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ic acid (CA)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초

최소가공기술을 이용한 오디 과실주스의 제조 (Preparation of Minimally Processed Mulberry (Morus spp.) Juices)

  • 김인숙;이준영;이순재;윤광섭;최상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21-328
    • /
    • 2004
  • 오디 과실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가공식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 일환으로 먼저 최소가공기술을 이용한 오디 과실주스 제조 방법을 조사하였다. 오디 과실의 물추출액을 면포여과, 감압여과(Whatman No. 4 filter paper를 이용한) 및 원심분리를 각각 실시한 결과 원심분리가 가장 좋은 청징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여러 여과보조제 및 청징제를 첨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오디 과실즙의 색의 변화는 처리한 여과보조제, 청징제 및 청징 효소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casein, gelatin, chitin, chitosan 및 PVPP는 오디 색소를 강하게 흡착하였으며, 그리고 청징효소 중 ${\alpha}-amylase$ 처리구가 가장 좋은 청징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음, 오디 과즙을 원심분리한 후 $0.01\;{\mu}m$ 막여과를 실시한 결과 오디주스의 청징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나 한외여과방법은 오디 색소의 강한 흡착으로 적절하지 않았다. 한편, 4가지 갈변저해제 처리에 따른 오디 과실주스의 갈변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ppm sodium hydrosulfite 처리구가 가장 갈변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아울러 0.1% L-ascorbic acid(L-AsA) 및 citric acid(CA)도 갈변억제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위의 3가지 갈변저해제를 2중 복합병행 처리한 결과 0.1% L-AsA+0.1% CA 처리구가 가장 좋은 갈변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오디주스의 최적 당/산비는 40-50이었으며, 또한 상업적 살균 온도($85-90^{\circ}C$)에서 처리시간은 10분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솎은 과실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inned Apple, Pear and Peach)

  • 정기태;주인옥;류정;최정식;최영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1-395
    • /
    • 2002
  • 솎은 과실의 일반성분은 완숙과실 보다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함량이 높았으나 탄수화물 함량은 낮았다. 무기물 함량은 Ca> Mg> P> Na> K> B 순이었다. 중금속 중 As, Cd, Cr, Hg는 검출되지 않았고 Ge, Mo, Ni, Pb 등은 극 미량이었다. 유기산은 tartar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나 솎은 배는 citr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등이 검출되었으나 솎은 사과는 sucrose 가 검출되지 않았다. 식이섬유 함량은 불용성 식이섬유가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높았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사과 추출액이 RC$_{50}$ 81.2~85.2 ${\mu}\ell$/mL로 가장 활성이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반응 pH 1.2에서 솎은 사과와 배 추출액이 각각 80%와 63%로 우수한 효과가 있었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배 추출액이 61.0~89.4%로 가장 높았다.다.

유기산이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and Listeria monocytogenes by Organic Acid)

  • 장재선;이혜정;오보영;이제만;고종명;김용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3-407
    • /
    • 2007
  •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food processing agent on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as performed with organic acid, and combination of citr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vanillic acid. The 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propionic acid was 5,000 ppm in E. coli O157:H7, 2,500 ppm in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MIC of citric acid was 10,000 ppm in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Enteritidis, 2,500 ppm in Listeria monocytogenes. MIC of acetic acid was 2,500ppm, while in vanillic acid was 5,000 ppm in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MIC of combined organc acid in E. coli O157:H7 were 2,500ppm in PC, 1,250 ppm in PA, PV, CA, CV and AV. MIC of combined organc acid in Salmonella Enteritidis were 2,500 ppm in PC, PA, PV, CA, and CV, 1,250 ppm in AV. MIC of combined organc acid in Listeria monocytogenes were 1,250 ppm in all treatment group. MIC of combined treatment of three organ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were 1,250 ppm in PCA, PCV, PAV and CAV. The inhibitory effect of organ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could be confirmed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food process would increase or maintain by using organic acid.

Assessment of acute inhalation toxicity of citric acid and sodium hypochlorite in rats

