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thamalus challengeri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Larval Development of Chthamalus challengeri Hoek (Cirripedia: Thoracica: Chthamalidae) with Keys to Barnacle Larvae of Korean Coastal Waters

  • Chu L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1호
    • /
    • pp.59-68
    • /
    • 1999
  • Chthamalus challengeri Hoek was collected from intertidal rocks to rear the larvae from hatching through nauplius to cyprid in the laboratory. Larval development consists of six nauplius stages and a cyprid. Unilobed labrum with a prominent protuberance and the frontolateral horns folded under the anterior cephalic shield margin are diagnostic features through all nauplius stages. The posterior border of the cephalic shield bears no posterior shield spines in nauplius stages IV-Ⅵ. There is a specific hispid seta in the fourth group of the antennal endopodite.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the cephalic shield, labrum, abdominal process, antennules, antennae and mandibles in all nauplius and cyprid stage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numerical setations of the antennule are found to aid in the intraspecific identification of barnacle nauplius stages without dissection. The keys to each stage of the barnacle larvae in Korean coastal waters are provided based on the reared nauplii of seven species: Pollicipes mitella Octomeris sulcata, Chthamalus challengeri, Balanus albicostatus B. trigonus, B. amphitrite, and B. improvisus inhabiting Korean coastal waters.

  • PDF

화순 조간대 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의 공간적 종다양성에 관한 연구 (Spatial Species Diversity of Macrobenthos in the Intertidal Zone of Hwasoon, Jeju Islands)

  • 이정재;강경철;김종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70
    • /
    • 2001
  • 1999년 9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제주도 안덕면 화순리 화순화력발전소 인접 5개 지점 조간대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순화력발전소 인접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은총 6 문, 13 강, 24 목, 49 과, 97 종이 출현하였다. 조간대 상부구역의 제 1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 제 2우점종은 군부 (Liolophura japonica), 테두리고등 (Patelloida saccharina), 배무래기 (Notoarmea schrenckii) 이였다. 중부구역의 제 1 우점종은 울타리고등 (Monodonta labio), 작은조무래기따개비 (Chthamalus challengeri), 고랑딱개비 (Siphonalia japonica), 군부 (L. japonica), 울타리고등 (M. labio)이였으며, 제 2 우점종은 배무래기 (N.schrenckii), 울타리고등 (M. labio), 진주담치 (Mytilus edulis), 거북손 (Mitella mitella), 군부 (L. japonica) 이였다. 하부구역의 제 1 우절종은 꽃고랑딱개비 (Siphonalia sirius), 작은조무래기따개비 (C. challengeri), 해변말미잘(Actinia mesembryanthemum), 테두리고등 (P. saccharina), 울타리고등 (M. labio) 이였으며, 제 2 우점종은 배무래기 (N. schrenckii), 군부 (L. japonica), 석회관갯지렁이(Serpula vermicularis), 울타리고등 (M. labio)이였다. 조간대 종다양도지수나 균등도, 풍부도는 하부구역이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 비하여 컸다.

  • PDF

1979年産 韓國動物學會 秋季學術大會 發表論文要旨錄: 한국산 따개비류(Cirripedia, Thoraciea, Balanomorpha)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 김훈수;김일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60
    • /
    • 1980
  • 저자들은 1963년~1978년 사이에 남한의 38개 지점으로부터 채집된 따개비류를 관찰한 결과, 이 중에서 15종 2 아종이 동정 분류되었으며 아래의 7종 2아종은 한국 미기록이므로 이를 기재하여 발표하고저 한다. Octomeris sulcata, Chthamalus challengeri, Chelonibia patula, Chirona (Striatobalanus) amaryllis, Solidobalanus (Hesperibalanus) hesperius hesperius, Balanus reticulatus, Btrigonus, Megabalanus rosa, M. volcano.

