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aning Agent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3초

Methylene Chloride의 대체세정제 적용 사례 연구 (Field Application of an Alternative Cleaning Agent to Methylene Chloride)

  • 배재흠;신민철;이통영;조기수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9-124
    • /
    • 1999
  • A study for replacing methylene chloride for an alternative cleaning agent which can be utilized for cleaning aluminium parts of hard disk drives was carried out at Suwon factory of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s a result, quite a good cleaning agent was selected through data collection of alternative cleaning agents, their analysis of environment effects and safty factors and testing of their cleaning power. As compared with methylene chloride, the selected cleaning agent has better cleaning power. It is also more environmental-friendly, less toxic and more economical. And the operating cost reduction due to adoption of this alternative cleaning agent in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as more than ₩l46,000,000 annually without any capital instrument in addition to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and safty conditions in the plant.

  • PDF

전자·반도체용 스프레이 세정제에 대한 분사력 및 세정성 평가 (Evaluation of Cleanliness and Jet Forces by Spray-Type Cleaning Agent for Electronic and Semiconductor Equipment)

  • 허효정;정용안;노경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401-4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PCB의 먼지 제거용 세정제로 사용되는 스프레이형 세정제를 선정하였다. 전자 반도체 부품의 세정에서 분무 세정의 원리를 적용시킨 제품의 분사력을 평가하기 위해 기판(IPC-A-36)을 사용하여 세정제를 분사하여 분사시간에 따라 그 이동거리를 비교하였다. 철가루와 먼지를 오염물, 기판(IPC-A-36)을 시편으로 하여 일반시험 평가법의 방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중량법으로 오염물에 따른 세정성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기판의 이동거리는 분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1회 세정 시(3초간 분사) 먼지와 철가루는 오염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세정효율이 감소하였고 특히 먼지 오염물은 매우 급격한 세정효율의 감소를 보였다.

중고 레이저 복합기의 재제조 공정에서 초음파세정을 위한 대체 세정제의 선정 (Selection of Alternative Cleaning Agents for Ultrasonic Cleaning Process in Remanufacturing of Used Laser Copy Machine)

  • 박용배;배재흠;장윤상
    • 청정기술
    • /
    • 제17권2호
    • /
    • pp.117-12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고 디지털 레이저 복합기의 재제조 과정에 초음파세정공정을 도입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을 통하여 여러 가지 세정제의 세정성을 평가하고 초음파 세정공정의 공정 변수를 변화시키며 최적의 세정제와 공정변수를 도출하였다. 우선 기존에 현장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던 세정제보다 세정효율이 뛰어나고 사용하기 좋은 제품을 찾고자 기존 세정제 (A)와 시판되고 있는 7종의 세정제(B~H)를 선정하여 육안판정법을 이용한 오염물질(유성오일, 토너가루, 구두약)에 대한 세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선별과정으로 물성 명가 및 거품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오염물질에 대한 세정제의 세정성 평가에서 기존에 사용되어지던 A세정제보다 G세정제가 뛰어난 세정효율을 보여주었고, 거품성 평가에서 기존 세정제와 유사한 거품성을 나타내었다. 실제 오염된 레이저 복합기 부품들을 대상으로 예비실험에서 우수한 세정능력을 보여준 세정제를 사용하고 초음파 주파수와 세정시간을 변화시키며 최적 공정변수들을 도출하였다. 28 kHz의 초음파 세정을 이용하여 현장적용을 한 결과 G세정제가 A세정제보다 뛰어난 세정효율을 보여주어 디지털 레이저 복합기 재제조 과정에서의 세정제로서 G세정제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전체적인 재제조 공정의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이 기대된다.

