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loroform fraction

검색결과 603건 처리시간 0.023초

현초의 항산화 활성에 의한 산화적 DNA 손상 보호효과 및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Geranium thunbergii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via antioxidant effect)

  • 권태형;이수진;박재호;김태완;박정자;박년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5-3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현초의 식품소재 적용과 기능성 소재의 개발을 위해 현초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이용하여 활성산소종의 소거활성과 산화적 DNA 손상 보호효과 및 항균활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현초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water의 용매를 이용하여 순차분획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다양한 항산화 측정 방법을 통하여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에서 효과가 높게 측정 되었으며, $5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0.88%, 80.12%, 28%를 저해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항산화 효능과 함께 산화적 DNA 손상 보호효과를 검증하였고 농도별로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식품 소재 및 다양한 첨가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연구에 사용된 모든 균주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활성을 가진 현초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물질을 검증하기 위하여 phenolic compound 및 flavonoid 대조군을 이용하여 LC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ellagic acid와 gallic aicd가 검출 되었으며 각각 55.14 mg/g, 5.42 mg/g 측정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현초는 다양한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논문은 기능성 물질로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지방질다당류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청도반시 땡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unripe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박예빈;정하람;이승환;김태완;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90-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적과한 청도반시 땡감을 40% (v/v) 에탄올-물 혼합 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액체-액체 추출법으로 5개 분획물(노말-헥세인, 클로로폼, 에틸 아세테이트, 노말-뷰탄올, 물)을 얻었다. 5개 분획물 중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산화방지능이 가장 높았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지방질다당류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산화 질소, IL-6,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 UPLC-ESI-MS/MS를 이용하여 땡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페놀 화합물로 갈산, 프로토카테츄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쿼서틴-3-O-글루코사이드, 파라-쿠마르산, 쿼서틴을 동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적과 과정에서 부산물로 버려지는 청도반시 땡감이 산화방지능 및 항염증 효과를 보유한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향후 적과한 청도반시 땡감의 산화방지능에 기반한 항염증 효과를 좀 더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청도반시 땡감에 존재하는 개별 생리활성물질의 정량 분석 및 항염증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동백 유박 에탄올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defatted Camellia japonica L. seeds)

  • 박원표;김난경;한석희;이상현;김지현;최진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503-511
    • /
    • 2023
  • 본 연구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동백나무 유박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 후 부탄올(BuOH), 에틸아세테이트(EtOAc), 클로로포름 및 헥산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조제하였다. 동백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O2-)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동백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DPPH, ABTS+ 및 O2- radical 소거능을 증가시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동백 유박 BuOH 분획물은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에 비해 가장 높은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동백 유박 BuOH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3.26 mg GAE/g 및 32.39 mg QE/g이었으며, 이는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보다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었다. 동백 유박 BuOH 분획물 및 EtOAc 분획물의 cameliaside B 함량은 각각 102.37, 165.05 ㎍/g임을 확인하여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동백 유박 추출 및 분획물 중에서 BuOH 분획물 및 EtOA c 분획물은 다른 추출 및 분획물에 비해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항산화 물질 함유량이 높아,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YD-10B 인간구강암세포주에서 생강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트롬빈억제 및 thrombin에 의해 처리된 암 침윤 및 전이 억제 효과 (Effect of the Solvent Fractions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against Thrombintreated Tumor Invasion in Human Oral Squamous Carcinoma YD-10B Cells)

  • 김은정;김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89-1297
    • /
    • 2016
  • 구강편평세포암종은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암의 형태로서, 구강암의 90%이상을 차지한다. 구강암은 국소적인 침윤의 양상을 나타내며 또한 조기진단과 치료가 용이하여 암예방을 위한 유용한 모델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강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트롬빈억제 및 PMA 또는 thrombin에 의해 유도된 MMP- 2 및 MMP-9활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료들은 생강 열수 추출물을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anol) 및 물($H_2O$)과 같은 용매로 분획화하여 사용하였고, $H_2O$ 분획물의 수득율이 9.79%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은 DPPH assay, 세포 생존율 측정은 MTS assay, 항염증 활성은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세포에서 NO 생성 그리고 MMP-2 및 MMP-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 억제는 인간구강편평세포암종 YD-10B 세포에서 RT-PCR과 zymography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MMP-2/-9 활성은 PMA에 의해 YD-10B세포에서 증가하였고, thrombin 처리에 의해서는 MMP-9 활성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YD-10B 세포에서, PMA 또는 thrombin처리 모두에서 hexane 분획물이 MMP-2/-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은 hexane과 $H_2O$ 분획물에서 92.38%와 92.96%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H_2O$ 분획물에서 65.86%로 가장 유의하게 트롬빈 억제 활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생강 hexane분획물이 구강암의 우수한 암 침윤 및 전이 억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질경이가 실험적으로 유발된 흰쥐의 위염 및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ylacetate Fraction of Plantain (Plantago asiatica L.) on Experimentally-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and Gastric Ulcers in Rats)

