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rcular patch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6초

900 MHz / 2.45 GHz 대역 휴대용 FRID 리더를 위한 이중 대역 원형편파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dual ban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900 MHz / 2.45 GHz Hand-held RFID Reader)

  • 김정표;이윤복;성원모;최재훈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5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5 No.1
    • /
    • pp.235-240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dual band circularly polarized microstrip patch antenna. The antenna consists of two corner truncated patches implemented in one plane and single feed point. The input signal is directly excited to the patch 2 and the patch 1 is fed from patch 2 by coupling between two patches. The antenna is operated at 900 MHz and 2.45 GHz bands and has the right hand circularly polarized radiation pattern at all. The measured gains of the antenna are 2.95 dBic at 900 MHz band and 4.6 dBic at 2.45 GHz band.

  • PDF

On the Necessity of Cavity-type Coupling Mechanism for obtaining Circular Polarization with Microstrip Patch Antenna

  • Abegaonkar, Mahesh P.;Cho, Young-Ki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459-463
    • /
    • 2003
  • A circularly polarized microstrip patch antenna (MPA) using electromagnetic (EM) coupled fed method is analyzed in view of the two types of coupling mechanisms viz. cavity and parasitic type, proposed earlier. The patch-ground plane distance is varied in order to achieve the fore-mentioned types of couplings. For each case of patch-ground plane distance, the offset position of feedline is optimized for perfect matching and the boresight axial ratio (AR) is observed. It is seen that CP operation is possible only for cavity-type coupling (smaller patch-ground plane distances). The simulated results for the boresight AR for the two types of coupling mechanisms are presented.

  • PDF

인체 표면 통신을 위한 TM31 고차 모드 반원-링 인체 부착형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TM31 Higher Order Mode Half Circular-Ring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On-Body Communications)

  • 탁진필;전재성;김선우;최재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91-50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모노폴과 같은 방사특성을 갖고 인체 표면 간 통신을 위한 $TM_{31}$ 고차 모드 반원-링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단락 핀을 이용하여 $TM_{31}$ 고차 공진 모드를 형성하였고, 평면형임에도 불구하고 모노폴과 같은 방사특성을 갖는다. 패치안테나의 좁은 대역폭을 확장하기 위해 $TM_{31}$ 모드 C-형 반링 패치를 반원 패치에 인접시켰으며, 소형화를 위해 half mode를 사용하였다. 인체 착용환경을 고려하여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하여 급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2.45 GHz 대역(2.4~2.485 GHz)에서 $0.25{\lambda}_0{\times}0.46{\lambda}_0{\times}0.025{\lambda}_0$의 크기를 갖고, 2.38~2.49 GHz에서 4.24 %의 10-dB 반사손실 대역폭을 갖는다. 인체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2/3 근육-등가 반고체형 모의인체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테나에 미치는 인체의 영향을 분석,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인체 상황에서 제안된 안테나를 통해 인체 표면 간 링크의 통신 성능 분석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여파기와 안테나로 동시 적용이 가능한 마이크로스트립 공진기 (Microstrip Resonator for Simultaneous Application to Filter and Antenna)

  • 성영제;김덕환;김영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75-48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여파기와 안테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마이크로스트립 공진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구조는 바깥쪽 링, 안쪽 링, 원형 패치, 그리고 3개의 포트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하는 구조가 여파기와 안테나로 동작하는 주파수는 각각 주로 안쪽 링과 원형 패치의 반지름에 의해 결정된다. 측정 결과를 통해 마이크로스트립 공진기가 여파기로 동작할 경우 공진 주파수는 0.69 GHz에서 3 dB 대역폭 15.1 %에 삽입 손실이 -1.4 dB의 특성을 보였다. 이 때, 통과 대역 아래 부분에 전달 영점은 0.52 GHz에, 윗부분의 전달 영점은 1.14 GHz와 2.22 GHz에 위치하였다. 위쪽 저지 대역에서 바깥쪽 링의 스터브에 의한 교차 결합(cross coupling)과 안쪽 링에 의해 각각 1개의 전달 영점이 형성된다. 원형 패치는 이중 모드(dual-mode) 특성을 형성하며, 또 다른 전달 영점을 유도한다. 제안한 구조가 안테나로 동작하는 주파수는 2.7 GHz이고, 이득은 3.8 dBi 였다. 여파기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에서 격리도 특성(isolation)이 각각 -25 dB 이하의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원형군락 하류의 흐름특성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behind a Circular Patch of Vegetation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 김형석;박문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1호
    • /
    • pp.891-903
    • /
    • 2015
  • 본 연구는 식재된 개수로에서 흐름특성을 모의할 수 있는 수심 적분된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원형 식생역 주변의 흐름을 수치모의하였다. 식생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식생항력 항을 지배방정식에 추가하였고 다양한 식생체적비율(SVF) 조건에 따른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흐름이 원형 식생역을 통과하고 하류에 저유속 구간인 후류영역(wake region)을 형성하며 식생체적비율이 0.08 이상이면 재순환 영역이 발생하였다. 재순환 발생위치는 식생체적비율이 감소하면 식생역에서 더욱 하류로 이동하였다. 후류영역을 지나 원형 식생역 양 측면에서 유발된 전단층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von $K{\acute{a}}rm{\acute{a}}n$ 와열이 발생하였다. 원형 식생역 하류에서 발생하는 와류는 식생체적비율이 0.08 이상이 되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발생위치는 난류운동에너지가 최대값을 보이는 위치와 일치하였다. 최대 난류운동에너지는 식생체적비율이 감소하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대값의 발생위치는 점점 하류로 이동하였다.