석조 문화재 보존 처리용 세정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Cleaning Agent for Stone Made Cultural Property)

  • 조헌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8-37
    • /
    • 2002
  • 문화재 보존을 위한 처리 과정에는 반드시 세척이 행하여지며, 이 때 세척은 완벽한 세정뿐만 아니라 2차 오염 발생이나 훼손 등에 각별히 조심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석조문화재 보존 처리용 세정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 석조물에 기생하는 미생물과 오물을 시료로 채취하여 FT-IR분석을 통하여 석재 오물의 화학적인 관능기를 파악하고, 각종 용매를 처리하여 그 용출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세정제에 의한 세정 효과와 풍화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석재 문화재 세정용 계면활성제로는 산성용액에서도 안정하며, 석재 구성물질과의 반응성이 적고, 각종 2차 오염 발생 가능성이 적으며, 산화제와 산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H_2O_2/HF/NP-10$ 복합형 세정제는 적용실험 결과, 석조 문화재 처리용 세정제로서 좋은 세정력을 가지고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착화제 첨가에 따른 웨이퍼 세정 용액 특성 분석 및 금속 용해 거동 (Analysis of Wafer Cleaning Solution Characteristics and Metal Dissolu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Chelating Agent)

  • 김명석;류근혁;이근재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0
    • /
    • 2021
  • The surface of silicon dummy wafers is contaminated with metallic impurities owing to the reaction with and adhesion of chemicals during the oxidation process. These metallic impurities negatively affect the device performance, reliability, and yield. To solve this problem, a wafer-cleaning process that removes metallic impurities is essential. RCA (Radio Corporation of America) cleaning is commonly used,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creased surface roughness and formation of metal hydroxides. Herein, we attempt to use a chelating agent (EDTA) to reduce the surface roughness, improve the stability of cleaning solutions, and prevent the re-adsorption of impurities. The bonding between the cleaning solution and metal powder is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Pourbaix diagram. The changes in the ionic conductivity, H2O2 decomposition behavior, and degree of dissolution are checked with a conductivity meter, and the changes in the absorbance and particle size before and after the reaction are confirmed by 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y (UV-vis) and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alyses. Thus, the addition of a chelating agent prevents the decomposition of H2O2 and improves the life of the silicon wafer cleaning solution, allowing it to react smoothly with metallic impurities.

Cleaning agents efficiency in cleaning of polymeric and ceramic membranes fouled by natural organic matter

  • Urbanowska, Agnieszka;Kabsch-Korbutowicz, Malgorzata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1호
    • /
    • pp.1-10
    • /
    • 2016
  • Ultrafiltration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commonly applied techniques in water treatment. Membrane fouling is the main limiting factor in terms of process efficiency and restricting it to the manageable degree is crucial. Natural organic matter is often found to be a major foulant in surface waters. Among many known fouling prevention techniques, the membrane chemical cleaning is widely employed. This study focuses on evaluat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polymeric and ceramic membranes with the use of various chemicals. The influence of cleaning agent type and its concentration, membrane material and its MWCO, and cleaning process duration on the recovery of membrane flux was analyzed. Results have shown that, regardless of membrane type and MWCO, the most effective cleaning agent was NaOH.

수계/준수계 세정제의 개발 및 전자부품 세정공정 현장적용 연구 (Development of Aqueous/Semi-Aqueous Cleaning Agent and its Field Application to Cleaning Process of Electronic Parts)

  • 김한성;차안정;배재흠;이호열;이명진;박병덕
    • 청정기술
    • /
    • 제10권2호
    • /
    • pp.61-7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물성, 세정성, 헹굼액의 유수분리성을 고려하여 유기용매의 종류 및 함량,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 부조계면활성제/계면활성제 (cosurfactant/surfactant, A/S) 비율 등의 변수로 하여 수계/준수계 세정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세정제들은 대부분 평균 액적크기가 10 ~ 20 nm의 미세 나노입자를 형성 하였으며, 30.2~32.5 dyne/cm의 낮은 표면장력과 낮은 점도 값을 보여 주었다. 플럭스에 대한 용해력은 계면활성제의 소수성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terpene을 함유한 세정제들이 hydrocarbon 함유 세정제와 대응 시판세정제에 비해 우수한 용해력을 보여 terpene계 세정제가 대체세정제로의 적합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개발된 세정제들을 함유한 헹굼액은 시판세정제에 비하여 우수한 유수분리성을 보여 헹굼액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부담과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된 세정제를 L 전자 회사의 전자부품 생산라인 SMT(surface mount technology) 세정공정에 적용시켜 보았다. 그 결과 solder cream 제거에 있어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IPA), glycol ether과 같은 물질이 함유된 기존의 세정제에 비하여 세정성능이 2 배이상 향상되었고 생산현장에서 악취와 VOC의 문제를 해결시킬 수 있었다.