  • 원영준;나명순;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59-667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흰쥐에서 실험적으로 급성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을 유발하고 질경이 에칠아세테이트분획을 투여하여 항위염 및 항위궤양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질경이 에탄올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tae 및 n-butanol로 계통분획하고 농축하여 in vitro에서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ethyl-acetate분획이 가장 우수하였다. 2. 질경이 에칠아세테이트분획 (PEL 및 PEH)은 HCl-ethanol에 의한 위점막 손상에서 대조군(CON)에 비하여 각 용량별로 55.7% 및 62.1%의 유의적인 항위염작용을 나타냈으며, 특히 고용량투여군인 PEH의 경우 양성 대조약물투여군(60.5%)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3. Indomethacin에 의해 유발된 위궤양에서, PEL 및 PEH는 양성 대조약물군인 CMT의 위궤양 억제율(61.6%)에는 다소 미치지 못하였으나 CON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4. Shay위궤양에서, 질경이 에칠아세테이트분획 200mg/kg을 십이지장에서 위내로 투여하였을 때 궤양억제율이 37.9%로 CON에 비하여 Shay위궤양을 억제하였으나 유의성있는 효과는 아니었으며 용량을 증량하여 투여한 PEH(400 mg/kg)는 48.9%로 양성 대조약물인 omeprazol를 투여한 OMP의 저해효과(55.6 %)에 근접하였다. 5. 질경이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을 용량별로 투여했을 때 위액의 pH가 대조군에 비해 약간의 감소되었으나 정상 범위 내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고 양성 대조약물군인 OMP는 유의적으로 위액의 pH를 유의성있게 감소시켰다. 위액량 및 총 위산분비량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PEL 및 PEH가 각각 33.8%와 38.7%의 감소효과를 나타냈으나 유의성은 없었으며 양성 대조약물인 omeprazol 만큼 뚜렷한 효과는 볼 수 없었다. 6. Pepsin활성에서,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분획과 양성 대조약물투여로 pepsin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17%, 22% 및 24%의 활성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나 전군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7 구속ㆍ수침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궤양의 경우, PEL 및 PEH에서도 출혈을 동반한 궤양이 관찰되었으나 CON에 비하여 궤양의 깊이가 다소 얕았지만 유의적인 효과는 아니었다. 양성 약물대조군의 경우 궤양의 형성이 CON과 PEL및 PEH에 비하여 궤양형성의 부분이 다소 적었으나 점상 출혈이 존재하였다. 8. Cysteamine에 의해 유발된 십이지장궤양에서, CMT가 52.2%의 유의한 궤양 억제율을 나타냈고 PEH의 경우 유의성은 없었으나 약 43%의 궤양억제율을 나타냈다.

동과 (Benincasa hispida) 분획물의 투여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간장 지질수준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nincasa hispida Fractions on Hepatic Lipid Levels and Lipid Peroxidation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임숙자;이민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6호
    • /
    • pp.513-519
    • /
    • 2006
  • 한국산 식용 및 야생식물의 항당뇨 효능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동과의 ethanol 추출물을 계통분획하여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게 14일간 경구투여한 후 조직의 글리코겐 함량, 단백질 함량, 지질함량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장기무게를 체중 100 g당 환산하였을 때 당뇨쥐의 간장, 신장 및 폐의 무게가 정상쥐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췌장의 무게는 $CHCl_3$ 분획물 투여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간장의 글리코겐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모든 당뇨유발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CHCl_3$ 분획물 투여군에서 증가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근육의 글리코겐 함량은 BuOH 분획물 투여군과 water 분획물 투여군에서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간장과 신장의 단백질 함량은 정상군과 모든 당뇨유발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폐의 단백질 함량은 $CHCl_3$ 분획물 투여군을 제외한 모든 당뇨실험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췌장의 단백질 함량은 BuOH 분획물 투여군과 water 분획물 투여군이 당뇨대조군보다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장 콜레스테롤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BuOH 분획물 투여군과 water 분획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간장의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BuOH 분획물 투여군과 water 분획물 투여군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장과 폐의 malondialdehyde (MDA) 힘량은 모든 당뇨유발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신장에서는 BuOH 분획물 투여군과 water 분획물 투여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췌장의 MDA함량은 BuOH 분획물 투여군과 water 분획물 투여군이 정상군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STZ 유발 당뇨 흰쥐에게 동과의 BuOH 분획물과 water 분획물을 투여하였을 때 근육의 글리코겐 함량 증가, 간장의 콜레스테롤 감소 및 췌장의 지질과산화 억제에 효과가 있었으나 간장과 신장의 지질과산화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hibitory Effects of Quinoline Isolated from Ruta chalepensis and Its Structurally Related Derivatives against α-Amylase or α-Glucosidase

