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peel extrac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51초

진피 추출물에 의한 인간유방암 MDA-MB-231 세포의 apoptosis 유도에서 ROS 및 AMPK의 역할 (Relationship betwee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in Apoptosis Induction of Human Breast Adenocarcinoma MDA-MB-231 Cells by Ethanol Extract of Citrus unshiu Peel)

  • 김민영;황보현;지선영;홍수현;최성현;김성옥;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0-420
    • /
    • 2019
  • 한의학에서는 진피(陳皮)라고 칭하는 귤의 껍질(Citrus unshiu peel)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그들의 항암 활성에 대한 가능성이 보고되었지만 정확한 기전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유방암 MDA-MB-231 세포를 대상으로 진피 에탄올(EECU, ethanol extract of C. unshiu peel) 추출물의 항암 효능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기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EECU에 의한 MDA-MB-231 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사멸(apoptosis) 유도와 관련이 있었다. EECU에 의한 apoptosis는 caspase-8, -9 및 -3의 활성화와 IAPs 계열의 발현 감소에 따른 PARP의 분해와 Bax : Bcl-2 비율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 또한 EECU는 Bid의 truncation과 함께 미토콘드리아 막 잠재력의 감소와 세포질로 cytochrome c의 이동을 촉진시켰다. 아울러 EECU는 AMPK 및 ACC의 인산화를 촉진시켰으나, AMPK 효소 활성의 저해제는 EECU에 의한 apoptosis 유도와 생존력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부가적으로 EECU는 AMPK 활성화의 상류 신호로 작용하는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을 촉진시켰으며, 강력한 항산화제인 NAC는 EECU에 의한 AMPK의 활성화와 apoptosis를 역전시켰다. 결론적으로 EECU는 ROS/AMPK 의존적인 내인성 및 외인성 apoptosis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MDA-MB-231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Multidrug-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of the local Citrus fruits in Jeju Island, Korea

  • Lee, Sook-Young;Kim, Sun-Min;Hwang, Eun-J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41-51
    • /
    • 2005
  • We examined whether extracts from 14 local citrus spp. on Jeju Island (Korea) contained chemosensitizing activity that would increase the cytotoxic effect of vincristine(VCR) in drug-resistant cancer cells. We report that methanol extracts from fruits and flowers of some species had a chemosensitizing effect that reversed P-glycoprotein (Pgp)-mediated multidrug resistance (MDR). Using drug-sensitive AML-2/WT and drug-resistant AML-2/D100 in the absence of VCR in human acute myelogenous leukemia cells we found that fruit or flower extracts alone generally had low cytotoxicity $(IC_{50}>200\;{\mu}g/ml)$. In studies examining the effect of extracts on 120 ng/ml VCR cytotoxicity in drug-resistant AML-2/D100 cells, we found that immature fruit extracts had greater chemosensitizing activity than either extracts from mature fruit or flower. Of the 14 species examined, the immature fruit extract from Inchangkyool (Citrus ichangiensis) showed the hishest chemosensitizing index(CI) valus. Immature fruit extracts of Hongkyool(C. tachibana), Byungkyool(C. platymamma), Cheongkyool(C. nippokoreana) and Jinkyool (C. sunki) also strongly potentiated VCR cytotoxicity in AML-2/D100 cells. The chemosensitizing effect of peel extracts was 2-10-fold that of whole fruit extracts from Hongkyool (C. tachibana), Byungkyool (C. platymamma) and Inchangkyool (C. inchangiensis). The CI values for flower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for mature fruit extracts, but lower than those for immature fruit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mature citrus fruits contain compounds that do not exert their activity solely through cytotoxicity. In particular, Incahngkyool (C. inchangiensis), Byungkyool(C.platymamma), Cheongkyool(C. nippokoreana) and Hongkyool (C. tahibana) may be useful sources of chemosensitizing compounds.

  • PDF

감귤 주스 착즙박을 이용하여 재배된 버섯균사체의 용매추출에 의한 휘발성 성분 (Solvent Extracted Volatile Components of Mushroom Mycelia Cultivated with Citrus Juice Processing Wastes)

  • 이창환;양민호;박승림;강영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1-355
    • /
    • 2007
  • 감귤 부위별 및 감귤 주스 가공 후 폐기되는 착즙박을 배지로 하여 재배된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사체의 GC/MS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감귤 분말에서 휘발성 물질은 29종류이었는데, ${\delta}-elemene$, ${\beta}-elemene$, ${\beta}-caryophyllene$, caryophyllene, ${\gamma}-elemene$, germacrene-D 및 ${\delta}-cadinene$은 감귤류의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었으나 8-hydroxy-linalool, ${\beta}-selinene$, tetradecanoic acid 및 pentadecanal은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 변화한 것이었다. 이외에도 tangeretin, nobiletin, 및 stigmasterol이 검출되었다. 버섯 균사체 분말에서 검출된 휘발성 성분들은 18종이었으며, ${\beta}-elemene$, germacrene-D 및 ${\delta}-cadinene$은 버섯이나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균사체 배지로 사용한 착즙박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caryophyllene, hexadecanoic acid, decanoic acid 및 tetradecanoic acid는 기 보고된 버섯이나 균사체의 성분들이었으며, Limonene-1,2-epoxide, ethyllinoleate,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cyclohexyl ester 및 ($3{\beta}$,24S)-stigmast-5-en-3-ol (${\gamma}-sitosterol$)은 감귤이나 버섯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성분들이 검출되었다.

