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Specie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9초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palmivora Causing Root Rot of Pomelo Using Chaetomium spp.

  • Hung, Phung Manh;Wattanachai, Pongnak;Kasem, Soytong;Poaim, Supatta
    • Mycobiology
    • /
    • 제43권1호
    • /
    • pp.63-70
    • /
    • 2015
  • Phytophthora diseases have become a major impediment in the citrus production in Thailand. In this study, an isolate of Phytophthora denominated as PHY02 was proven to be causal pathogen of root rot of Pomelo (Citrus maxima) in Thailand. The isolate PHY02 was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and identified as Phytophthora palmivora based on molecular analysis of a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sequence. This work also presents in vitro evaluations of the capacities of Chaetomium spp. to control the P. palmivora PHY02. As antagonists, Chaetomium globosum CG05, Chaetomium cupreum CC3003, Chaetomium lucknowense CL01 inhibited 50~61% mycelial growth, degraded mycelia and reduced 92~99% sporangial production of P. palmivora PHY02 in bi-culture test after 30 days. Fungal metabolites from Chaetomium spp. were tested against PHY02. Results showed that, methanol extract of C. globosum CG05 expressed strongest inhibitory effects on mycelial growth and sporangium formation of P. palmivora PHY02 with effective dose ED50 values of $26.5{\mu}g/mL$ and $2.3{\mu}g/mL$, respectively. It is interesting that C. lucknowense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as an effective antagonist against a species of Phytophthora.

제주도 감귤원 토양에서 분리한 공생균근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Mycorrhizal Fungi Identified on Citrus Orchard Soils in The Island of Cheju)

  • 이용세;정종배;문두길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97-102
    • /
    • 1998
  • 제주도 일원 14개소의 감귤원에서 감귤 뿌리를 포함한 토양 시료를 95년 10월에 수집하여 VA균의 포자를 분리하여 관찰 동정하였다. 분리된 공생균근균은 3속 5종으로서 Acaulospora bireticulata, Glomus deserticola, G. geosporum, G. vesiculiferum, Sclerocystis pachycaulis였으며, Acaulospora sp.로 사료되는 두 가지는 아직 종동정이 되지 않았다. 이중에서 G. deserticola와 미동정된 Acaulospora sp.는 모든 시료토양에서 빈도가 매우 높게 관찰되어 우점종으로 사료되었으나, 다른 종에 속하는 포자들은 이들 종에 비하여 관찰 빈도가 매우 낮았다.

  • PDF

과수, 전작물 및 잡초의 노린재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 (Review on True Bugs Infesting Tree Fruits, Upland Crops, and Weeds in Korea)

  • 강창훈;허혜순;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9-277
    • /
    • 2003
  • 최근 들어 벼, 田作物, 과수 등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진 연구내용을 조사$.$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우리 나라에서 출판되는 각종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는 벼를 제외한 작물, 과수, 잡초를 가해하는 노린재류에 관한 논문을 수집하여 분야별(\circled1 분류 및 형태, \circled2 발육과 성장, \circled3 곤충상, \circled4 피해수준, \circled5 발생소장, \circled6 방제, \circled7식물병 매개)로 정리하였다. \circled1에서는 한국산 노린재류의 종류와 명아주노린재과에 속하는 Piesma spp.의 난과 약충의 형태, 억새노린재의 외부생식기의 형태, 홍줄노린재와 주둥이노린재의수정방의 형태에 관한 연구를 간략히 정리하였다. \circled2에서는 명아주노린재, 장수허리노런재, 큰허리노린재의 온도별 발육과 성장분석에 대한 보고를 요약하였다. \circled3에서는 콩, 단감, 유자, 감귤, 포도, 국화, 백하수오 등의 작물과 참쑥, 망초 등의 잡초에 발생하는 노린재류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고, 계룡산과 경기도 수원시 여기산 지역의 노린재류 상에 관한 조사보고를 소개하였다. \circled4에서는 콩, 단감, 유자, 포도 등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피해정도를 정리하였고, \circled5는 단감원에 발생하는 노린재류, 국화의 주요 해충인 애긴노린재,한약재인 백하수오에 발생하는 십자무의긴노린재, 콩 포장에 발생하는 수종의 노린재류의 발생소장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였다. \circled6에서는 단감원, 포도원 및 콩밭에서 실시한 약제방제 효과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몇 가지 살충제의 실내 생물검정에 대한 논문도 정리하였다. \circled7마지막으로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병원체인 micoplasma-like organism이 썩덩나무노린재와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해서 일일초로 전파된다는 논문을 소개하였다.

해조류 및 생약의 Tyrosinase 억제활성 검색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 이봉호;강기정;이은석;이남호;최병욱
    • 생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7-242
    • /
    • 1998
  • We have test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n the methanol extracts of 23 species marine algae and 23 species traditional medicinal plant. Among them, four medicinal plants, Ephedra sinica, Atractylodes japonica, Pinnelia ternata, and Citrus aurantium, showed strong inhibition potency over 90% at concentration of 0.33 mg/mL. Also, two marine algae, Enteromorpha compressa and Sargassum singgildianum showed mild inhibition potency over 50% at concentration of 0.33 mg/mL.

