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donia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북극 지의류 Cladonia종에서 분리한 Caballeronia sordidicola균주 PAMC 26577의 유전체 서열 분석 (Genome sequence of Caballeronia sordidicola strain PAMC 26577 isolated from Cladonia sp., an Arctic lichen species)

  • 양정안;홍순규;오현명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1-143
    • /
    • 2017
  • Caballeronia sordidicola 균주 PAMC 26577은 다산 기지 근처에서 채집된 지의류인 Cladonia 종에서 분리되었다. Illumina 방식으로 분석한 균주 PAMC 26577의 초안 유전체 서열은 182개의 콘티그로 이루어졌으며, N50값은 159,226 염기쌍 길이에 해당하였다. 초안 유전체로 총 8,334,211 염기쌍을 확인하였으며, 59.4% G+C 함량을 나타냈다. 유전체는 단백질을 코드하지 않는 8개의 rRNA 유전자와 51개의 tRNA 유전자를 포함하였다. 8,065개의 단백질 유전자는 기본 대사 과정뿐 아니라 부탄올/부티르산 생합성,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 대사, serine cycle methylotrophy 및 글라이코겐 대사 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었다. 2백개 이상의 막 전달 단백질은, 인산화 전달 시스템과 TRAP 전달시스템이 부재하였다. PAMC 26577은 CRISPR 관련 서열 및 단백질이 없었으며, 파아지 유전자의 감염흔적으로 인한 11개의 파아지 관련 유전자를 찾아낼 수 있었다.

덕유산 일대의 지의식물 분류 (The additional lichens in Mt. Deogyu)

  • 문광희;박승태;민경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26
    • /
    • 1991
  • 1986년 8월의 1개월간 덕유산 국립공원에서 자생하는 한국산 지의식물 21종을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Anzia colpota, Cladonia bacillaris, Flavoparmelia caperata, Hypotrachyna physcioides, Nephromopsis asahinae, Parmelia fertilis, P. marmaiza, Parmotrema austrosinense, P. chinense, Xanthopamelia mexicana, X. scabrosa, Anaptychia palmulata, Heterodermia hypoleuca, 및 Physconia grumosa 로 분류되었다 그 중에서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것은 Hypotrachyna physcioides 이고 , Hale (1974)에 의해 속명이 개명된 것은 Parmotrema austrosinense 와 Xanthoparmelia scabrosa 였다.

  • PDF

Cladonia peziziformis (Lichenized Ascomycota, Cladoniaceae) New to Korea

  • Wang, Xin Yu;Hur, Hyun;Lee, You-Mi;Bae, Funny;Koh, Young-Jin;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36권3호
    • /
    • pp.193-194
    • /
    • 2008
  • Cladonia peziziformis (With.) J.R. Laundon was collected from Baega mountain, Jeonnam Province, Korea in 2008. It is characterized by short and slender podetia with verruculose surface, split along the sides. Apothecia large, pale brown, always growing on the top of the podetia. Primary squamules shell-like, thick, and convex. Fumarprotocetraric acid contained in thallu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is species in Korea.

Biruloquinone, a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Produced by Lichen-Forming Fungus Cladonia macilenta

