
  • 크로마키 방식에 의한 영상 합성은 색상 정보에 의해 전경 후경을 분리하기 때문에 객체 색상의 제약과 특정 스크린이 위치해 있어야 하는 공간의 제약이 있다. 특히 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 합성은 크로마키 방식과는 달리 3D 공간에서의 자연스러운 영상 합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깊이 키잉(depth keying) 방식에 의한 3D 공간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합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DSLR과 마이크로소프트사 키넥트 센서간의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고화질의 깊이 정보 획득 후 RGB 정보와의 정합 과정을 통해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깊이 정보에 의해 배경과 분리 된 객체는 3차원 공간에서의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로 표현되어 가상 배경과 합성하였다. 이후 가상의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Full HD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합성 영상 획득 결과를 보였다.

지상 LiDAR를 이용한 BIM 기반 건물의 3D 공간정보 구축 연구 (Construction of BIM based Building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Terrestrial LiDAR)

  • 김경민;이길재;조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1호
    • /
    • pp.23-35
    • /
    • 2016
  • 최근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건설 분야와 IT기술의 융합에 맞추어 비정형화와 대형화로 인해 건물의 외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건물을 기존보다 정확하게 표현하면서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 건물을 지상 LiDAR를 이용해 고밀도 점군자료를 취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의 건물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를 각 층별 레이어로 개별 추출하여 높이에 따른 건물 외곽정보들과의 차이점을 확인하였으며, IFC 표준 포맷을 활용한 공개형 BIM을 통해 구조물의 외곽 현황 파악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입체지적 및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Modified Polystyrene/Polymethacrylate 블렌드의 상용성에 대한 분자구조 변화의 영향 (Effect of Variation in the Molecular Structure on the Miscibility of Modified Polystyrene/Polymethacrylate Blends)

  • 구충완;김형일;김병철
    • 공업화학
    • /
    • 제10권5호
    • /
    • pp.743-747
    • /
    • 1999
  • 비상용성인 polystyrene(PS)와 polymethacrylate(PMA)의 블렌드에서 분자간 수소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고분자를 변성하였다. 공중합을 통해 hydroxystyrene 함량이 몰분율로 각각 7%, 10%, 18% 도입된 poly(styrene-co-4-hydroxystyrene) (modified polystyrene, MPS)을 합성하여 블렌드의 상용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PMA의 측쇄의 크기가 분자간 수소결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 methyl기, butyl기, hexyl기, ethylhexyl기의 측쇄를 갖는 PMA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수산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자간 수소결합 형성이 증가하였다. PMA의 측쇄의 크기에 따라 수소결합 형성 정도가 영향을 받아 상용성에 큰 차이가 나타남을 온도변화에 따른 상변화 거동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측쇄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입체장애 효과와 증가된 사슬의 운동성 때문에 분자간 수소결합의 형성 및 수소 결합력은 크게 감소하였다.

  • PDF

DEBRIS DISKS AND THE ZODIACAL LIGHT EXPLORED BY THE AKARI MID-INFRARED ALL-SKY SURVEY

  • Ishihara, Daisuke;Takeuchi, Nami;Kondo, Toru;Kobayashi, Hiroshi;Kaneda, Hidehiro;Inutsuka, Shu-ichiro;Oyabu, Shinki;Nagayama, Takahiro;Fujiwara, Hideaki;Onaka, Takashi
    • 천문학논총
    • /
    • 제32권1호
    • /
    • pp.67-71
    • /
    • 2017
  • Debris disks are circumstellar dust disks around main-sequence stars. They are important observational clues to understanding the planetary system formation. The zodiacal light is the thermal emission from the dust disk in our Solar system.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the evolution of dust disks around main-sequence stars, we try a comparative study of debris disks and the zodiacal light. We search for debris disks using the AKARI mid-infrared all-sky point source catalog. By applying accurate flux estimate of the photospheric emission based on the follow-up near-infrared observations with IRSF, we have improved the detection rate of debris disks. For a detailed study of the structure and grain properties in the zodiacal dust cloud, as an example of dust disks around main-sequence stars, we analyze the AKARI mid-infrared all-sky diffuse maps. As a result of the debris disks search, we found old (>1 Gyr) debris disks which have large excess emission compared to their age, which cannot be explained simply by the conventional steady-state evolution model. From the zodiacal light analysis, we find the possibility that the dust grains trapped in the Earth's resonance orbits have increased by a factor of ~3 in the past ~20 years. Combining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non-steady processes in debris disks and the zodiacal light.

