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dental hygienists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39초

대입준비생들의 치과위생사에 관한 인식도 조사 (Recognition of college-preparatory students for dental hygienist)

  • 김동열;이승훈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3-111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college-preparatory students who interested and prevented themselves in oral health diseases for dental hygienist in Yeungnam South Korea.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8 students who was seriously worried for career and entrance into a school. The survey period was from August 16th 2011 to November 26th 2011,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high school students in Yeungnam and the preparatory students who visited S college in Gyeongju.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87.2% of the subjects have recognized about the name of dental hygienist, 51.5% have distinguished dental hygienist in the clinic, and 67.4% have recognized about education of dental hygienist that was more than a college graduate. The received services from dental hygienist was scalling(15.6%), assistant of treatment(14.7%), tooth brushing instrument(11.5%), Reception & receipt(11.0%), and etc.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have recognized that dental hygienist was the professional(4.82 points), the important role in oral health(4.88 points), and the intermediary between patients and dentists(4.60 points). And they were friendly(4.64 points), responsible(4.81 points), and worthwhile job(5.01 points). However their appell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yet(4.00 points), they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nursing assistants(4.37 points), and their task did not differs from AN(4.53 points). Also they compared to other job was not stressful job(3.58 points). Conclusions : Refer to these results, those will be the basi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tatus establish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for the upright role as a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addition, those will help to patients in the future, and become an effective instrument to learn knowledge, skill, and service that needed to conduct business.

치위생과 학생의 교정치료 실태와 교정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treatment effect on dental hygiene students Factor)

  • 신명숙;황지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57-65
    • /
    • 2018
  •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교정치료 실태 및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교정환자들의 협조도 및 환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일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설문지 작성법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를 얻어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최종 430부를 분석하였으며, 본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교정치료 시작 시기는 대학생 때가 34.4%, 교정치료 기간은 2~3년 미만이 36.9%, 교정치료를 시작하게 된 동기는 내적동기가 62.3%로 가장 높았다. 교정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협조도가 가장 높았고, 병원의 규모가 가장 낮았다. 치과의사 전공 여부와 치과위생사의 진료 업무, 교육 및 상담과의 관계가 .521로 가장 높은 양의 상관과계를 보였으며(p<0.001), 학년이 높을수록, 임상실습과 치과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을수록 환자의 협조도가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치과치료와 교정치료 경험이 있을수록 가족의 협조도는 낮았다. 이에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교정환자들의 협조가 중요함을 강조하고, 환자 개개인에 맞는 전략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Rapid upper limb assessment와 3차원 동작 분석을 활용한 치석제거 자세교정 교육의 효과 (Effect of posture correction training in dental scaling using rapid upper limb assessment and 3D motion analysis)

  • 윤태림;민지현;김한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9-280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clinical dental hygienists when implementing dental scaling before and after posture correction training using the rapid upper limb assessment (RULA) method and 3D motion analysis. Methods: Thirty-two healthy volunteers performed dental scaling to remove artificial calculus on dental manikin. The movement and angle of the joints were verified by RULA and 3D motion analysis during the procedure. The subjects were also photographed for 1 minute during the procedure for 10 minutes while the calculus was removed. After the removal of the calculus, the subject and the instructor checked the video together. Posture correction training was conducted by the instructor so that the subject could perform the calculus removal operation in the correct posture. Artificial calculus of the adjacent teeth was then removed for the same period of time, and the change in posture was reviewed.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posture change using RULA was $5.72{\pm}0.58$ before training and $4.31{\pm}0.10$ after training, showing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training (p<0.001), and upper arm, lower arm, wrist position, neck and waist posit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training. The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riteria measured at all measurement sites except the left shoulder (p<0.05)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rough RULA and 3D motion analysis that postural correction training using calculus removal images was effective, and that correct postural education is essential to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eases caused by removal of calculus.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Medical Technician's. Etc. Act Systems Focusing on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 Yoon, Tae-Hy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8권2호
    • /
    • pp.128-135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ysical Therapist and Occupational Therapist Act" of Japan and the "Medical Technician's. Etc. Act" of Korea in order to establish the grounds for improvement of effective law-making. Methods: We obtained the "Medical Technician's. Etc. Act" from the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nd the "Physical Therapist and Occupational Therapist Act" from the Japanes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It was translated from an association by related Japanese and experts. Results: The laws consisted of acts, enforcement ordinances, and enforcement regulations in both Korea and Japan. In the Korean case, eight occupations were defined in one law including six types of medical technicians, as well as medical recorders and opticians. The "Physical Therapist and Occupational Therapist Act" in Japan is composed of 6 chapters and 22 articles, while the Korean Act consists of 33 articles without chapters. Among them, 11 articles covered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dental laboratories and eyeglass shops, and only 22 articles were related to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Conclusion: Independent laws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type of medical technician. They must be comparable to Japanese laws on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as well as clinical pathologists, dental hygienists, dental technicians, radiologic technologists, medical recorders, and opticians.