  • Luo, Heng;Li, Changtian;Kim, Jin Cheol;Liu, Yanpeng;Jung, Jae Sung;Koh, Young Jin;Hur, Jae-Seo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161-166
    • /
    • 2013
  • At present,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s are the first group of drugs to treat mild to moderate Alzheimer's disease (AD). Although beneficial in improving cognitive and behavioral symptoms, the effectiveness of AChE inhibitors has been questioned since they do not delay or prevent neurodegeneration in AD patient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develop new and effective anti-AD agents from lichen products, both the AChE inhibitory an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were evaluated. The AChE inhibitory assay was performed based on Ellman's reaction, and the neuroprotective effect was evaluated by using the MTT method on injured PC12 cells. One AChE inhibitor ($IC_{50}$ = 27.1 ${\mu}g/ml$) was isolated by means of bioactivity-guided isolation from the extract of lichen-forming fungus Cladonia macilenta, which showed the most potent AChE inhibitory activity in previous screening experiment. It was then identified as biruloquinone by MS, and $^1H$- and $^{13}C$-NMR analyses. The inhibitory kinetic assay suggested that biruloquinone is a mixed-II inhibitor on AChE. Meanwhile, biruloquinone improved the viability of the $H_2O_2$- and ${\beta}$-amyloid-injured PC12 cells at 1 to 25 ${\mu}g/ml$. The protective effects are proposed to be related to the potent antioxidant activities of biruloquinone. These results imply that biruloquinone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 multifunctional anti- AD agent.

Isolation of Lichen-forming Fungi from Hungarian Lichens and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ungal Pathogens of Hot Pepper Anthracnose

  • Jeon, Hae-Sook;Lokos, Laszlo;Han, Keon-Seon;Ryu, Jung-Ae;Kim, Jung-A;Koh, Young-Jin;Hur, Jae-Seo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38-46
    • /
    • 2009
  • Lichen-forming fungi (LEF) were isolated from 67 Hungarian lichen species from ascospores or thallus fragments. LFF were successfully isolated from 26 species with isolation rate of 38.8%. Of the total number of isolation from ascospores (27 species) and thallus fragments (40 species), 48% and 32.5% of the species were successfully isolated, respectively. Comparison of rDNA sequences of ITS regions between the isolated LFF and the original thallus confirmed that all the isolates originated from the thallus fragments were LEF. The following 14 species of LEF were newly isolated in this study; Acarospora cervina, Bacidia rubella, Cladonia pyxidata, Lasallia pustulata, Lecania hyaline, Lecanora argentata, Parmelina tiliacea, Parmotrema chinense, Physconia distorta, Protoparmeliopsis muralis, Ramalina pollinaria, Sarcogyne regularis, Umbilicaria hirsuta, Xanthoparmelia conspersa and X. stenophylla. Antifungal activity of the Hungarian LFF was evaluated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of Colletotrichum acutatum, C. coccodes and C. gloeosporioides, causal agent of anthracnose on hot pepper. Among the 26 isolates, 11 LFF showed more than 50% of inhibition rates of mycelial growth of at least one target pathogen. Especially, LFF of Evernia prunastri, Lecania hyalina and Lecanora argentata were remarkably effective in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all the tested pathogens with antibiotic mode of action. On the other hands, five isolates of Cladonia furcata, Hypogymnia physodes, Lasallia pustulata, Ramalina fastigiata and Ramalina pollinaria exhibited fungal lytic activity against all the three pathogens. Among the tested fungal pathogens, C. coccodes seemed to be most sensitive to the LFF. The Hungarian LFF firstly isolated in this study can be served as novel bioresources to develop new biofungicides alternative to current fungicides to control hot pepper anthracnose pathogenic fungi.

북극 지의류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배양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acterial Culture Extracts Isolated from Arctic Lichens)

  • 김미경;박현;오태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3-338
    • /
    • 2012
  • 지의류는 곰팡이, 조류 및 남조균류의 공생체이다. 본 연구팀은 최근 북극 지의류로부터 분리한 몇몇 미생물 종의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그들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ladonia sp., Sterocaulon sp., Umbilicaria sp. 및 Cetraria sp. 총 4종류의 지의류로부터 5종의 미생물을 새롭게 분리하였고 배양 후, 다양한 용매 추출법으로 그들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DPPH와 ABTS 자유 라디컬 소거능 측정법 및 FRAP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역시 수행하였다. 지의류 유래 미생물 배양 추출액 중, Burkholderia sordidicola S5-B(T) 유사 미생물 종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액은 DPPH 분석에서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 (51.3%)에 비해 72.9%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높은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지의류 유래 미생물 종들은 잠재적으로 천연 항산화제의 원천소재로서 이용가능할 것이다.

