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lassroom Culture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235초

창의적 교수법 활용 사례: '국가 위협요인' 학습 과제 (A Case Study of Using Creative Teaching Methods: 'National Threats' Learning Task)

  • 백진욱;정주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373-379
    • /
    • 2023
  • 창의적 교수법은 수업에서 창의성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일부 특정 학습 과제의 경우에는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해당 학습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필요한 선행학습을 충분히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과제 결과물의 신뢰성이 낮거나 의미가 거의 없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충분한 선행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학습 과제를 수행할 때 창의성과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향상하는 교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가 위협요인'이라는 학습 과제에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연구 절차로서, 해당 학습 과제에 적합한 교수법 모형과 세부 절차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서 적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해당 학습 과제에 제시한 교수법을 적용했을 때 의미 있는 결과물을 도출한 학업 성과가 있었다. 이번 연구는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 분야 외에도 교육과 안보와 같은 융합 연구 분야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전환 개념을 활용한 진로 교육용 게임 개발 연구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Game Development Utilizing the Concept of Digital Transformation)

  • 조광희;김수인;안성호;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43-548
    • /
    • 2023
  •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한 기능성 모바일 게임의 개발과정을 다룬다. 선행 연구를 통해 기존의 모바일 게임에서 미래 사회 산업과 직업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미래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산업 구조와 직업의 변화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능력 함양과 핵심 기술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용 모바일 게임을 기획하고 개발하였다. Unity 3D를 활용하고 퍼즐, 카드, 보드 게임의 장점들을 접목하였다. 교육 콘텐츠 개발 측면에 있어서 전문성의 한계가 존재할 수 있지만 학생들이 매우 선호하는 게임을 통해 직업에 대한 미래 지향적인 관점을 제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게임의 직·간접적 교육적 효과를 고려할 때 최근 학교 현장에 보급된 태블릿 기기를 통해 수업 시간에 직업 교육 콘텐츠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글맵 기반 안드로이드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 개발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of Android based on the Google Map)

  • 김병수;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3-158
    • /
    • 2011
  • 최근 교육현장에서 학습에 모바일을 사용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는 모바일의 이동성, 현장성, 휴대성, 시성, 학습정보 접근의 용이성이라는 장점에서부터 시작된다. 특히 안드로이드폰에서 구글맵 API와 GPS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정보(지리 및 문화관련 사진과 텍스트 등)를 공유할 수 있는 본 연구의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장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며 교실밖에서, 또 정규수업 이후에도 활용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학습 자원의 관리와 자기 주도적 학습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기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의과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요건 탐색 (Investigating the Requirements of Good Teaching from Medical Students' Perspectives)

  • 최손환;안효진
    • 의학교육논단
    • /
    • 제18권3호
    • /
    • pp.156-166
    • /
    • 2016
  • Medical school students learn a lot about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 in the classroom. Teaching is a main focus in medical sch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igh-quality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two weeks on twelve fourth-year medical studen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fine high-quality education, list the general ways in which high-quality classes are delivered, mention cases where they have experienced high-quality teaching, and describe the attitude required of students to make high-quality education possibl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ant to be taught in an interactive way on the core content needed in an actual clinical setting for the goal of cultivating primary care physicians. They want their education to include not only medical knowledge, but also liberal art subjects such as politics, economics, sociology, culture and ethics education to help instill a sound value system. In particular, students stressed the importance of instructors delivering appropriate post-evaluation feedback, and they also emphasized that learner mindset and attitude is important in supporting high-quality teaching in class. This paper also summarizes the elements of high-quality teaching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ontent, and method, and examines cases of instructors who have delivered high-quality classes.

국내 '실행공동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초등 과학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of Practice' in Korea - Focused on Implications for Stud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정용재;천은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464-47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of Practice (CoP)' in Korea. 79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CI level Korean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area',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s'. The definitions and the performance factors of CoP were analyzed as wel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 the most popular research area in the studies of CoP was the area of 'company management', and the second one was the area of 'school education'; (b) the most popular research theme was to analyze of the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factors of CoPs to explore the features of actual CoPs was the second one; (c) there was a tendency to regard the 'Sponsored CoP' as a kind of CoP, that is an controversy issue still though; (d) the performance factor of CoP was a 'knowledge sharing'. Finally, the several implications for following studies related to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Effects of Lexical Aspect on the Interlanguage of Ibibio ESL Learners: Later than Sooner

  • Willie, Willie U.
    • 비교문화연구
    • /
    • 제43권
    • /
    • pp.459-483
    • /
    • 2016
  •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test the major prediction of the Aspect Hypothesis on interlanguage narratives collected from 171 Ibibio ESL learners in a classroom setting using sets of picture stories. Aspect Hypothesis predicts that lexical aspectual classes of verbs would determine the pattern of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of tense-aspect morphology at the very early stages of L2 acquisition of tense-aspect verbal morphology. That is, telic verbs would be marked with the past tense-aspect verbal morphology before atelic verbs in the interlanguage of ESL learners irrespective of their L1 background. The results of our data analyses show a significant effect from the lexical aspect on the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of tense-aspect morphology with chi-square statistics of ($x^2=196.92$,df = 6, n = 1664, p = <.0001). However, the effect of the lexical aspect is shown to be more prominent among Ibibio ESL learners at higher levels of proficiency. This is contrary to the prediction regarding Aspect Hypothesis.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influence of the lexical aspect on the pattern of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of tense-aspect morphology may be universal but the actual point along the developmental pathway when such influence is obtainable is yet to be determined. This calls for more research into the pattern of the L2 acquisition of tense-aspect verbal morphology.