  • PDF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동태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 유종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420-425
    • /
    • 2003
  •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종조성, 군집구조, 종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부착해산식물의 출현종수는 남조류 4종, 녹조류 6종, 갈조류 17종, 홍조류 47종, 해산종자식물 l종으로 총 75종이 관찰되었다. 부착해산식물 우점종은 melobesioidean algae, Chondracanthus tenellus, Sargassium thunbergii, Corallina spp., Phyllospadix japonica 5 종이었고, 여름에 Ulva pertusa가 추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서동물은 Chthamalus challengeri and Mytilus edulis 가 조간대 상부와 중부에 우점하는 단순한 분포를 보였다. 한편 해조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빈도, 피도, 빈도와 피도 합 그리고 중요도를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각각 1.81, 2.25, 2.19, 1.80로 나타났다. 이는 종다양성지수의 계산을 위한 기준자료에 따라 값이 달라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후 종다양서지수를 논할 때 기본자료 선택의 중요성과 방법론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지적한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분류된 해조류 종수는 부산연안에서 기 조사된 결과와 비교할 때 최고 65%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인근 오륙도 주변에 출현하는 만각류 유생의 월별 출현 양상 변화 (Monthly Variations of Cirriped Larvae near Oryuk Islets off Busan, Korea)

  • 최정화;강정훈;박원규
    • 환경생물
    • /
    • 제33권2호
    • /
    • pp.230-239
    • /
    • 2015
  • Monthly variations of cirriped larvae near Oryuk islets off Busan were investigated at four stations from January 2012 to January 2013. Zooplankton was vertically collected, using NORPAC net (mouth 45 cm, mesh $200{\mu}m$), from the surface to 1 m above the bottom. 12 species belong to five genera of 4 famil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one unidentified species. Cirriped larvae occupied small portion of total zooplankton, ranging 0.02 to 4.1% of total zooplankton densities. The densities varied monthly from $1inds.m^{-3}$ to $715.1inds.m^{-3}$, which was highest in September and lowest in February. Chthamalus challengeri, Balanus glanula, B. improbisus, B. nubilus and Octomeris sulcata were dominant species and accounted for 70.1% of total cirriped larvae. Larval densities of cirripeds between st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0.237, p=0.870). The larval communities were grouped into two groups by cluster analysis. We discuss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irriped larvae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area.

동해안 죽변 조간대 저서동물의 계절적 군집 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at the Intertidal Zone of Jukbyeon in the East Coast of Korea)

  • 홍성익;최용규;정희동;이윤;김상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1-33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울진군 죽변의 암반조간대에서 2년(2015-2016)간 계절별 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죽변암반조간대의 종조성은 5문 41종으로 자포동물 4종, 연체동물 19종, 환형동물 3종, 절지동물 13종, 극피동물 2종이 출현하였으며, 총개체수 $1,642inds./m^2$, 총생체량 $1,959.42gWWt/m^2$ 조사되었다. 조간대 상부는 조무래기따개비(Chthamalus challengeri), 좁쌀무늬총알고둥(Nodilittorina radiata)이 우점하였다. 하부는 지중해담치(Mytilus galloprovincialis), 배무래기(Nipponacmaea schrenckii), 구멍밤고둥(Chlorostoma turbinata)이 우점하였다. 계절별 우점종의 경우, 조간대 상부에는 겨울과 봄에 조무래기따개비, 여름과 가을에 좁쌀무늬총알고둥이 우점하였다. 조간대 하부는 전 계절에 걸쳐서 지중해담치가 우점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생물군집의 분기별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이들 지역은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조간대 하부의 2015년 11월, 2015년 8월, 2016년 2-8월의 Group A와 조간대 하부의 2016년 11월, 2015년 5월의 Group B, 2015년-2016년 조간대 상부의 Group C로 구분되었다.