  • PDF

RAPD 및 약제저항성을 이용한 감귤 검은점무늬병균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of Phomopsis citri with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Fungicide Resistance)

  • 고영진;서정규;이태선;송장훈;권혁모;문덕영;문두길;한해룡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1-176
    • /
    • 1998
  • Gentic diversity of 42 isolates of Phomopsis citri was analyzed with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and fungicide resistance. RAPD profiles of genomic DNA of the isolates of P. citri and the degrees of their resistance to the fungicides mancozeb and propineb suggested the occurrence of genetic differentiation of P. citri distributed in Cheju. The isolates showed genetically diverse RAPD profiles according to the host species collected even from the same collection site and also according to the geographic origin collected even from the same host species. High levels of resistance to fungicides mancozeb and propineb were observed among the isolates of P. citri.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APD profiles of genomic DNA and levels of fungicide resistance of the isolates, suggesting that fungicide resistance of P. citri occurred irrespective of the host and geographic origin.

  • PDF

차나무, 동백나무, 귤나무 잎에서 엽록소 형광 및 $CO_2$ 흡수능의 비교 분석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CO_2$ Fixation Capacity in Leaves of Camellia sinensis, Camellia japonica, and Citrus unshiu)

  • 오순자;이진호;고광섭;고석찬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98-106
    • /
    • 2012
  • 본 연구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L.)와 동백나무(C. japonica L.), 제주지역의 주요 과수작물인 귤나무(Citrus unshiu M.) 잎을 대상으로 엽록소형광과 $CO_2$ 흡수능을 비교 분석하여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차나무의 $CO_2$ 고정율은 같은 과의 동백나무보다 높고 과수작물인 귤나무와 유사하였다. 기공전도도 ($g_s$)는 3종 모두 새벽에는 높고 이후 저녁 시간까지 계속하여 감소하였다. 엽육 내 $CO_2$ 농도 ($C_i$)는 3종 모두 새벽(06:00)에 높고 낮에 감소하였다가 저녁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잎의 증산율 (E)은 낮 시간에 높아졌다가 저녁에 감소하였다. 차나무에서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Fv/Fm)은 낮시간에 다소 낮아졌다가 저녁에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낮시간의 Fv/Fm 감소는 광억제의 결과로 보이며 그 감소폭이 동백나무보다 적어 빛이나 고온 등에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엽면적당 활성상태의 반응중심의 상대적 밀도를 의미하는 RC/CS는 3종 모두 낮시간에 감소하였다. ABS/RC, TRo/RC, ETo/RC와 DIo/RC는 차나무와 동백나무에서 낮시간에 증가하였으며, 귤나무에서도 낮시간에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동화율은 차나무가 $320.1mmol\;m^{-2}d^{-1}$로 가장 높았으며, 귤나무와 동백나무는 각각 $292.5mmol\;m^{-2}d^{-1}$$244.8mmol\;m^{-2}d^{-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차나무는 광합성율이 높고 낮 시간의 광억제도 낮을 뿐만 아니라, 귤나무보다 수분요구량이 낮고 수분이용효율은 높아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한 작물수종인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과일나무에서 유래된 추출물의 농업해충 및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활성 (Toxicity of various fruit tree extracts to five agricultural and four stored-product anthropod pests)

  • 이상계;박병수;이성은;손재권;송철;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7-32
    • /
    • 2001
  • 17과일의 43가지 부위의 메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5종의 주요 농업해충 및 4종의 저장물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효과는 과일류의 종류 및 해충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5,000 ppm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10종의 시료를 2,500 ppm에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모과와 석류씨가 벼멸구, 포도씨가 복숭아혹진딧물, 유자, 자몽, 메론, 감, 사과, 복숭아, 포도씨가 배추좀나방, 모과씨가 담배거세미나방, 모과와 포도 추출물이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4종의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5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모과 및 포도 추출물이 쌀바구미, 모과, 유자, 감 및 포도 추출물이 팥바구미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화랑곡나방와 궐련벌레에 대하여는 사용된 과일류의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숭아혹진딧물, 벼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및 점박이응애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과일류 추출물들은 농업해충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또한 쌀바구미와 팥바구미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저장물해충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active oxygen species-dependent apoptosis induction by water extract of Citrus unshiu peel in MDA-MB-231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 Kim, Min Yeong;Choi, Eun Ok;HwangBo, Hyun;Kwon, Da He;Ahn, Kyu Im;Kim, Hong Jae;Ji, Seon Yeong;Hong, Su-Hyun;Jeong, Jin-Woo;Kim, Gi Young;Park, Cheol;Choi, Yung Hy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2호
    • /
    • pp.129-134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Although several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extracts or components of Citrus unshiu peel, which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traditional medicine, the molecular mechanisms for their effects remain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cancer activity of a water-soluble extract of C. unshiu peel (WECU) in MDA-MB-231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at the level of apoptosis induction was investigated. MATERIALS/METHODS: Cytotoxicity was evaluated using the MTT assay. Apoptosis was detected using DAPI staining and flow cytometry analyse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say, caspase activity and Western blotting were used to confirm the basis of apoptosi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ECU-induced apoptosis was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caspase-8, and -9, representative initiator caspases of extrinsic and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respectively, and caspase-3 accompanied by proteolytic degradation of poly(ADP-ribose) polymerase and down-regulation of the inhibitors of apoptosis protein family members. WECU also increased the pro-apoptotic BAX to anti-apoptotic BCL-2 ratio,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to cytoplasm. Furthermore, WECU provoked the generation of ROS, but the reduction of cell viability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WECU were prevented when ROS production was blocked by antioxidant N-acetyl cystein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CU suppressed proliferation of MDA-MB-231 cells by activating extrinsic and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in a ROS-dependent manner.