다양한 용매에서 Soxhlet 추출기를 이용한 감귤 껍질에서 d-limonene 추출의 최적조건 연구 (Optimization of d-limonene Extraction from Tangerine Peel in Various Solvents by Using Soxhlet Extractor)

  • 박상민;고관영;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717-722
    • /
    • 2015
  • 감귤류의 과일 내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d-limonene 성분은 정유 성분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연속 증류 추출법 중 하나인 Soxhlet 추출법을 사용하여 감귤 껍질의 정유 성분을 추출한 후, 역상 HPLC를 통해 정량분석을 하였다. 추출용매의 끓는점과 극성도가 수율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에탄올, n-헥산, 석유에테르 3가지 용매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다. $120^{\circ}C$에서 각각의 용매를 1, 2, 4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의 시료를 얻어 총 9가지 시료를 분석하였다. 역상 HPLC에서 정량분석을 한 결과, 세 가지 용매 모두 2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d-limonene의 함유량이 가장 많았으며, 이 때 감귤 껍질 1 g당 함유량은 7.77 mg(에탄올), 0.49 mg(n-헥산), 0.28 mg(석유에테르)였다. 에탄올을 사용했을 때 수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용매의 극성도가 끓는점보다 추출 효율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자 용매추출물의 전자 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 억제능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NDMA Formation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 이수정;최선영;신정혜;서종권;임현철;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7-243
    • /
    • 2005
  • 유자를 과육과 과피로 분리하여 methanol, ether, ethylacetate 및 물로 추출하며 전자 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다. 유자 과육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이상 첨가시 ether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50\%$이상의 전자 공여능을 나타내었다. 과피 메탄올 추출물을 40 mg/ml 첨가시에는 BHA 및 ascorbic acid의 효능과 유사한 수준인 $99.2{\pm}0.37\%$의 전자 공여능이 나타났다. pH 1.2에서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1mg/ml 첨가시 $4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상승하였다. 또한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 과육 추출물의 NDMA생성 억제 효과는 메탄을 추출물을 pH 1.2의 반응 용액에 40 mg/ml 첨가시 $31.7{\pm}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 4.2 및 6.0의 반응 조건에서는 모든 시료 첨가구에서 $20\%$미만의 억제 효과가 있었다.

천연염색을 이용한 홀치기 염색기법의 직물디자인 (Textile Design of Tie Technique with Natural Dyeing)

  • 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9-63
    • /
    • 2003
  •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of textile design expressed not only Korean natural image but also modern sensibility using fabrics dyed by tie dyeing with various natural dyes. And it attempts to practicality of high value-added goods revived traditional beauty. With the aqueous extract of various natural dyes, i.e., indigo, amur cock tree, onion's peel, citrus peel, mugwort, gromwell, sappan wood silk fabrics dyed by tie dyeing. Also various color changes were examined by mordants, i.e., aluminium sulfate, cupric acetate mono hydrate, ferrous chloride. With these fabrics, I made works using the techniques of applique, mola, fabric's connection and weaving. I think the developed textile design gave expression to natural image of Korean nation.

Reactive oxygen species-dependent apoptosis induction by water extract of Citrus unshiu peel in MDA-MB-231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 Kim, Min Yeong;Choi, Eun Ok;HwangBo, Hyun;Kwon, Da He;Ahn, Kyu Im;Kim, Hong Jae;Ji, Seon Yeong;Hong, Su-Hyun;Jeong, Jin-Woo;Kim, Gi Young;Park, Cheol;Choi, Yung Hy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2호
    • /
    • pp.129-134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Although several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extracts or components of Citrus unshiu peel, which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traditional medicine, the molecular mechanisms for their effects remain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cancer activity of a water-soluble extract of C. unshiu peel (WECU) in MDA-MB-231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at the level of apoptosis induction was investigated. MATERIALS/METHODS: Cytotoxicity was evaluated using the MTT assay. Apoptosis was detected using DAPI staining and flow cytometry analyse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say, caspase activity and Western blotting were used to confirm the basis of apoptosi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ECU-induced apoptosis was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caspase-8, and -9, representative initiator caspases of extrinsic and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respectively, and caspase-3 accompanied by proteolytic degradation of poly(ADP-ribose) polymerase and down-regulation of the inhibitors of apoptosis protein family members. WECU also increased the pro-apoptotic BAX to anti-apoptotic BCL-2 ratio,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to cytoplasm. Furthermore, WECU provoked the generation of ROS, but the reduction of cell viability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WECU were prevented when ROS production was blocked by antioxidant N-acetyl cystein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CU suppressed proliferation of MDA-MB-231 cells by activating extrinsic and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in a ROS-dependent m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