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th Simulatio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4초

실시간 패턴 변형과 인체 상대좌표계를 이용한 대화형 3D 패턴 디자인 (Interactive 3D Pattern Design Using Real-time Pattern Deformation and Relative Human Body Coordinate System)

  • 설인환;한현숙;남윤자;박창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82-590
    • /
    • 2010
  • Garment design needs an iterative manipulation of 2D patterns to generate a final sloper. Traditionally there have been two kinds of design methodologies such as the flat pattern method and the pattern draping method. But today,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advantages from the two methods due to the realistic cloth simulation techniques. We devised a new garment design system which starts from 3D initial drape simulation result and then modifies the garment by editing the 2D flat patterns synchronously. With this interactive methodology using real-time pattern deformation technique, the designer can freely change a pattern shape by watching its 3D outlook in real-time. Also the final garment data were given relative coordinates with respect to the human anthropometric feature points detected by an automatic body feature detection algorithm. Using the relative human body coordinate system, the final garments can be re-used to an arbitrary body data without repositioning in the drape simulation. A female shirt was used for an example and a 3D body scan data was used for an illustration of the feature point detection algorithm.

2차원 패턴 디자인 모듈과 Octree 공간 분할 방법을 이용한 3차원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2D Pattern Design Module and 3D Cloth Simulation System based on Octree Space Subdivision Method)

  • 김주리;정석태;정성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27-53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의복의 2차원 패턴을 이용하여 3차원 의복 모델을 제작하고 생성된 3차원 의복을 3차원 인체 모델에 자동으로 착의하는 3차원 패션 디자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먼저 2차원 격자의 코너 점을 이용하여 2차원 옷감 조각을 디자인한 다음에 2차원 옷감 조각들 사이에 재봉되어야 할 제약점들을 기술함으로써 3차원 의복을 디자인한다. 그 다음에는 3차원 인체 모델 파일과 3차원 의복을 읽어 들인 다음 질량-스프링 모델에 기반한 물리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의복을 착용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인체 모델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의복을 구성하는 삼각형 사이의 충돌을 검사하고 반응 처리를 수행하였다. 인체를 구성하는 삼각형의 수가 매우 많으므로, 이러한 충돌 검사 및 반응 처리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Octree 공간 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충돌 검사 및 반응 처리 수를 줄였으며 수초 이내에 가상 인체 모델에 의복을 입힐 수 있었다.

  • PDF

적은 감쇠효과를 가지는 의복 시뮬레이션을 위한 새로운 암시적 적분법 (A new implicit integration method for simulation of low-damped cloth)

  • 오승우;원광연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26
    • /
    • 2004
  • 본 연구는 적은 감쇠(damping) 효과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의복의 움직임을 생성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의복 시뮬레이션 분야에서는 뛰어난 수치적 안정성을 지닌 암시적 적분법(implicit integration)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암시적 적분법은 선형화 과정에서 과도한 감쇠효과가 발생하고, 이 감쇠효과는 내부 변형 없는 회전이동 시에도 과도하게 나타나므로, 옷감의 회전 이동이나 주름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크게 방해한다. 본 연구는 불필요한 감쇠효과를 줄이고 안정적으로 의복의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암시적 적분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용 선형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부 감쇠력을 회전이용이 아닌 순수한 내부 변형에 대해서만 발생하도록 모델링하며, 이렇게 계산된 내부 감쇠력을 역학식에 안정적으로 반영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보다 다양한 재질의 옷감을 과도한 감쇠 효과 없어도 안정적으로 실시간에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FOR MODELING AND ANIMATION OF A HUMAN WITH BONE STRUCTURE AND CLOTHES

  • Suzuki, Tohru;Yamamoto, Toshiyuki;Nagase, Hiroshi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821-824
    • /
    • 2009
  • A method to visualize human body is proposed for various human pose. The method affords three 3D-styles of the same body: firstly, one which wares clothes specified from pattern of dresses, second, body shape, lastly bone structure of body. For this objective, standard body data are prepared which is constructed from CT images. Individual body is measured by 3D body scanner. The present status of our research is limited to offer still images, though we are engaged to accommodate various poses.

  • PDF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적절한 메쉬 크기 조절이 가능한 천 시뮬레이션 방법 (A cloth simulation method using adaptive mesh size control depending on the system performance)

  • 김대목;유관우;이종원;백낙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529-531
    • /
    • 2001
  • 물리기반 모델링(physically based modeling)기법은 현실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물체의 다양한 움직임을 물리 수식을 통해 사실적으로 표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시스템의 성능에 의존적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천 동작 알고리즘과 메쉬 크기를 가진 시스템을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진 시스템에서 작동할 경우,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서로 다른 프레임 수를 나타낸다. 즉, 성능이 낮은 시스템에서는 계산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느린 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반면에 성능이 높은 시스템에서는 상대적으로 계산 시간이 적기 때문에 보다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프레임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적합한 메쉬 크기로 구성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삼각형 메쉬에서 안정적인 변형률 기반 동역학을 위한 굽힘 스프링 모델 (Bending Spring Model for Stable Strain-Based Dynamics in Triangular Meshes)