시장에 유통되는 식용식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the Edible Plants on the Market in Busan)

  • 문성기;정순해;최철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64-774
    • /
    • 2003
  •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식용 식물은 8문 11강 46목 67과 156속 183종 45변종으로 모두 228종류였다. 총 228종류를 문별로 비교한 결과 가장 많은 분류군은 피자식물문으로 202종류(88.60%)였고 다음이 균문으로 9종류(3.95%), 갈조식물문 5종류(2.19%), 홍조식물문 4종류(1.75%), 양치식물문 3종류(1.32%), 나자식물문 2종류(0.88%), 녹조식물문 2종류(0.88%), 지의식물문이 1종류(0.44%)였다. 과의 분류군에 있어서 다수 종을 내포하는 것은 십자화과, 장미과, 콩과, 박과, 산형과, 국화과, 백합과, 화본과 등이며 속의 분류군에서는 Brassica(14종), Prunus(9종), Lactuca(9종), Allium(7종), Citrus(5종), Cucuimis(4종), Cichorium(4종) 등이다. 조사 식물중 참죽나무가 가죽나무로, 엔다이브는 치커리로, 새느타리버섯은 새송이버섯으로, 파드득나물은 참나물로 잘못 통용되고 있었고 귤과 밀감, 금감과 감귤, 바나나와 파초, 파프리카와 피망은 각각 다른 식물명으로 불리어지지만 동일종이었다. 식용식물의 계절별 출현 종류수가 많은 계절은 가을, 봄, 여름, 겨울 순이었고 시중에 유통되고있는 식용식물의 식용부위는 잎, 어린순, 열매, 종자 뿌리, 줄기, 잎자루 순으로 나타났다.

5종 생약(진피, 청피, 귤핵, 지실, 지각)의 Flavanone Glycoside 함량분석과 Peroxynitrite 소거효과 (Quantitative Analsysis of Flavanone Glycosides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Citrii unshiu Pericarpium, Citrii unshiu Semen, Aurantii Fructus, Poncirii Fructus))

  • 누그로호 아궁;박명곤;진성은;최재수;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0-375
    • /
    • 2009
  • Overproduction of peroxynitrite ($ONOO^-$) causes a variety of disease such as atherosclerosis, hypercholesterolemia, diabetes mellitus or obesity.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and HPLC analysis on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belonging to the genus Citrus, Aurantium or Poncirus (Rutaceae family) and HPLC analysis were taken to evaluate flavanone glycosides with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IC_{50}s$ of the five crude drugs were shown as follow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Jinpi, 18.3 ${\mu}g$/ml), Citrii unshiu Pericarpium (Chungpi, 7.50${\mu}g$/ml), Citrii unshiu Semen (Gyulhaek, >50.0${\mu}g$/ml), Aurantii Fructus (Jigak, 18.3${\mu}g$/ml), and Poncirii Fructus (Jisil, >50.0${\mu}g$/ml) where Korean crude drug's names are noted in the parenthesis.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flavanones or their glycosides usually contained in Citrus species were observed as follows: hesperetin (1.89 ${\mu}g$/ml), naringenin (7.77 ${\mu}g$/ml), hesperidin (8.44 ${\mu}g$/ml), poncirin (>50.0 ${\mu}g$/ml)and ponciretin(>50.0 ${\mu}g$/ml). The activities of naringin and poncirin with ${\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 moiety were weak. HPLC analytical data revealed that Jinpi (the peels of mature fruits of Citrus unshiu) and Chungpi (the peels of immature fruits of C. unshiu) had high quantities of hesperidin as the value of 142.1${\pm}$0.21 and 104.51${\pm}$1.10 mg/g dried weight, respectively. Poncirin was clearly detected in only Jisil and naringenin and naringin were not observed on the HPLC chromatogram of the five crude dru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