  • Jinhee Kim;Chul-Min Park;Su Hyun Choi;Mi Jin Yang;Ju-Yeon Lee;Byung-Suk Jeon;Hyun-Ok Ku;Min-Seok Kim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2.1-22.12
    • /
    • 2023
  • Background: Citric acid (CA) and sodium hypochlorite (NaOCl) have been used to disinfect animals to protect them against avian influenza and foot-and-mouth disease. Objectives: We performed a good laboratory practice (GLP)-compliant animal toxicity study to assess the acute toxic effects of CA and NaOCl aerosol exposure in Sprague-Dawley rats. Methods: Groups of five rats per sex were exposed for 4 h to four concentrations of the two chemicals, i.e., 0.00, 0.22, 0.67, and 2.00 mg/L, using a nose-only exposure. After a single exposure to the chemicals, clinical signs, body weight, and mortality was observ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On day 15, an autopsy, and then gross findings,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After exposure to CA and NaOCl, body weight loss was observed but recovered. Two males died in the CA 2.00 mg/L group and, two males and one female died in the 2.00 mg/L NaOCl group. In the gross findings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discoloration of the lungs was observed in the CA exposed group and inflammatory lesions with discoloration of the lungs were observed in the NaOCl expos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thal concentration 50 (LC50) of CA is 1.73390 mg/L for males and > 1.70 mg/L for females. For NaOCl, the LC50 was 2.22222 mg/L for males and 2.39456 mg/L for females. Conclusions: The Globally Harmonized System is category 4 for both CA and NaOCl. In this study, the LC50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 GLP-based acute inhalation toxicity assessment.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data to reset safety standards for CA and NaOCl use.

여름철 닭고기의 냉장동안 미생물 및 관능평가에 관한 연구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s of Refrigerated Chicken in Summer)

  • 김창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6-20
    • /
    • 2001
  • 본 연구는 하계 (’98년 6월-8월)닭고기 (평균 500g 중량의 삼계)다리를 초산, 유산 및 구연산 용액으로 침지한 다음 미생물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닭고기 다리는 각 1%농도의 유기산 용액으로 10분 동안 침지하였다. 17분동안 1% 초산으로 침지한 닭고기 다리는 유산 및 구연산 처리구 보다 4$^{\circ}C$ 저장 16일 동안 유의적 (P<0.05)으로 낮은 호기성 세균 및 그람음성 세균수를 나타내었다. 초산의 항균력은 유산과 구연산 용액의 처리구 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초산으로 처리한 닭고기 다리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은 대조구 보다 8일 증가하였다. 유기 산으로 처리한 닭고기 다리의 냄새 및 외관에 대한 관능평가의 결과는 4$^{\circ}C$ 저장 12일 동안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낮게 유지되었다.

  • PDF

동백잎의 채취시기에 따른 화학적 성분 특성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o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 김봉순;최옥자;심기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81-686
    • /
    • 2005
  • 동백잎의 채취시기에 따른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catechin, chlorophyll 및 total polyphenol 등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동백 잎의 조단백과 조지방 및 ascorbic acid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조회분과 조섬유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 3개의 당이 확인되었고, 총 유리 당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이 검출되었고,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총함량은 증가하였다. 동백잎의 주된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histid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총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동백잎의 주된 구성아미노산은 histidine, alan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총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동백 잎에 함유된 무기질은 P, Ca, K, Na, Fe등으로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동백 잎의 chlorophyll 함량과 total polyphenol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 김재용;문광덕;이상대;조숙현;강혜인;이성태;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47-351
    • /
    • 2004
  • 큰느타리 버섯의 기능성 식품으로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큰느타리 버섯 자실체의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큰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과 총당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Mg, Na, Zn, Fe, Ca 및 Cu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hypoproline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아미노산은 arginineof 509.03 mg$\%$, lycine이 410.53 mg$\%$, glutamic acid가 190.05mg$\%$, phenylalanine이 150.63 mg$\%$ 및 histidine이 139.12 mg$\%$순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 함량은 citric acid, oxalic acid, formic acid 및 malic acid 순이었으며, 유리당은 gluc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fructose, ribose, galactose, lactose, arabinose 및 maltose 순이었다.

적과 단감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epersimmon)

  • 신동주;김광호;성태수;김종현;손규목;황용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40-445
    • /
    • 2000
  • 단감재배농가에서 전량 폐기되는 적과단감을 이용한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이 89.0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회분이 0.26%, 조지방이 0.56%, 조단백질이 0.75%이었다. 유리당은 glucose와 fructose가 각각 3.34%, 3.0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sucrose는 미량 검출되었다. 유기산은 citric acid, maleic acid, fumalic acid, lact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lactic acid가 68.65mg%로 전체 유기산 함량의 79%를 차지하였다. 무기질은 K, P, Na. Ca, Fe, Zn 등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K이 126.l2mg%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Fe과 Zn은 미량 검출되었다. 비타민 A는 33.95 R.E.로 완숙단감보다 함량이 적었으며 비타민 C는 171.01mg%로 완숙단감에 비해 10배 이상 함유하였으며 비타민 B$_1$과 B$_2$는 소량 검출되었다.

