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e for Creativit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Information Sharing and Creativity in a Virtual Team: Roles of Authentic Leadership, Sharing Team Climat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 Hahm, SangW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8호
    • /
    • pp.4105-4119
    • /
    • 2017
  • Creativity is crucial in an ever-changing e-business environment. The creation of new value is essential for companies to gain the competitive edge and to pioneer new markets in e-business. Hence, many companies in e-business operate virtual teams as they are suitable to generate creativity. Even so, virtual teams possess the inherent weakness of a lack of cohesiveness. Hence, for a virtual team to be creative, team members should help each other and share inform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that is supposed to improve creativity and explains how to increase them for virtual teams. To explain these relationships, three dimensions are routinely examined in organizational behavior studies: leaders, teams, and members. As a consequence, an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uthentic leadership, sharing team climat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enhances information sharing and creativity through their respective roles, in addition to information sharing directly increasing creativity. To improve creativity and information sharing of virtual team members in e-business, this article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three roles stated prior. Such factors can increase information sharing and creativity, and will help virtual teams and organizations to be more successful in e-business.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혁신 분위기의 조절효과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n Individual Creativity: Moderating Role of Innovation Climate and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 권상집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77-87
    • /
    • 2022
  • 기존 연구에서는 꾸준히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을 향상하는데 있어 리더십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수많은 연구가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를 언급하고 있지만 벤처창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기업가적 리더십에 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이를 감안, 본 연구는 조직 내 혁신 분위기의 조절효과 및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토대로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국내 중소·벤처기업에 근무하는 161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의 효과는 조직의 혁신 분위기가 높을 때 더욱 강하게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 내 혁신 분위기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포괄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벤처창업, 리더십, 창의성 연구 영역에 중요한 학문적인 시사점을 제안했으며 후속 연구는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창의성을 강화할 수 있는 혁신과 관련된 맥락을 조절 및 매개변수의 관점에서 분석해야 할 것이다. 특히, 후속 연구는 산업 및 기업의 유형을 더 다양하게 포괄하는 연구를 진행, 본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필요한 교훈을 제시해야 한다.

창의적 교실 분위기 평가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the Creative Classroom Climate Scale)

  • 민지연;최인수
    • 아동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42
    • /
    • 2008
  • This study developed the Creative Classroom Climate Scale(CCCS) for Elementary Students, verifie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creative thinking, personality and motivation. Three professionals examin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CCS after the item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CCCS and the Creativity Inventory for Young Students(CIS; Choe & Lee, 2004) were administered to 266 6th grade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the CCCS was valid and reliable including the sub-factors of Support, Trust, Tension, Playfulness, Conflict, Challenge and Communication. The sub-factor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otal scores. CIS scores varied by the creative climate of the classrooms on the CCCS; creative motivation was especially influenced by classroom climate.

  • PDF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 및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Employee's Innovative Performance: Climate for Creativity as a Mediator and Innovative Tendency as a Moderator)

  • 김영명;안효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2호
    • /
    • pp.247-285
    • /
    • 2014
  •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개념이 중요함에도 실제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 분야의 연구개발 조직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 있어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향으로 인한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 및 창의적 분위기와 혁신성과의 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분위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성과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혁신 성과에 있어서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조성의 관련성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개인 성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 모델의 개념을 확장한 '창의성 생성 모델' 개념을 제안하였다.

신제품개발팀에서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기술혁신 성과간의 관계 :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Social․Task Cohesion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New Product Development Team: Moderating Role of Climate for Creativity Support to Team)

  • 김학수;이준호;한준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17-724
    • /
    • 2014
  • 팀 응집성은 양날의 검처럼 정적 부적 효과가 있다는 논쟁에도 불구하고, 실증 연구들은 팀 응집성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하였다. 본 연구는 팀 응집성을 관계를 강조하는 사회적 응집성과 과업을 강조하는 과업 응집성으로 구분하고, 창의적 긴장에 의해 창출되는 기술혁신 성과를 결과변수로 본다면, 팀 응집성의 정적 부적 효과에 대한 논쟁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응집성은 동질성을 강조하므로, 다양한 사고를 촉진시키는 팀 창의성 지원 풍토는 사회적 응집성의 부적 효과를 완화시키고, 과업 응집성의 정적 효과를 강화시킬 것으로 보았다. 205개의 신제품개발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기술혁신 성과에 대해 사회적 응집성의 부적 영향(${\beta}$=-.19, p<.01), 과업 응집성의 정적 영향(${\beta}$=.18, p<.05), 사회적 응집성과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정적 상호작용효과(${\beta}$=.14, p<.10) 및 과업 응집성과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정적 상호작용효과(${\beta}$=.16,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 직무와 개인의 창의성에 의한 자기평가 연구 (A study on the self-evaluation of job performance and creativity of dental hygienists)