수목착생지의류(樹木着生地衣類)를 이용한 울산지역(蔚山地域)의 대기환경평가(大氣環境評價) (Estimation of Air Pollution Using Epiphytic Lichens on Forest Trees around Ulsan Industrial Complex)

  • 추은영;김종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04-414
    • /
    • 1998
  • 대기오염이 심한 것으로 판단되는 울산지역의 석유화학공단과 온산공단을 중심으로 수목착생지의류를 이용한 대기환경의 오염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공단 주변의 산림에서 지의류의 출현종수와 피도, 생육한계분포농도에 따른 분포특성과 대기청정도지수(IAP)를 조사한 결과,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지의류는 총 16종류였으며, 그중 Lepraria sp.(30.85%)과 Lecanora strobilina(26.18%), Parmelia austrosinensis(13.42%)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석유화학공단과 온산공단 주변 조사지점에서는 지의사막대(地衣砂漠帶)의 형성과 더불어 공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출현종수가 증가했다. 조사지점별 평균피도는 I-V계급으로 오염물질이 공단이 위치하는 해안가로부터 내륙으로 유입됨을 추측할 수 있으며, 공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평균피도계급도 증가하였다. $SO_2$ 농도에 대한 지의류의 종별 생육한계분포농도에 따른 분포특성을 Cladonia sp.과 Dirinaria applanata, Parmelia austrosinensis, Lepraia sp., Lecanora strobilina를 대상으로 살펴 본 결과, 오염에 대한 민감정도에 따라 분포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대기오염에 내성 종인 Lepraria sp.과 Lecanora strobilina는 I부터 V의 피도계급으로 가장 폭넓게 분포하였으며, 분포형태가 비슷한 Lecanora strobilina도 대기오염에 강한 종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 대기청정도지수(IAP)는 0-64.3으로 6계급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조사지점별 IAP 등치선도는 피도 등치선도와 비슷한 형태로 공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IAP가 높아졌다. IAP와 지의류 출현종의 분포는 IAP가 5-10으로 낮은 부분에서는 대기에 저항성 종으로 알려진 Lepraria sp.과 Lecanora strobilina가 출현하고 있었으며, IAP 5-10 사이부터는 Parmelia austrosinensis와 Dirinaria applanata가 IAP 10이상부터 오염에 비교적 약한 종으로 말려진 Cladonia sp.를 비롯하여 Candelaria concolar와 Parmelia borreri 등이 출현하였고, 조사지점의 IAP와 지의류의 출현종수는 정의 상관관계 (r=0.9308)를 나타내었다.

  • PDF

백운산(白雲山) 서식(棲息) 지의류(地衣類)를 이용(利用)한 오존 민감성(敏感性) 지표종(地表種) 선발(選拔) (Investigation of Lichen Species as a Biomonitor of Atmospheric Ozone in 'Backwoon' Mountain, Korea)

  • 허재선;김판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65-76
    • /
    • 2000
  • 대기오염 지표생물로 이용 가능한 국내 분포 지의류(地衣類)를 선발하기 위하여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에 분포하는 엽상체(foliose) 및 수지상(fructicose) 지의류(地衣類)의 종(種)과 피도(被度)를 조사하고, 오존에 대한 생체반응을 조사하였다. 백운산에 서식하고 있는 지의류(地衣類)는 총 9과 20종 34속의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로 대기오염에 내성인 종(Lecanora sp.)부터 예민한 종(Ramalina sp.)까지 매우 다양한 지의류(地衣類)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주요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는 Leptogium sp., Parmelia sp., Parmotrema sp., Phaeophyscia sp., Cladonia sp. 등이었다. 백운산 분포 지의류(地衣類) 중에서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면서 동정이 용이한 엽상체 지의류(地衣類) 3종(種)(P. tinctorum, P. austrosinense, Certrelia braunsiana)과 수지상 지의류(地衣類) 1종(種)(Ramaliana yasudae)을 0.2ppm에서 1일(日) 8시간씩 2주간 오존에 노출시킨 결과 오존에 노출된 지의류(地衣類)는 MDA와 HPCD가 증가하고 엽록소가 감소되었으나,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MDA, HPCD, 엽록소 파괴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오존에 대한 민감 정도는 P. austrosinense > P. ticctorum > C. braunsiana > R. yasudae 순으로 나타났다.

