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pest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대만, 일본의 감귤 생산비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the Citrus Production Cost in the Three Countries : Korea, Taiwan, and Japan)

  • 최찬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권1호
    • /
    • pp.43-54
    • /
    • 1996
  • Citrus farming become one of highly potent area for the farmer s income in the Asia region. Because of its favorable taste and distinctive aroma, attractive color, and nutritional values, market demand has increased steadily along with the income increases in the region. However, realization of the potent have been constrained due to poor orchard management, frequent occurrences of pest and diseases, and a high cost in production besides of the market failures. Cutting down of production cost should be an operational goal to obtain mope profit where marketing structure has yet been underdevelop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arative information to those program efforts of searching comparative advantage in production. For the three countries, reduction of labor cost by reduction of chemical application frequency was recommended while pursuing further mechanization in those operation such as in pruning, harvesting and pest control. Adoption of the IPM (integrated pest management) will be useful to reduce the number of spraying chemicals with changed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farmers.

  • PDF

감귤해충의 최근 발생 동향 (Current Status of the Occurrence of the Insect Pests in the Citrus Orchard in Cheju Island)

  • 김동환;권혁모;김광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7-274
    • /
    • 2000
  •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제주도 감귤원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들을 조사란 결과 곤충류 69종과 그 밖의 해충으로 5종이 조사되었는데, 그 중 귤응애(Panonychus citri), 귤굴나방Phyllocnistis citrella), 조팝나무진딧물(Aphis citricola),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등이 감귤에 큰 피해를 주는 우점종들이었다. 특히 꽃노랑총채벌레와 뒷흰날개밤나방(Peridroma saucia)은 최근 들어 국내에 유입된 해충으로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감귤의 잎, 가지, 과실, 꽃을 가해하는 해충의 수는 각각 36종, 16종, 41종, 2종이었으며, 이중 과실을 가해하는 해충에 의한 피해과율은 1997년과 1998년에 각각 20.5%와 18.6%로 약 20%정도의 피해를 받고 있으며, 그 중 비상품과율은 각각 6.4%와 6.7%였다.

  • PDF

습도와 감귤 잎의 연령이 귤녹응애 증식에 미치는 영향 및 감귤원에서 발생소장 (Effects of Humidity and Citrus Leaf Age on the Multiplication of Aculops pelekassi (Acari: Eriophyoidea) and Seasonal Population Abundances in Citrus Orchards)

  • 서연동;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6
    • /
    • 2014
  • 귤녹응애(Aculops pelekassi (Keifer))는 제주감귤의 중요한 해충이다. 본 연구는 귤녹응애의 연간 발생소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습도와 잎의 연령이 밀도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상대습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귤녹응애 성충의 수명 및 산란에 영향을 주었다. 상대습도 33, 75, 84%에서 수명은 각각 7.5, 14.5, 14.6일 이었고, 산란수는 5.4, 21.5, 27.1개 이었다. 감귤 잎의 연령에 따라 귤녹응애의 증식정도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40일된 잎에서는 귤녹응애 밀도증식이 가장 높았으며, 4주 후에는 10일된 잎에서 증식된 것과 비교하여 3배 이상 높았다. 눈 인편 틈에서 월동한 귤녹응애 성충은 4월 하순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5월 중순경부터 봄에 발아하여 전개되는 잎(봄 잎)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6월 중순에는 과실에서 발생이 시작되었다. 잎에서 발생소장은 6월 하순에서 7월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과실에서는 8월 상순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감귤원에서 귤녹응애 방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제주 감귤원에서 귤굴나방 알의 신초 잎 위치별 분포와 유충의 생존률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ggs and Larval Survival Rate of Phyllocnistis citrella (Lepidoptera: Gracillaridae) on the Leaves of Shoots in a Citrus Orchard in Jeju)

  • 현승용;김수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175-182
    • /
    • 2019
  • 귤굴나방은 감귤의 잎을 가해하여 나무의 생산력을 떨어뜨리는 해충으로 특히 유목기 피해가 큰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초 잎의 위치에 따른 알의 분포 특성과 포장상태에서 유충의 생존률을 구명하였다. 감귤원에서 귤굴나방 알의 발생 양상은 신초의 발생시기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성충이 페로몬 트랩에 계속 유살되고 있음에도 신초의 성장이 중단된 경우에는 알 발생도 중단되었다. 감귤신초 잎에서 귤굴나방 알의 밀도는 끝에서 5번째 또는 6번째 잎에서 피크를 보였고, 전체적으로 첫 번째에서 8번째 잎 범위에서 90% 이상의 알이 발견되었다. 2015년과 2016년 유충이 번데기까지 생존한 평균 비율은 1.4%이었고, 성충 우화까지 생존한 비율은 0.2%로 대부분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감귤 신초 잎에서 알의 분포 및 유충 생존율에 따른 귤굴나방 관리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Band Selection Using Forward Feature Selection Algorithm for Citrus Huanglongbing Disease Detection