  • 홍선화;구경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037-1048
    • /
    • 2010
  • Objectives : The awareness of health care need increasing attention from the public along with changing professional human-resources activity. As there are increasing social demand for the roles and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performance,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limate of dental hygienists by their own self-diagnostic evaluation in an attempt to help enhance their work ability. Methods :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as August 2008 by the Dental Association and public health centers in Gwangju, 735 dental hygienists worked at 425 dental clinic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6 dental hygienists at 85 dental clinics who were selected by proportionate sampling method from among the dental hygienists. After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the answer sheets from 132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24 incomplete one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49 items. A five-point Likert scale was used and SPSS 12.0 program was analyzed the data. Results : 1. As a result of checking the types of works, treatment cooperation(54%), and oral health education often(45%), They weren't responsible for preventive treatment(42%). 2. When they made a self-diagnostic evaluation of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limate, they put the highest value on their autonomy(2.21), followed by positive attitude(2.10). Out of seven organizational climate, challenging spirits(2.81) ranked highest, followed by reliability(2.66). 3. Major management eopmubyeol individual creativity compared with three business relationships and a positive attitude in the case of the high group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and care management services in a group doing the most was General office work and office assistance work in the medical assistance group that was doing business primarily.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ssesment score and three performance duties, Positive difference was noted in the group with positive attitude and elevated autonomy in terms of performing oral health education. Conclusions : As a result, indivi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 of the atmosphere, each detail, through analysis of the self-assessment model, developed guide on the investigation by doing a dental hygienist, a unique business promotion and Enlargement of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to be considered is.

창의성 요인에 대한 통계적 실증연구: 서울특별시 소방서를 대상으로 (An Empirical Research on Creativity Factors - Focusing on Seoul Fire Stations -)

  • 한민채;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32-39
    • /
    • 2012
  • 본 연구는 소방조직에서의 창의성 촉진 요인을 탐색하여 조직 창의성의 증진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기후변화 등과 더불어 시민의 소방서비스의 욕구증대로 인하여 소방서에 대한 기대가 점증하여 전통적인 화재 구조 구급 업무수행뿐 아니라 환경변화에 조응하는 적절한 방식의 변화를 통하여 정당성과 영속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창의성이라는 주제는 소방서의 영속성을 담보하는 주요한 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 5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비전, 폐기학습 및 긍정적 피드백과 같은 변수들이 실제로 조직 창의성을 고양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시 소방공무원 1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위의 언급한 변수들이 조직 창의성과 관련이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검증결과에 따라, 창의성 촉성을 위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Establishing Online Meeting Climate Types and Developing Measurements: Impact on Meeting Satisfaction

  • Jin, Xiu;Zheng, Fusheng;Hahm, Sangw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8호
    • /
    • pp.2751-2771
    • /
    • 2022
  • In the post covid-19 era, organizations will experience a new environment. Advances in technologies such as AI and big data, and new experiences such as online meetings and lectures, will increase the use of online communication. Businesses will increasingly engage in online-based information sharing, virtual team operations, and online meetings. This study focuses on meeting climate and satisfac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nline meetings. Existing studies on meeting climate presuppose off-line situations. Offline and online communication methods and meeting formats are different. This paper proposes new climate types to develop an appropriate climate for online-based meetings. To apply these climates in online meetings, a measurement scale was developed and the impact on online meeting satisfaction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oriented meeting climate was the most important, and relation-oriented and participation-oriented meeting climate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while the direction-oriented and task-oriented climates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This study develops new variables and measurements for online meeting climates, and explains their importance. Companies will be able to leverage the appropriate climates for online meetings to improve performance.

초등학생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환경디자인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Design STEAM Program in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윤희;이명아;한혜련;반자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5-22
    • /
    • 2016
  • Recent changes in the Korean education policies are promoting th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ltivating people of convergence talent.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 educational program is Korean styled convergence program for creative competent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developing convergence hand-on educational program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development of the program, we investigated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about the climate change, and allocated in the creative learning standard frame. Also, we selected themes related the climat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learning activity. For more effective program to build the convergence competency, we analyzed the program based on cre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rocess and 4 core competency(creativity, communication, convergence, caring) elements. In conclusion, the STEAM program needs to develop by school curriculum and leaner's 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EAM program consists with cre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rocess. And the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would analyze by the creative PBL process and convergence competency elements. So, this developing program has brought the promotion of th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t talented person for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재라;김서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57-263
    • /
    • 2018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8년 5월 14일부터 2018년 6월 1일까지 광주광역시에 있는 S 대학교에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114명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메타인지의 전체 평균은 3.26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 3.36점이 보통/불만족 3.16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숙달접근목표의 전체 평균은 3.26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이 3.38점이 보통/불만족 3.14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율적 교육풍토의 전체 평균은 3.08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 3.17점이 보통/불만족 2.98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창의 인성의 전체평균은 3.37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이 3.47점이 보통/불만족 3.26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대학생의 창의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메타인지와 숙달접근목표로, 메타인지와 숙달접근목표 점수가 높을수록 창의 인성이 높게 나타나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