자기변형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평판구조물의 특정방향 가진 및 측정 (The Actuation and Measurement of plate Structures at a Specific Direction by a Magnetostrictive Transducer)

  • 이주승;조승현;선경호;김윤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53-158
    • /
    • 2004
  • The coupling phenomenon between stress and magnetic induction, known as magnetostriction,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generate and measure elastic waves. Most applications of this phenomenon thus far, however, are rather limited to cylindrical ferromagnetic waveguid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develop a new patch-type, orientation-adjustable magnetostrictive transducer that is applicable for non-cylindrical, non-ferromagnetic waveguides. The existing patch-type transducer consisting of a ferromagnetic patch and a racetrack coil is useful to generate elastic waves only in one specific direction once the patch is bonded to a test specimen. However, the proposed transducer can transmit and receive elastic waves in any direction only with one patch at a given location. The proposed magnetostrictive transducer consists of a circular nickel patch, a figure-of-eight coil, and a couple of bias permanent magnets. Because of the unique configuration of the transducer, the propagating direction of the generated waves can be freely controlled since the set of bias magnets and the coil is not bonded to the magnetostrictive patch. In this work,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transducer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 PDF

단일 급전 원형 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Design of Singly Fed Microstrip Antennas Having Circular Polarization)

  • 오세창;전중창;박위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998-100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X 밴드 주파수에서 단얼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급전방식을 갖는 원형 편파 개구면-패치 안테나(aperture-patch antenna) 및 환 구조 안테나(ring antenna)를 설계, 제작하여 특성을 측정하였다. 개구면-패치 안테나는 동작 대역폭이 매우 넓으며, 환 구조 안테나는 크기가 작아서 대형 배열안테나의 기본 복사소자로 적합하다. 이 두 종류의 안테나에 대하여 VSWR 대역폭과 원형편파 축비(axial ratio)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설계 파라미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개구면과 환 복사소자는 공진기 모델(cavity mode!)에 근거하여 초기 설계를 하였으며. 원형편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개구면 내부의 패치와 환 내부의 스터브(stub) 는 Ensembl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최적화 하였다. 제작된 안테나는 개구면-패치 안테나의 경우 25 %의 V VSWR 대역폭(3dB 기준)과 1.2 dB의 최소 축비를 가지며, 환 구조 안테나에서는 6.7 %의 VSWR 대역폭과 1.6 dB의 최소 축비를 가진다.

  • PDF

UHF RFID Reader용 사각 환형 소형 능동 안테나 (Compact Active Integrated Antenna with Rectagular Ring Structure for UHF RFID Reader)

  • 윤기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15-32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UHF RFID Reader 장치에서 고주파 신호 송신을 위한 발진기형 능동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였다. 능동 안테나의 방사체로는 임피던스 정합이 용이하면서 좌선 원형 편파 특성을 갖는 소형화된 사각형 링 패치 안테나가 제안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링 패치 내부의 빈 공간에 RF증폭 회로를 위치시켜 사각형 링 패치와 상호연결하여 궤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발진 회로를 구성하였다. 발진 중심 주파수는 915 MHz이며 링 패치는 발진기의 공진기로 활용하였다. 실험 결과, 임피던스 대역폭 29 MHz, 3 dB 축비 대역폭 20 MHz, 3 dB 빔폭 $85^{\circ}$, 그리고 유효 방사 전력을 8.8 dBm을 얻었다.

5.8GHz 마이크로파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원형 편파 배열 안테나 설계 (Design of Circularly Polarized Array Antenna for 5.8GHz Microwa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이성훈;손명식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25
    • /
    • 2018
  •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circularly polarized array antenna for 5.8GHz microwa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obtain high antenna gain, we studied a single patch antenna, a $2{\times}1$ array antenna, a $2{\times}2$ array antenna, a $2{\times}4$ array antenna, and a $4{\times}4$ array antenna. Commonly, characteristics of each antenna have a frequency of 5.8 GHz and Right Hand Circular Polarization(RHCP) of circular polarization. Also, the results were obtained with the design to each antenna that the return loss was less than -10dB and the axial ratio was less than 3dB. The gain of the antennas was 6.08dBi for a single patch antenna, 9.69dBi for a $2{\times}1$ array antenna, 12.99dBi for a $2{\times}2$ array antenna, 15.72dBi for a $2{\times}4$ array antenna and 18.39dBi for a $4{\times}4$ array antenna. When the elements of the array antenna were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it increased by about 3dBi.

Sierpinski 프랙탈 구조를 가지는 정삼각형 패치와 SSFIP 구조에 의한 위성방송 수신용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개발 (Development of Microstrip Antenna for Satellite Broadcasting Receptions Based on the Sierpinski Equilateral Triangular Patch and SSFIP (slot­strip­foam­inverted patch) structures)

  • 심재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598-1603
    • /
    • 2003
  • 위성방송 수신용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하고 이를 제작하여 안테나 성능을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모양은 Sierpinski 프랙탈 구조를 가지는 정삼각형 패치를 이용하였고 안테나 구조는 다층의 SSFIP(slot­strip­foam­inverted patch) 구조를 이용하였다. Sierpinski 프랙탈 구조가 가지는 특징을 이용하여 원형 편파 발생을 위한 sequential 회전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기본 안테나로 하여 8${\times}$2 배열 안테나로 확장하였다. 제작된 안테나의 반사계수와 방사패턴의 측정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