A Teacher Research on Integrating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he Use of Intermediate Texts in an EFL Class

  • Kim, Sun-Young
    • 비교문화연구
    • /
    • 제20권
    • /
    • pp.67-111
    • /
    • 2010
  • This paper examined the role of intermediate texts in the writing process in the context of an EFL composition class. From the tradition of teacher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how the Korean college students in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created intermediate texts and used them while composing their own writing. The students produced various types of intermediate texts during the compositing process, which could serve as a basis of their writing. However, the patterns of using these intermediate texts differed widely across the proficiency groups. A writing cycle for the low proficiency group, or "surface reading-few intermediate texts-writing," indicates that less proficient students tended to engage in reading in separation of writing practices and thus produced few intermediate texts through their literacy practice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in the higher proficiency groups revealed the more integrated pattern (i.e., purpose reading/intermediate texts/writing), indicating that they often engaged in reading with specific writing purposes, practiced reading in connection to other writing practices, and elaborated written intermediate texts produced. This study argues that, to shift our student writers to a higher level category, we as teachers need to help them engage in reading and writing practices in the way they produce and use intermediate texts appropriate to their specific writing purposes.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Student Competencies, Teacher Role, and Instruction in the Forthcoming Educational Environmental Change

  • KO, Yujung;HAN, Insook;KWON, Hoilym;SHIN, Won Su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0권1호
    • /
    • pp.109-135
    • /
    • 2019
  • Rapid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requires fundamental changes not only in the form of instruction and role of teachers in school education but also in the competency development of students. Specifically,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such as makerspace, virtual reality (VR), and robotics has made it more challenging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However, even with the argument for the changes, less has been discussed about how much in-service teachers are aware of and how they are preparing for such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what would be required to students and teachers, and for instructional changes with more technologies available through the le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y results suggest, similar to previous studies,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cognize that student competencies such as creativity,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are important. They also perceived that teacher change in role and attitude, and for instructional method and classroom culture are crucial as catalysts of change. Unique and interesting finding from this study is about the importance of nurturing digital citizenship in technology-infused learning environment. The digital citizenship has been less highlighted in the past, but this study revealed it should be treated as a priority.

성인대학생의 학업수월성 강화를 위한 모형 (A model for enhancing the academic excellence of adult college students)

  • 김은영;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95-200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학업수월성 강화를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위치한 2년제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대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모형의 구성요소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운영, 교육환경, 제도적 지원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대학생이 선호하는 교육내용은 학위취득을 위한 다양한 학문적 지식 습득과 업무현장에서의 능력 개발을 위한 지식 및 기술 습득, 사회 전반의 이슈에 대한 새로운 정보 및 지식 습득이다. 둘째, 성인대학생이 선호하는 교육방법 중 교수자의 자질을 보면, 이론과 실무능력을 바탕으로 한 교수의 전문역량을 중시하였다. 선호하는 교수법은 강의법, 토의 토론, 액션러닝, 프로젝트 학습법 순이며, 효과적인 교수매체로는 동영상과 파워포인트를 선호하였다. 셋째, 성인대학생이 선호하는 교육과정 운영은 주말 운영이며, 학사학위 취득기간으로 3년을 선호하였다. 일일 학습 가능한 시간은 3시간~6시간이며, e-learning과 B-learning 및 선행학습경험인정제의 필요성을 나타냈다. 넷째, 성인대학생이 선호하는 교육평가 방법은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혼합한 절충방식이며, Pass or Non Pass 평가방법의 필요성도 나타냈다. 다섯째, 성인대학생이 선호하는 교육환경 중 대학선택의 내적요인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 습득이며, 외적요인은 취업 및 직무향상과 관련된 많은 기회를 제공받기 원함이었다. 효과적인 수업을 제공하는 형태의 강의실은 고정 좌석 강의실이며, 교육환경 중 강의실 내부의 환경을 중요시하였다. 여섯째, 성인대학생이 선호하는 제도적 지원은 컴퓨터 활용 관련 프로그램과 학습동아리 지원서비스로 나타났다.

교실로 들어온 전자오락게임: 게임에 관한 열일곱 가지 질문 (Electronic Games Appropriated for the Classrooms: A Proposal of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17 Questions)

  • 박성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56-172
    • /
    • 2008
  • 이 연구의 출발점은 현재 전자오락게임이 유, 청소년들에게 행사하는 매력이다. 이 점을 전제로 이 연구는 유,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갈 만한, 그러면서도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물음들을 내포한 질문지의 구성을 목표로 한다. 물음들에 대한 유, 청소년들의 대답만큼이나 물음을 묻는 과정 자체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연구자는 전자오락게임과 더불어 성장한 세대에 배우려는 자세로 조심스럽게 다가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말해 이 논문은 설문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거나 유, 청소년들의 전자오락게임 수용실태 연구가 아니다. 연구의 무게중심이 전자오락게임에 대해 학생들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대화가 용이한 대학생들을 출발점으로 초, 중, 고등학교로 그 연구범위를 넓혀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면서, 교육 콘텐츠로서 문화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환기시킨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질문지는 앞으로 게임적 상상력을 포함한 본격적인 게임미학을 향한 첫 걸음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