경기도 파주시 오존농도의 통계모형 연구 (Analysis of statistical models for ozone concentrations at the Paju city in Korea)

  • 이훈자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1085-1092
    • /
    • 2009
  • 지표오존 농도는 국가의 중요한 환경 척도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파주시 오존농도를 자기회귀오차모형과 신경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오존 분석을 위한 설명변수로는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프로메툼10 등의 대기자료와 일 최고온도, 풍속, 상대습도, 강수량, 이슬점온도, 운량, 수증기압 등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신경망모형이 좋은 모형으로 나타났고, 자기회귀오차모형도 오존에 영향을 주는 설명변수를 첨가하면 좋은 모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정렬 3차원 측정점으로부터의 표면 재구성을 위한 경계면 축소포장 알고리즘 (Shrink-Wrapped Boundary Face Algorithm for Surface Reconstruction from Unorganized 3D Points)

  • 최영규;구본기;진성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10호
    • /
    • pp.593-602
    • /
    • 2004
  • 정렬되지 않은 3차원 측정점들로부터 이들을 근사하는 표면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경계면 축소포장 방식에 의한 표면 재구성 방법(shrink-wrapped boundary face: SWBF) 으로, 측정점으로부터 경계셀과 경계면을 구해 초기 메쉬를 생성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축소하는 방식에 의해 표면을 재구성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표면 축소포장 방식의 메쉬 생성 방법의 문제점인 물체의 토폴로지에 대한 제약이 없이 어떠한 형태의 표면 재구성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 방법이 축소 단계에서 각 메쉬 정점에 대한 최단거리 측정점을 찾는 전역 탐색을 해야 하는데 비해 지역 탐색만으로 최적의 측정점을 찾을 수 있으므로 처리 시간 측면에서도 우월하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표면 재구성 알고리즘이 측정점들간의 관계를 알 수 없는 정렬되지 않은 3차원 점들에 대한 표면 재구성에 매우 안정적이고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늘시계지수 비교 및 도시기온 상관성 연구: 강남 선정릉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Comparison of Sky View Factors and a Correlation with Air Temperature in the City)

  • 이채연;신이레;안승만
    • 대기
    • /
    • 제27권4호
    • /
    • pp.483-498
    • /
    • 2017
  • Sky view factor can quantify the influence of complex obstruction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best available SVF method that represents an urban thermal condition with land cover in complex city of Korea and also to quantify a correlation between SVF and mean air temp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ee SVF methods comparison result shows that urban thermal study should consider forest canopy induced effects because the forest canopy test (on/off) on SVF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 range (0.8, between maximum value and minimum value) in comparison with the range (0.1~0.3) of SVFs (Fisheye, SOLWEIG and 3DPC) difference. The significance is bigger as a forest cover proportion become larger. Second, R-square between SVF methods and urban local mean air temperature seems more reliable at night than a day. And as the value of SVF increased, it showed a positive slope in summer day and a negative slope in winter night. In the SVF calculation method, Fisheye SVF, which is the observed value, is close to the 3DPC SVF, but the grid-based SWG SVF is higher in correlation with the temperature. However, both urban climate monitoring and model/analysis study need more development because of the different between SVF and mean air temperature correlation results in the summer night period, which imply other major factors such as cooling air by the forest canopy, warming air by anthropogenic heat emitted from fuel oil combustion and so forth.

객체인식과 분석을 위한 3D 체인코드의 적용 (Application of 3D Chain Code for Object Recognition and Analysis)

  • 박소영;이동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59-469
    • /
    • 2011
  • 객체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는 요소는 크기, 경사도와 경사방향, 곡률, 기복변화, 요소간의 특성관계, 선 또는 면이 이루는 각, 특징점의 분포형태 등 매우 다양하다. 객체가 존재하는 공간은 3차원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2차원 공간상에서 객체를 표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객체인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 객체의 형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기존의 체인코드를 3차원으로 확장시켜 큐브형태의 연산자의 적용을 수행하였다. 일련의 코드로 생성되는 3D 체인코드를 분석하여 객체를 정형화하여 하향식 방법에 의한 객체 모델링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점 데이터 분할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라이다 데이터에 의한 모델링에 사용될 수 있다.

드론을 활용한 산림공간정보 조사 및 분석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Drone)

  • 박준규;정갑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02-607
    • /
    • 2018
  • 산림공간정보는 국가산림계획 및 산림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주기적으로 구축 및 관리되고 있으며, 이 중 임야의 훼손에 대한 정보는 토사유출이나 산사태 등 추가적인 재해 발생의 위험이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목측 및 줄자에 의한 산림조사 방법은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최근 드론은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분야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드론 관련 산업 시장의 규모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산림공간정보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드론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지역을 촬영하고, 데이터 처리를 통해 정사영상과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DSM(Digital Surface Model)을 생성하였으며, 성과물을 이용하여 훼손지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임야훼손지역의 면적과 체적이 산출되었으며, 산림조사 분야에서 드론의 활용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드론을 활용한 산림공간정보 조사 및 분석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산림계획 및 정책 수립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