  • Park, Jun-Hwan;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5-8
    • /
    • 2015
  • This study was to isolate an active component of the chloroform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Ruta chalepensis leaves and to measure inhibitory effects against ${\alpha}$-glucosidase or ${\alpha}$-amylase. The inhibitory compound of R. chalepensis leaves was isolated using chromatographic methods and identified as quinoline. Quinoline and its structurally related derivatives were tes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by evaluating the $IC_{50}$ values against ${\alpha}$-amylase or ${\alpha}$-glucosidase and were compared with that of acarbose. Based on the $IC_{50}$ values, quinazoline exhibited the greatest inhibitory activity ($20.5{\mu}g/mL$), followed by acarbose ($66.5{\mu}g/mL$), and quinoline ($80.3{\mu}g/mL$) against ${\alpha}$-glucosidase. In case of ${\alpha}$-amylase, quinazoline had potent inhibitory activity, followed by quinoline ($179.5{\mu}g/mL$) and acarbose ($180.6{\mu}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 chalepensis extract, quinoline, and quinazoline could be useful for inhibiting ${\alpha}$-glucosidase or ${\alpha}$-amylase.

위저부 평활근 운동에 대한 국산과 중국산 지실의 효능 (Effects of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Immaturus on the Gastric Fundus Motility)

  • 김태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7-31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nciri Fructus (PF) and Aurantii Fructus Immaturus (AI) on the cicular and longitudinal smooth muscle of rat gastric fundus. Methanol extracts of PF (PFM) and AI (AIM), water-fractions (PFW, AIW) and chloroform-fractions (PFC, AIC) of the extracts induced relaxation in the rat fundic circular muscle pre-contracted by U46619. All extracts showed relaxation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xtracts. In the longitudinal smooth muscle, PFM and its water fraction, PFW, showed multiphasic effects, fast relaxation and rebound contraction followed by lasting relaxation. AIM and AIW showed diphasic effects, transient contraction followed by lasting relaxation. However, PFC and AIC induced only relaxation in the rat fundic longitudinal muscle contracted by U46619. PFM showed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relaxation compared with PFW, AIM and AIW. Hesperidin, flavonoids known as common constituent of PF and AI and it's an aglycon, hesperetin, induced relaxation in both fundic circular and longitudinal smooth muscle pre-contracted by U46619. Poncirin, known as flavonoid content of PF showed also induced relaxation in the both circular and longitudinal smooth muscle pre-contracted by U46619.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PF and AI has relaxing effects on the gastric fundus smooth muscle and its effects might be caused by their flavonoids constituents.

Cytotoxic Activity of Leguminous Seed Extracts against Human Tumor Cell Lines

  • Lee, Hoi-Seon;Lee, Jeong-Ock;Lee, Hee-Kwon;Oh, Jong-Hwan;Ahn, Young-Jo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4호
    • /
    • pp.246-250
    • /
    • 1998
  • The cytotoxic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25 leguminous seeds in vitro was evaluated by sulforhodamine B assay, using the five human solid A549 lung, SK-OV-2 ovarian, SK-MEL-2 melanoma, XF-498 CNS and HCT-15 colon tumor cell lines. The responses varied with both cell line arid leguminous seed used. Extracts of Canavalia lineata and Glycine soja revealed potent cytotoxic activity against A549 arid SK-MEL-2 cell lines. Moderate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extracts of Cassia obtusifolia and Glyeine max var. chungtae, and C. lineata and Vigna angulasis against SK-MEL-2 and HCT-15 cell lines, respectively. The other seed extracts were ineffective against model tumor cell lines. Because of their potent cytotoxic activities, the activity of each solvent fraction from C. lineata and G. soja was determined and the potent activity was produced from their chloroform fractions. As a naturally occurring therapeutic agent, leguminous seeds described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new types of anti-tumor agents.

  • PDF

왕고들빼기의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 (Serum Cholesterol Lowering Effects and Triterpenoids of the Herbs of Lactuca indica)

  • 박희준;이명선;이은;최무영;차배천;정원태;양한석
    • 생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0-46
    • /
    • 1995
  • A methanol extract of the herbs of Lactuca indica L. effective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hen orally administered with diet. On fractionation of the extract, a chloroform-soluble fraction showed the similar effects with the methanol extract. Chromatographic separation afforded a mixture of triterpene alcohols and their acyl derivatives. A mixture of triterpene alcohols were identified as ${\beta}-amyrin$, ${\alpha}-amyrin$, lupeol, pseudotaraxasterol, taraxasterol and germanicol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The acyl moieties in the corresponding acyl mixture were characterized as acetates and palmitates, respectively. And three kinds of sterol such as ${\beta}-sitossterol$, compesterol and stigmasterol were isolated as a mixture st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