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room environment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25초

학교 교실의 천장형 에어컨 토출각도에 따른 온열환경 해석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by the Diffusion Direction with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of the Classroom)

  • 안철린;김동규;금종수;박희옥;정용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145-154
    • /
    • 2005
  •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air-conditioning method which can be satisfied individual separated space and request of occupants.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flow field are investigated both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This study concentrated on analysis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by diffusion direction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of the classroom. The velocit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ir in the room calculated by 3-dimensional method, which include the effect of insulation of the building and outdoor state. This analysis shows that optimum diffusion direction is $30^{\circ}$ to increase thermal comfort in winter and optimum diffusion direction is $15^{\circ}$ to increase thermal comfort in summer.

청주지역 중학교 휴게·편의시설의 배치 및 공간구성 연구 (A Study on Arrangement and Space Layout of Resting·Convenience Facility for Middle Schools in Cheongju Region)

  • 이재형;이지영;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1-28
    • /
    • 2010
  • As the issues such as safety, hygiene, convenience of school fac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living environment for students and teachers arise as an important task in recent, there is increasing concern for resting convenience facility in school. In recent,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change middle high school into the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The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refers to the school operation system in which the classroom is structured as a subject-specialized classroom and the students move to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eir class schedules. This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is advantageous in that each subject can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 facilities or preparations; the usage rate of the classroom can be enhanced; the common study space or living space can be used substantially; the school can plan and operate its own specialized space. On the contrary, it has the weaknesses that there is need to prepare the home base for the guidance of the class or student guidance; there is need for the facilities including personal lockers. Thus, the departmental classroom system requires the space expansion for home base or the resting convenience space for students and thus has to provide various spaces. Under this background, it is also important to check and plan the resting space for the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arrangement location and space Layout of the resting convenience space among school facilities to propose the architectural data for future resting/convenience spaces for the schools.

미래 수학 교실 기준과 수업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Instructional Model of Future Mathematics Classroom)

  • 김부미;이종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73-698
    • /
    • 2012
  • 본 연구는 미래 수학 교실의 기준을 환경, 교사, 학생의 측면에서 총 20개로 제시하였다. 환경기준은 미래 수학 교실이 갖추어야 할 물적 자원이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기능의 측면을 중심으로 3개로 제시하였다. 교사 기준은 수업 전문성의 영역 4개, 학습자의 능력 신장 영역 4개로 제시하고. 학생 기준은 수학적 탐구와 문제 해결, 협력과 의사소통, 공학적 도구나 지원 시스템의 활용 및 조작, 윤리 의식과 디지털 시민 의식의 4개 영역에서 총 9 개로 제시하였다. 또한 미래 수학 수업 모형으로 융합 중심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첨단 환경과 공학적 도구가 갖추어진 미래 수학교실에서의 수학 수업 구현 모습을 시나리오로 제시하였다. 그런 다음, 현재 수학교과와 타교과 간의 융합 중심 교육과정 개발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현재의 수업에 융합 중심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미래 수학 교실을 위한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PDF

사용자 참여설계를 통한 교실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학교공간 혁신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room Space Planning through User Participation Design -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Incheon -)

  • 손석의;김승제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1-17
    • /
    • 2021
  •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in a situation where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s in progress. 2 schools that were the targets of the Incheon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2019 were selected for this, and features such a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at classroom, classroom usage plan, and the stepwise outcome of the user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were contemplated. Especially the workshop outcome was compa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focusing on the actual master plan and zoning plan, in order to identify the feature that opinions of various users are reflected on the actual plan.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reached.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about the user preferential space influences the classroom usage plan of that classroom. Vague expressions about the whole space held a large majority of the objects for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preferential space. The expression mode as limited as the expression of the actions that users want to carry out in the sp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age purpose of the classroom was definit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furniture·facility is relatively high. Secon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zoning for each function, it seems that the stereotype, which is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chalkboard at the front of existing classrooms, was applied in the case of the learning zone. However, in cases of other functions, a tendency was identified that the user carries out an image description that reflects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space. Sufficient preparation will need to precede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user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and the acceptance of various opinions. It seems that especially the classroom usage plan, number of workshops, consultation of each step, and the education about the space expression mode affect the master plan.