  • Katti, Anurag R.;Lee, W.S.;Ehsani, R.;Yang, C.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0권4호
    • /
    • pp.417-42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t band selection methods to classify spectrally similar data - obtained from aerial images of healthy citrus canopies and citrus greening disease (Huanglongbing or HLB) infected canopies - using small differences without unmixing endmember components and therefore without the need for an endmember library. However, large number of hyperspectral bands has high redundancy which had to be reduced through band selection. The objective, therefore, was to first select the best set of bands and then detect citrus Huanglongbing infected canopies using these bands in aerial hyperspectral images. Methods: The forward feature selection algorithm (FFSA) was chosen for band selection. The selected bands were used for identifying HLB infected pixels using various classifiers such as K nearest neighbor (KNN), support vector machine (SVM), naïve Bayesian classifier (NBC), and generalized local discriminant bases (LDB). All bands were also utilized to compare results.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a few well-chosen bands yielded much better results than when all bands were chosen, and brought the classification results on par with standard hyperspectral classification techniques such as spectral angle mapper (SAM) and mixture tuned matched filtering (MTMF). Median detection accuracies ranged from 66-80%, which showed great potential toward rapid detection of the disease. Conclusions: Among the methods investigated, a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combined with the forward feature selection algorithm yielded the best results.

Verifications of Resistance to Phytophthora spp. in 2-year-old Citrus junos Cultivars and Related Specie

  • Kwack, Yong-Bum;Kim, Hong Lim;Kwak, Youn-Sig;Lee, Yong B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8-34
    • /
    • 2018
  • Yuzu (Citrus junos) gummosis disease, caused by Phytophthora nicotianae, was first reported in 1997. As known in citrus, Phytophthora is the most fastidious soil-borne pathogen to control. In order to minimize its damage to Citrus spp.,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approach, including fungicide chemicals and resistant cultivars, is necessar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olerance of yuzu cultivars and its related species against yuzu Phytophthora. Trifoliate orange was evaluated as a susceptible host to yuzu Phytophthora by both mycelial growth onto extract media and immature fruit inoculation. However, in zoospores spray-inoculation on 2-year-old cuttings tree, trifoliate orange appeared to have a resistant property as showing less than 6% diseased leaf rate. Among yuzu cultivars only 'Namhae No. 1' appeared resistant property against both P. nicotianae and P. citrophthora. The 'Namhae No. 1' showed 5.7% and 10.6% diseased leaf ratio by P. nicotianae and P. citrophthora, respectively. Clearly, in order to reduce damages caused by two yuzu Phytophthora, we suggest that growers may utilize a trifoliate orange as a rootstock and 'Namhae No. 1' as a scion for fruit production.

유자과실의 반점피해 상황과 흡즙해충의 종류에 관하여 (The Status of Spot Damage and Fruit Piercing Pests on Yuzu (Citrus Junos) Fruit)

  • 최덕수;김규진;임근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9-266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pot damage by fruit piercing pests and the kinds of these pests on yuzu (Citrus junos) fruit in Koheung, the most chief producing district of yuzu fruit in Korea, from ’97 to ’99. The extent of spot damage by fruit piercing pests on yuzu was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is damage of fruits was severe in the lower canopy than the high one from ground and intercropping groves between yuzu trees had a greater damage to compare with single cropping of yuzu. Spot damage of yuzu fruit was occurred mainly from late September to early November when yuzu fruit is enlarging and coloring yellow. The blackish concave spot on yuzu fruit surface was appeared in 3 days after introduction of Riptortus clavatus into a netted cage containing one yuzu fruit and the diameters of this spot was 8.3 mm. At 10 days after introduction, this spot changed into milky-white with 9.2 mm diameters. One concave spot has contained oil cells by 17.7 and its external appearances has unchanged until harvest. The kinds of piercing pests of yuzu fruit were investigated with 3 orders, 16 families and 37 species. These pests were classified by 11 species of bugs, 5 species of hoppers and 21 species of moths. Among them, dominant species were Physopelta gutta, Halyamorpha halys, Empoasca vitis, Aedia leucomelas, Agrotis tokionis, etc. Macroglossum bombylans and Acherontia s쇼x are newly confirmed species as the fruit piercing moths in Korea.