  • PDF

Combustion Synthesis of $LiMn_2$$O_4$with Citric Acid and the Effect of Post-heat Treatment

  • Han, Yi-Sup;Son, Jong-Tea;Kim, Ho-Gi;Jung, Hun-Teak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7-307
    • /
    • 2001
  • Combustion process with citrate was used to produce the LiMn$_2$O$_4$powder. Precursors are pre-ignited in open air followed by post-heating in the range from $600^{\circ}C$ to 80$0^{\circ}C$ for 4h. With varying the molar ratio (R) of ethylene glycol (EG) to citric acid (CA) from 0 to 4, the effect of EG content on powder characteristics is evaluated. Vacuum drying promote the auto-ignition at room temperature. With small addition of EG metal ion was selectively segregated with organic substances and undesired lithium evaporation occurred during post-heating. LiMn$_2$O$_4$phase which is produced by combustion reaction was decomposed back to Mn$_3$O$_4$because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higher than 95$0^{\circ}C$. With increasing EG content, the homogeneity of LiMn$_2$O$_4$powder increased and specific surface area increased. And lithium evaporation during vacuum drying and/or ignition also increased.

  • PDF

천연보존제 첨가에 따른 다진 마늘의 품질 안정화 (Stabilization of Chopped Garlic Quality by the Addition of Natural Preservatives)

  • 나영아;류영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5
    • /
    • 2000
  • 다진 마늘의 상품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생 마늘을 다진 마늘로 제조한 후. 구연산과 식염, 그리고 천연보존제를 각각 첨가하거나 복합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서 구연산의 첨가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연간 농도 0.5%와 l%의 두 구간으로 설정하여 결과를 검증하였는바, citric acid 0.5%구간에서는 a값의 저하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citric acid l%구간에서도 L값의 상승, a값의 저하, b값의 저하 등 결과적으로 갈변억제 효과에 상당히 우수한 영향을 미쳤다. 2. 식염 1%구간에서는 오히려 역효과(가스량 증가)를 보여 주었으며, 식염 농도가 2%이상에서는 미생물 증식에 있어 억제효과를 보여 주어 식염의 방부제 역할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면 Gas의 형성량은 미생물의 증식량과도 밀접한 관계를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Hunter 계수값을 살펴보면 식염의 농도가 a값의 변화에는 많은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salt 3% 구간에서 b값의 현저한 제어능력을 보여 주어 결과적으로 L값의 저하효과를 가져와 갈변억제효과를 보여 주었다. 3. 구연산 0.5%와 Salt 3%의 복합첨가가 갈변억제에 상당히 큰 효과를 보여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즉, b값의 수치에는 영향력이 거의 없으나 a값(적색도)의 저하에는 효과가 좋아 결과적으로 L값(명도)의 유지에 상당히 좋은 반응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CA l%와 Salt 3%의 복합첨가 구간에서는 미생물수 증식억제, L값 유지(갈변 억제) 등에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지만, pH의 수치는 상당히 낮아지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4. 천연종실추출액(GF, 500ppm)과 구연산(0.3%)의 복합첨가효과에 있어서는 미생물생성억제효과가 좋았으며, 갈변억제효과는 보통이었다. GF(500ppm)와 구연산(0.3%), 그리고 여기에 Ascorbic acid(0.1%)를 첨가한 복합효과측정에 있어서는 갈변억제의 효과에 그다지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미생물생성억제효과는 약간 있었다. 첨가농도를 다르게 한 구연산과 겨자의 혼합액(CA+Mustard 0.5%)의 효과는 Sample D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농도의 비중에 비하여 미생물 억제기능은 오히려 약간 상승하였다. 5. 다진 마늘을 제조하여 2주 경과한 후의 색상과 맛에 대한 기호성(평균 점수로 표시)점수는 전반적으로 낮아졌으나, 대체적으로 다진 마늘의 색상과 맛에 있어 식염 3% 구간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구연산 5%와 l% 구간의 관능검사 결과는 2주 경과 후 색상과 맛에 있어 식염첨가효과보다 더욱 좋은 평균점수로 나타났다. 식염과 구연산의 복합첨가 구간에 있어서는 구연산 0.5%와 NaCl 3%의 복합첨가 구간에서 관능검사의 색상과 맛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 또한 천연종실추출액과 Citric Acid 그리고 Ascorbic acid 등의 3가지 복합첨가효과에 있어서도 비교적 좋은 점수의 관능검사 결과가 나타났다. 6. 쵸핑 사이즈(choppin size)에 따른 점도의 변화 및 포장적성을 위한 관능검사의 결과는 다진 마늘의 입자 직경이 3mm size일 때, 즉 점도(Viscosity)가 4500cp에서 가장 좋은 점수(7점)의 관능 평가를 받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