초등돌봄교실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분석연구 - 초등 돌봄교실 길라잡이를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n Space Configuration in After-School Care Class for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Guidelines of Emementary School Care Classes -)

  • 김소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3-13
    • /
    • 2021
  • Introduced in 2004 as an 'After-School Academy' policy, the 'After-School Care Class' has become a universa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over time. While the concept of public education service has expand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including educational welfar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are classroom has undergone fixed changes within the uniform classroom structure of a standardized schoo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re classroom through chasing and analysing changes in the care class space configuration from 2004 to the pres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lan of the early care classroom wasn't much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mmon classroom, and it was only in 2007 that the kitchen and floor heating appeared for the first time.From the 2015 standard plan, prominent differentiation of the space between learning activities and resting area was shown, b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nothing more than a division that utilizes ready-made furniture.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2018 Seoul care classes are diversity. In the case of the care exclusive classrooms, the division between the support space and the main activity space became more clear using furniture integrated open walls and various floor levels. In the case of a shift classrooms that is used together with common classrooms, it is characterized by flexibility that allows dramatically different classroom configurations for each time period by using a convertible furnishing space.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구글크레스룸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oogle Classroom for Problem-Based Learning)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81-87
    • /
    • 2018
  • PBL은 유능하고 숙련된 실무자를 훈련시키고 학습 경험 중에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장기적으로 보유하도록 하기 위한 우수하고 효과적인 전략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PBL과 면대면 PBL에 관한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참가자가 서로 의사소통하고, 프레젠테이션 또는 비디오를 보고, 다른 참가자와 상호 작용하고, 작업 그룹의 자원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온라인 환경이다. 오늘날, 교육은 디지털 기기의 사용으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다. 구글은 교육 기관을 위한 이러닝 플랫폼으로 구글 크레스룸을 소개했다. 구글 크레스룸은 무료로 신청할 수 있고, 사용하기 쉽고, 배움에 유연한 온라인 환경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구글 크레스룸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PBL을 설계하고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몽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구글 크레스룸 기반 PBL의 유용성과 평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몽골 도로노드 대학교 자연 과학 및 경영학과에 필요한 이러닝 플랫폼으로 제안될 예정이다.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s on the Reading Interests of Young Children)

  • 천화영;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49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52곳을 선정하고,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4.5세 유아 104명과 그들의 어머니 104명, 담임교사 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가정의 문해환경은 유아의 읽기 흥미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둘째, 교실의 문해환경은 유아의 읽기 흥미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가정문해환경과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 흥미에 영향을 미쳤다. 즉, 교사가 책을 읽어줄 때 확장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고, 가정과 교실에서 문해자료를 많이 활용하며, 가정에서 책을 정해진 시간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읽어주고, 가정에 구비된 도서의 양이 많으며, 교사가 책을 읽어줄때 분위기 조성을 위한 상호작용을 많이 하면 유아의 읽기 흥미가 높아짐을 나타냈다. 따라서 가정과 교실에서 우수한 문해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유아의 읽기 흥미를 향상 시키는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천장형 유닛을 설치한 교실 내의 인체 주변 온열환경에 관한 실측연구 (A Field Measuring Study on the Thermal Environment of Human Surrounding in the Classroom Equipped with Ceiling Unit)

  • 조성우;임영빈;이경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40-246
    • /
    • 2006
  • This paper performed to investigate on vertical temperature distribution, effective draft temperature (ETD) and PMV (Predicted Mean Vote) in the classroom, which is located YangSan city (Kyungsangnam-Do), Korea, is equipped with ceiling unit.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L+10 cm (ankle) and F.L+120 cm (neck) of a measuring point which is adjacent corridor in the classroom showed about $1^{\circ}C$ but of measuring point which is adjacent outdoor expressed up to $4^{\circ}C$, The effective draft temperature (ETD) is -2.3 and -0.52 and 0.67 at near ceiling unit but is 1.2 and 3.3 at far from ceiling unit. The PMV of total classroom showed the range of 'Cold' and 'Slightly Cold.' Therefore, to achieve comfort condition in the classroom is equipped with ceiling unit, the location of ceiling unit and discharge angle and discharge distance from ceiling unit are very important elements.

전통 교실과 Active Learning Classroom 간 비교 연구: 학습 공간이 대학생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Comparison between Traditional Classrooms and Active Learning Classrooms: The Impact of Learning Spaces on Student Perceptions)

  • 최고은;신원석;김명랑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61-172
    • /
    • 2020
  • 본 연구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촉진하여 학습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설계된 ALC(Active learning classroom)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A대학 71명의 학생(ALC 수업 43명, 일반교실 수업 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교실 구성요소 간의 관계, 교수자의 수업전문성, 교실의 사회·문화적 환경, 심리·정서적 환경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ALC 수업 학생들은 교수·학습과 물리적 학습환경의 관계를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CL 수업 학생들은 ALC 환경을 능숙하게 다루는 측면에서의 교수자의 전문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LC 수업 학생들은 교수자와의 비형식적 관계가 보다 촉진되었다고 인식하였으나 심리·정서적 측면에서의 만족도 및 몰입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새로운 학습공간 설계에 있어 교수·학습활동 운영을 위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