  • PDF

차량용 스타트모터를 활용한 재제조 세척방법 평가 (Evaluation of Cleaning Method for Remanufacturing Using Start Motor of Vehicle)

  • 박상진;손우현;전창수;목학수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81-392
    • /
    • 2020
  •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remanufacturing are increasing day by day along with environmental problems.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remanufacturing, but the research for cleaning is much lacking.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 cleaning method for remanufacturing of start motors, one of the automobile parts. The cleaning process consists of oil stain removal, drying and rust removal processes. In this study, the two processes were conducted except for the drying process which has little influence on cleaning. The methodology for cleaning agent selection, degreasing and rust removal process was presented. For each methodology, five analysis factors were calculated by two-way comparison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the values were evaluated quantitatively by substituting them into the evaluation table. In the selection of cleaning agent, neutral system, ultrasonic cleaning in degreasing, and grinding in rust removal were selected as the best cleaning methods.

섬유산업 배기가스 정화용 Electric Fume Collector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맞춤형 세정제 (A Customized Cleaning Agent for the Maintenance of Electric Fume Collector Used for the Purification of Effluent Gas from the Textile Industry)

  • 김호태;유황율;전경민;송두리;김진배
    • 공업화학
    • /
    • 제29권2호
    • /
    • pp.229-236
    • /
    • 2018
  • 섬유산업에서 배출되는 오일미스트를 함유한 배기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개발되어 실제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electric fume collector (EFC) 설비의 집진판 오염에 의한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맞춤형 세정제를 검토하였다. 집진판 표면의 오염물질은 오일미스트가 장기간 축적되면서 심하게 탄화되어 일반 세정제로는 쉽게 제거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오염물질의 특성과 집진판 모재의 손상 등을 고려하여, 알칼리, 알코올, 글리콜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최적의 세정제 성분 조성을 결정하였다. 현장실증실험에는 개발된 세정제 원액을 9.1%로 희석한 용액을 이용하였으며, 단순한 분무방식으로 심하게 점착된 집진판 표면의 오염물질을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집진판의 세척에 의하여 EFC 설비의 배기가스 정화성능 개선효과도 크게 향상되었다.

Chemical cleaning effects on properties and separation efficiency of an RO membrane

  • Tu, Kha L.;Chivas, Allan R.;Nghiem, Long D.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6권2호
    • /
    • pp.141-160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chemical cleaning on the performance of a reverse osmosis membrane. Chemicals used for simulating membrane cleaning include a surfactant (sodium dodecyl sulfate, SDS), a chelating agent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and two proprietary cleaning formulations namely MC3 and MC11. The impact of sequential exposure to multiple membrane cleaning solutions was also examined. Water permeability and the rejection of boron and sodium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water fluxes, temperatures and feedwater pH. Changes in the membrane performance were systematically explained based on the changes in the charge density, hydrophobicity and chemical structure of the membrane surfa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embrane cleaning can significantly alter the hydrophobicity and water permeability of the membrane; however, its impacts on the rejections of boron and sodium are marginal. Although the presence of surfactant or chelating agent may cause decreases in the rejection, solution pH is the key factor responsible for the loss of membrane separation and changes in the surface properties. The impact of solution pH on the water permeability can be reversed by applying a subsequent cleaning with the opposite pH condition. Nevertheless, the impacts of solution pH on boron and sodium rejections are irreversible in most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