Bio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Organisms in the Rocky Shore of Dongbaekseom, Busan

  • Yoo, Jong-Su
    • ALGAE
    • /
    • 제18권3호
    • /
    • pp.225-232
    • /
    • 2003
  • Species composition,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marine benthic community were studied in the rocky shore of Dongbaekseom, Busan. A total of 82 species of marine algae including 4 Cyanophyta, 11 Chlorophyta, 20 Phaeophyta and 47 Rhodophyta are listed. The dominant algal species were Ulva pertusa, Chondria crassicaulis, Corallina spp. and Melobesioidean algae. Sargassum thunbergii, Chondracanthus intermedia, Gelidium divaricatum and Ralfsia verrucosa were subdominant in cases of different seasons and vertical layers. Chthamalus challengeri, Littorina brevicula and Mytilus edulis were dominant zoobenthic species upper-middle layer of the intertidal zone.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is area seemed to be controlled by spatial competition with benthic marine algae.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estimated from different sources were quite different. Indices from coverage were 1.87, 3.98 from frequency, 2.26 from the average of total frequency and coverage and 2.15 from importance value. The similarity indices on the present study showed decreasing trends comparing to the previous benthic algal composition researches.

Systematic Studies on the Cirripeds (Crustacea) from Korea: I. Balanomorph Barnacles (Cirripedia, Thoracica, Balanomorpha)

  • Kim, Il-Hoi;Kim, Hoon-S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1-194
    • /
    • 1980
  • 저자들은 1963년부터 1978년 사이에 남한의 38개지점으로부터 채집되어 서울돼 자연대학 동물학과에 보관된 따개비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15종, 2아종이 밝혀졌따. 이들을 모두 기재하여 보고한다. 이들중 다음의 2종 1아종은 한국내 미기록종 및 아종이다 : (Chelonibia patula, Chirona (Striatobalanus) amaryllis, Solidobalanus (Hesperibalanus) hesperius hesperius.

  • PDF

진해 괴정 암반 조간대 담치대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및 수직분포 (Community Structur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the Mussel Bed on the Goijeong Rocky Shore in Jinhae)

  • 백상규;윤성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00-508
    • /
    • 2003
  • The fauna associated with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beds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were studied on the Goijeong rocky shore in Jinhae Bay, Korea. Sampling was conducted seasonally using a quadrate from January to October, 1998. In the first experiment, to reveal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in mussel bed, a total of 62 species $(10,690ind./m^2,\;3,802.1\;g/m^2)$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d polychaetes $(32\;spp.,\;52.6\%),$ molluscs (16 spp.), crustaceans (10 spp.), and others. The density-dominant species were Pseudopolydora antennata, Nereis heterocirrata, Littorina brevicula and Balanus kondakovi. And the density of associated fauna was correlated with that of mussel (r=0.951, p=0.049). In the second experiment, to reveal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on the rocky shore, ANOVA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nsity of top 5 dominant species (Chthamalus challengeri, Littorina brevicula, Balanus kondakovi, Septifer virgatus and Granulilittorina exigua) and tidal levels (P=0.000).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bnethos was characterized by Ghthamalus belt and Balanus-Septifer belt in the mussel bed.

독도 암반조간대 무척추동물군집의 공간적 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rine Invertebrate Communities on Intertidal Rocky Shore in Dokdo)

  • 차재훈;김미경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143-150
    • /
    • 2012
  • 독도 조간대 해양무척추동물의 공간적인 분포를 밝히기 위해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0차례에 걸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Bray-Curtis 유사도를 이용한 집괴분석을 통하여 3개의 군집을 밝혔으며, 첫 번째 군집은 자갈해변군집으로 이동성 복족류인 보말고둥과 깜장각시고둥 그리고 밤고둥이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군집은 잔잔한 암반해안으로 보말고둥, 큰뱀고둥 그리고 군소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군집은 두 종의 고착형 절지동물인 검은큰따개비와 거북손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군집은 독도 암반조간대의 기질의 종류와 수리역학적인 조건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환경적인 조건이 해양생물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