  • PDF

제주지역에서 귤굴나방, Phyllocnistis citrella (Lepidoptera: Gracillariidae)의 성페로몬, (Z,Z)-7,11-hexadecadienal에 대한 반응 (Responses of Citrus Leafminer, Phyllocnistis citrella (Lepidoptera: Gracillariidae) for a Sex Pheromone Component, (Z,Z)-7,11-hexadecadienal on Jeju Island)

  • 송정흡;강상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1-167
    • /
    • 2006
  • 귤굴나방,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은 운향과(Rutaceae) 특히 감귤류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성페로몬 (Z,Z)-7,11-hexadecadienal (7Z,11Z-16:Al)에 대한 귤굴나방의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귤굴나방의 포획효율은 7Z,11Z-16:Al을 미끼로 한 끈끈이날개트랩을 이용했을 때 높았다. 귤굴나방이 유인되는 시간대는 일출과 일몰시간이 관여하고 있으며, 그 시간은 오전 2$\sim$6시로 일일 유인수의 93.1%를 차지하였다. 또한 이 시간대의 평균온도와 풍속, 강우가 귤굴나방 트랩 포획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풍속의 영향이 가장 높았다. 평균온도 13$^{\circ}C$이하에서는 유인수가 감소하였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풍속은 2.0 m/sec 이상일 때에는 유인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이었으며, 강우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제주지역에서 귤응애에 대한 Petroleum Spray Oil의 방제효과 및 식물독성 (Efficacy and phytotoxicity of a petroleum spray oil for control of citrus red mite in Jeju island)

  • 김동환;김광식;현재욱;강시용;송정흡;류기중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87-92
    • /
    • 2000
  • 인축독성 및 잔효성이 낮은 환경친화적인 Petroleum spray oil(PSO; DC-Tron $Plus^{(R)}$)의 살포에 따른 귤응애에 대한 방제효과 및 약해발생에 관하여 포장조건하에서 검토하였다. PSO를 0.25%, 0.33%, 0.5% 및 1%를 처리한 결과, 귤응애에 대한 방제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대조약제(tebufenpyrad, bifenazate, sun spray oil)와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뛰어났으며, 약효도 40일 이상 장기간 지속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런데 PSO 0.5% 이상 처리시에는 감귤잎에 유침상 증상이 일부 나타났으나 2개월후에 거의 사라졌으며, 낙엽율과 낙과율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PSO 1%를 감출 더뎅이병 및 검은점무늬병의 적용약제와 각각 혼용처리한 결과, 더뎅이병 방제약제인 Fluazinam 수화제와 혼용한 경우 일부 신초가 타거나 일부 신엽에 흑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약효와 약해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귤응애 방제를 위한 하절기 PSO 적정 살포농도는 0.25% 또는 0.33% 정도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주도 노지재배 감귤원 내 귤굴나방 월동태 구명 (Study on the over-wintering stage of citrus leaf miner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Lepidoptera: Gracillariidae) in Jeju, Korea)

  • 권순화;신기혜;문영일;김동순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542-549
    • /
    • 2021
  • 귤굴나방은 제주도 감귤원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충이지만, 상대적으로 월동생태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귤굴나방이 월동과 관련하여 다음 해초기개체군 발생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발육단계별 저온 실내실험과 야외실험 및 노지 감귤원 포장조사를 통하여 구명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한 저온 조건에서 귤굴나방의 발육단계에 따라 생존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충이 번데기보다 더 오래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귤굴나방 성충과 번데기를 야외 감귤원에 접종한 후 생존기간을 평가한 결과, 서귀포지역에서 성충은 다음 해 3월 24일까지 생존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서귀포지역의 봄순 발아가 3월 중순에 시작된다는 사실을 고려했을 때 성충태로 월동한 귤굴나방이 다음 해 초기개체군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번데기의 경우 제주시와 서귀포에서 1월을 넘기지 못하고 모두 사망하였다. 또한, 노지 감귤원 내 귤굴나방 발육단계별 밀도조사에서 다음 해 봄까지 노지 감귤원에서 생존한 번데기는 없었던 반면 성충은 모든 과원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해 볼 때, 제주도의 노지 감귤원에서 귤굴나방은 성충태로 월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번데기의 경우 신초에 형성된 용방에서만 생존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겨울철 동해 피해를 받기 쉬운 신초에서 월동 후 다음 해 초기개체군 형성에 기여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