  • 김종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341-34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삼각형 메쉬 기반에서 변형률 기반 동역학(Strain-based dynamics, SBD)을 안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굽힘 스프링 구조와 감쇠 기법에 대해 설명한다. SBD는 삼각형 메쉬의 에지 길이(Edge length) 기반의 에너지 대신 변형률(Strain)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모델링한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삼각형(Degenerate triangle)인 경우 변형률이 불안정하게 계산되어 잘못된 방향으로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굽힘 스프링(Bending spring) 구조에 대해 소개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안정적으로 SBD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재질의 옷감 시뮬레이션을 안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성인여성용 길 원형 비교 연구 - DC Suite Program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basic bodice block for adults women by 3D simulation - focus of the DC Suite Program -)

  • 차수정;강연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2호
    • /
    • pp.63-81
    • /
    • 2013
  • A Study using compare and analyze about differences among three patterns(shape and size of pattern, fitting and amount of air gap and so on) through 3D simulation. This study use 3D simulation program, DC Suite version 3.0. The results are as a follows: The results of estimation about total appearance, the pattern of Bunka is best of all pattern about total fitting and silhouette of front and back side. The pattern of armstrong and on&on stand low in estimation. As the total fitting, the pattern of Bunka is 4.40, the pattern of Armstrong is 2.60 and the pattern of On&on is 1.60. The result show better pattern of Bunka than pattern of Armstrong and On&on. When we examine about space between body and cloth, the pattern of Bunka is best. The pattern of Armstrong don't have problems about back side but front side have some problem of getting loose. Because it only have a waist dart so dart size is too big. The pattern of On&on have so much space because it don't have a waist dart. On the amount of air gap, the pattern of Bunka squash up body so it have the amount of air gap 0.08 at bust circumference and underbust circumference. Next is the pattern of Armstrong, amount of air gap is 0.14 at bust circumference and 0.23 at underbust circumference. The pattern of On&on's amount of air gap is 0.30 at bust circumference and 0.37 at underbust circumference. So the pattern of Bunka is bodice block of the best closing adhesion and the On&on is a loose-fitting pattern.

갯벌지역 고해상도 지형정보 구축을 위한 항공 라이다와 UAV 데이터 통합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Airborne LiDAR and UAV Data for High-resolution Topographic Information Construction of Tidal Flat)

  • 김혜진;이재빈;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45-352
    • /
    • 2020
  • 갯벌의 보존과 복원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 갯골의 정확한 위치와 형상을 포함하는 갯벌 지형정보 구축이 필요하다. 현장 측량이 어려운 갯벌 지역에 대해, 항공 라이다 측량은 넓은 지역에 대한 정확한 위치정보 데이터의 취득이 가능하며, UAV (Unmanned Aerial Vehicle) 측량은 상대적으로 공간해상력이 우수한 데이터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갯벌 지형정보 구축을 위하여 항공 라이다와 UAV 포인트 클라우드 간의 데이터 통합을 수행하고, 갯골의 세부 지형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ICP (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두 이종 데이터를 자동 정합하고, 지면 필터링 기법인 CSF (Cloth Simulation Filtering)를 활용하여 갯골을 추출한 후, 갯골 영역에 대한 고점밀도 UAV 데이터와 평평한 지면에 대한 항공 라이다 데이터를 통합하였다. 통합된 데이터로부터 DEM (Digital Elevation Model) 및 갯골의 영역과 깊이 정보를 생성하여 대축척 갯벌 지도 제작을 위한 고해상도 지형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제안한 방법을 통해 GCP (Ground Control Point) 없이 UAV 데이터를 기하보정하고, 갯골의 세부 지형정보를 포함하면서 데이터 용량은 상대적으로 작은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었다.

니트소재의 인장변형 특성과 3D 디지털 클로딩 시스템에 의한 외관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nsil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Knits and Appearance Using 3D Digital Virtual Clothing Systems)

  • 최경미;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2호
    • /
    • pp.151-162
    • /
    • 2012
  • The industry-wid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s also affected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immensely. The applications of 3D technology, virtual reality, and/or augmented reality systems have helped to create novel fashion brands based on the marriage of IT and textile/fashion industries. 3D digital virtual clothing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in terms of the planning, manufacturing, marketing and sales sectors. So far, most of the development effort for the 3d virtual clothing systems has been focused on the woven fabrics. The characteristics of woven fabrics differ from those of knitted fabric. Since the physical 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knitted fabrics are definitely different from those of woven fabrics, the simulation process for the knitted fabrics should follow different approaches. The loops in a knitted fabric deform easily. The deformation results in a readily stretchable fabric appearance. Cloth simulation mostly employs models that approxim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inear elastic planes. This simulation scheme does not, however, describe well enough the behavior of knitted fabrics, which deviate largely from the linear isotropic mater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at characterizing the tensile deformation and surface textures of a knitted fabric product. Tensile deformation curves for the wale, course, and bias direction are analyzed. The surface texture of the knitted fabric is analyzed by using a 3-dimensional scanning device.

의복의 톤조합과 착용자의 체형에 따른 인상평가 (제1보) (The Impression Evaluation of the Cloth's Wearer in Relation to Tone Combination and Body Type of Wearer)

  • 팽숙경;강경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007-102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wearers' body types and clothes' neutral tone combination on impression formation.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7-point semantic). The stimulus include 45 pictures manipulated by computer simulation in wears' body types and neutral tone variation. The subjects are 540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in Gyeong-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mpression factor of the stimulus consisted of 5 different dimensions including tenderness, cuteness, attractiveness, elegance, intrepidity. Each impression of neutral tone combinations, along with wears' body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nderness, attractiveness, and intrepidity. Especially, it had the strongest effects on attractiveness. Each impression of wearers' body types along with neutral tone combinations affected cutenes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fact above, wears' body types and neutral tone combina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pression formation of wear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