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40/LXSIRI.2016.46.1.23

Construction of BIM based Building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Terrestrial LiDAR  

Kim, Kyeong-Min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Lee, Kil-Jae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Cho, Gi-Sung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v.46, no.1, 2016 , pp. 23-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Recent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T, the non-linearity and enlargement in the response to the combination of the building industry and IT have made a wide variety in outer shapes of the buildings. So buildings need a more accurate representation using visually superior three-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Therefore, the study models the shapes of the other building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s. Frist of all, we measured the buildings using a Terrestrial LiDAR. Second, we obtained a high-density point cloud date of the buildings. Through this data, we made the BIM model and compared the heights of each floor's outer information layers. And then identified the BIM data status using IFC standards formats. From this data, it proposes a new 3D cadastre and the alternative for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information.
Keywords
Terrestrial LiDAR; BIM; 3D Cadastre; IFC; OpenBI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태욱 (2011), BIM의 원리, spacetime.
2 국토교통부 (2010), 건축분야 BIM 적용 가이드, 국토해양부 건축기획과.
3 김감래, 안병구, 황보상원(2008), 3차원 지적을 위한 건축물 취득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24권 제1호, pp.27-36.
4 김경민, 김찬용, 최연웅, 조기성 (2014),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탑재를 위한 한옥의 BIM기반 3차원 모델링 연구, 학술지"地籍",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제44권, 제2호, pp.91-101.
5 김경민 (2015), 지상 LiDAR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BIM기반 공간정보구축,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6 김찬용 (2014),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탑재를 위한 한옥 구조물의 3D표현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7 민병근, 박동현, 장용구, 강인준 (2012),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항만구조물 토목-BIM 구축을 위한 표준화,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20권 제3호, pp.83-90.   DOI
8 심현우 (2012), 공공건설프로젝트의 개산 견적을 위한 BIM기반 통합솔루션의 활용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9 안병구 (2008), 포인트 클라우드를 이용한 건축물 지적 등록 방안,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10 원종성, 이정주, 이강 (2008), BIM 협업 조직 및 정보관리 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8호, pp.25-32.
11 유현재 (2013), BIM기반 건물에너지 성능평가를 위한 초기설계단계 모델링가이드라인 제안과 IFC데이터 호환성 향상을 위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2 이경근, 정경훈, 김기두 (2011),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구조물 모델링 기법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8권 제1호, pp. 8-15.
13 조동완 (2011), 개방형 BIM기반 건설자재정보의 표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IFD 활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4 조정관 (2011), 3차원지적의 건물모형 구축을 위한 공간자료 융합 연구, 박사학위 논문, 목포대학교.
15 조준호 (2012), 3차원 공간정보와 BIM의 건설공정 적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6 최수연 (2011), 디지털항공사진측량에 의한 도심지역 3차원 공간정보구축 정확도 및 경제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17 최연웅 (2005), LiDAR 자료로부터 Entropy 이론을 이용한 건물 추출기법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18 한동엽, 김용일, 유기준 (2003), Lidar 데이터의 정밀도에 따른 지물의 3D 모델링, 한국GIS학회 춘추계학술대회, pp. 550-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