치과위생사의 유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ist's humor)

  • 윤영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an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hum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6th, 2002 to January 13th, 2003, centering on Busan Dental Hospital & public health service. A total of 193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for the survey. The result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age(F=1l.44, p=0.000), marriage(t= -3.556, p=0.000), education(F=14.83, p=0.000), clinical carrier(F=9.99, p=0.000), status(F=5.83, p=0.001), working place(F=7.39, p=0.000), and living parents(F=3.65, p=0.014). Humor values were higher for over-forties, married dental hygienists, public health service worker and no living parent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the dental hygienist's humor value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sources of the dental hygienist's humor. Data related "book/mass media"(t=-6.32, p=0.000), "conversation" (t=-12.05, p=0.000) and "daily life"(t=-10.33, p=0.000) are examples of these sources.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the dental hygienist's humor degree related frequency of used humor.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the type of humor used, "word humor"(t=-7.00, p=0.000), "imitation"(t=2.68, p=0.008), "adequate situation" (t=-8.03, p=0.000), "technical terms"(t=6.65, p=0.000) pertain to this. 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the time of using humor expression, "loose situation"(t=-3.75, p=0.000), "tired situation"(t=4.01, p=0.000), "tense situation"(t=5.37, p=0.000), "adequate situation"(t=-16.03, p=0.000) pertain to this.

  • PDF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f clinical dental hygienist working on Job stress.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elf Esteem-)

  • 황다혜;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67-74
    • /
    • 2016
  •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편의 추출된 임상치과위생사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6년 1월 3일부터 1월 30일까지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은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을 가지고 있으며, 직무스트레스와는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중 관계갈등과 직무불안정, 직장문화에서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직접효과와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낮아진 자아존중감이 다시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간접효과를 동시에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임상 치과위생사들에게 감정노동의 대처방안 및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을 통하여 감정노동 수준 관리와 병원차원에서의 융합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방사선사진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방사선촬영법 숙련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에 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and integration study related to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for radiography training using dental radiograph and augmented reality)

  • 구자영;이재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41-447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기술을 활용하여 치과 방사선 촬영술의 반복 연습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다. 성인 모델의 외형을 사진 촬영하고, 실습용 마네킹 팬텀을 컴퓨터 단층 촬영한 후, 이를 중첩하여 삼차원 객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결과로 출력되는 106장의 방사선사진은 촬영법과 관련된 치아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고, 학습자가 성공적인 촬영을 수행하면 각 촬영조건에 맞는 부위별 영상이 호출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전 단계에서의 연습을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 이 콘텐츠를 이용하여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촬영 임상 실무역량을 향상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다만, 직접 얼굴인식을 통해 촬영하는 것이 실습효용 가치가 클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이에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nalysis of dental hygiene assessment data of recall patients (mainly 20s age)

  • Choi, Hye-Jung;Woo, Hee-S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31-137
    • /
    • 2022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구강 즉, 치아와 치주도 노화가 시작되어 그에 따른 준비 과정이 필요하다. 그 준비과정은 20대부터 지식, 태도, 행동으로 이루어지는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져 구강건강관리가 계속적으로 시작되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경기도에는 있는 한 치과의원에 내원하여 치료 후 구강건강관리실에서 계속관리를 받고 있는 환자들을 연구대상으로 임상치위생과정을 설계하기 위하여 치위생사정의 데이터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치위생사정 도구로는 인적사항 및 전신병력을 기본으로 하여 치과방문경험, 치주검사(bleeding on probing; BOP), 구취검사, 위상차현미경으로 구강 세균 관찰, 치면세균막 검사(O'Leary index)를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치과방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75.4%이고, 경험이 없는 경우는 24.6%로 나타났고, 치주검사 결과는 전반적으로 출혈이 있는 경우가 76.3%로 나타났다. 예방적 구강관리에서 20대의 치위생사정 단계는 중요한 첫 단추이다. 이 때 부터 본인의 구강상태를 스스로 책임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습관화되어야 하는 중요한 연령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 대상자의 구강검사를 통해 치위생사정 결과를 도출해 보고 그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건강 관리에 있어서 임상치위생과정 중 치과위생사의 치위생수행 능력 역량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의료기사의 의료인 종별 포함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한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Basic Study on the Inclus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Type of Medical Personnel: Focus on Korea, Japan, and Taiwan)

  • 구본경;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1-3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사를 의료인 종별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의료법에서 의료인을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로 정의한다. 의료기사는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로 구분한다. 한국은 의료인에 의료기사를 포함하지 않지만 일본과 대만은 의료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제표준직업분류(ISCO-08), 한국표준직업분류(KSCO-2017), 일본표준직업분류(JSOC-2009), 대만표준직업분류(TSOC-2010), 미국표준직업분류(SOC-2018) 등의 다양한 표준직업분류를 비교하였다. 의료기사 교육체계는 4년제 대학과 3년제 전문대학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의료행위, 치료, 진료보조 분야에서 의료기사의 역할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기초자료는 의료기사의 의료인 종별 포함의 의미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과 의료인 종별 포함과 관련하여 의료기사의 전문성의 합법화에 기여할 것이다.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in Adults)

  • 최은실;정수라;조한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75-785
    • /
    • 2015
  • 본 연구는 KNHANES 제6기 1차 년도(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만 19세 이상 성인 4,839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교차분석 결과 구강위생용품의 사용(하루 칫솔질 빈도, 치실 사용 여부, 치간칫솔 사용 여부, 구강양치용액 사용 여부)은 성별, 나이, 교육수준, 가구소득, 결혼상태, 치과의료 이용, 치과검진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미치는 변수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성별, 교육수준이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용품에서 모두 공통되지는 않았지만 구강건강상태와 치과의료 이용, 최근 1년간 치과검진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치과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는 구강위생용품을 세분화하여 각 영향 요인을 인식하고 개인의 특성 및 구강상태를 반영한 구강보건교육매체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국민구강보건증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