  • PDF

분자생물학적 기법에 의한 우도해안과 노지암석에 분포하는 지의류의 생태학적 분석 (An Ecological Analysis of Lichens Distributed in Rocks of Coast and Field in U-do by Molecular Technique)

  • 강형일;윤병준;김성현;신덕자;김현우;허재선;강의성;오계헌;고영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4-340
    • /
    • 2004
  • 본 연구는 환경조건에 따른 지의류분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시로 해수와 접하는 지역의 해안가 암석과 해안에서 약 20 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한 노지암석에서 살아가는 지의류를 대상으로 처음 수행되었다. rDNA ITS clone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형태학적 분석을 기초로 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해수와 직법 접하는 곳에 위치한 암석에서는 9과(family) 15 속(genus)에 속하는 지의류가 분포되어 있었고, 노지암석에서는 10과 14 속에 속하는 지의류가 분포되어 그 다양성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Parmeliaceae 과에 포함된 것 중 엽상형(foliose)인 Phaeophyscia, physcia, Pyxine와 Parmeliaceae과에 속하는 Xanthoparmelia가 해안가 암석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지의류로 나타났고, 수지상(fruticose) 지의류로는 Ramalinaceae과에 속하는 Ramalina 속 2종이 유일하게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가상형 (crustose) 지의류는 Lecanora속이 대표적인 해안가 암석에 분포하는 지의류로 나타났다. 반면, 노지암석위의 흙이나 이끼 낀 곳에서 발견되었으나 해안가 암석에서 발견되지 않은 지의류로는 엽상형인 Cladonia, 수지상 지의류인 Sterocaulon, 가상형 지의류인 Porpidia로 조사되었다. 가상형(crustose) 지의류인 Caloplaca, Candelaria, Dirinaria, Graphis, Rhizocarpon, Pertusaria 등이 해안가 암석에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이들 지의류 모두는 해안가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진 노지암석에서 대부분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Antifungal Activity of Lichen-Forming Fungi Isolated from Korean and Chinese Lichen Species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 Oh, Soon-Ok;Jeon, Hae-Sook;Lim, Kwang-Mi;Koh, Young-Jin;Hur, Jae-Seo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381-385
    • /
    • 2006
  • Antifungal activity of Korean and Chinese lichen-forming fungi(LFF) was evaluated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of Botryosphaeria dothidea, Botrytis cinerea, Diaporthe actinidiae, Pestalotiopsis longiseta, Pythium sp., Rhizoctonia solani, and Sclerotium cepivorum. The LFF were isolated from Cladonia scabriuscula, Melanelia sp., Nephromopsis asahinae, Nephromopsis pallescens, Parmelia laevior, Pertusaria sp., Ramalina conduplicans, Ramalina sinensis, Ramalina sp., Umbilicaria proboscidea and Vulpicida sp. with discharged spore method. The isolates were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KoLRI) i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LFF of Melanelia sp., P. laevior, Pertusaria sp., R. conduplican and Ramalina sp. exhibit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ll of the pathogenic fungi examined. Among them, LFF of P. laevior showed more than 90% of inhibition in fungal hyphae growth, compared with control. The results imply that LFF can be served as a promising bioresource to develop novel biofungicides. Mass cultivation of the LFF is now under progress in laboratory conditions for chemical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sub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