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de Migra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9초

고로슬래그미분말 혼합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특성 (Characteristic of Chloride Ion Diffusion in Concrete Containing GGBF)

  • 문한영;김홍삼;김진철;최두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3-796
    • /
    • 2001
  •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permeable pore and penetration depth of chloride ion were investigate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aining GGBF in concrete,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was measured through an electro- migration test.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was decreased with increase of replacement ratios of GGBF when compared to OPC. 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and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were more than 0.9.

  • PDF

미세균열이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에 미치는영향 II: 임계 균열폭의 고찰 (Effect of Micro-Cracks on Chloride Ions Penetration of Concrete II: Examination of Critical Crack Width)

  • 윤인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07-715
    • /
    • 2007
  • 다공질성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는 충분한 다짐과 양생 조건에서 장수명을 갖으며, 유해 물질의 주요 경로는 공극이다. 그러나 균열이 발생한 콘크리트의 경우, 균열은 염소이온과 같은 유해 물질의 우선적인 침투 경로가 된다. 균열이 염소에 미치는 영향은 균열폭과 균열 깊이의 크기에 의존한다. 본 연구는 미세균열이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실험적 연구로서, 연구 목적은 균열폭과 균열 깊이 등의 균열 크기 효과가 염소이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균열을 통한 염소이온의 침투를 시각화 하기 위하여, 급속 염소이온 침투 실험인 RCM (rapid chloride migration) 실험을 수행하였다. 균열폭과 균열 깊이는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평균적인 균열폭을 산정하기 위하여 균열 개구 변위가 측정되었다. 다양한 균열 크기에 따른 염소이온의 침투 깊이 및 염소이온 확산계수의 변화율로부터 염소이온이 침투되지 않는 균열 깊이 및 이에 대응한 균열폭이 도출되었다.

알칼리 활성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염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Alkali-Activated Ternary Blended Cement Concrete)

  • 양완희;황지순;전찬수;이세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1-329
    • /
    • 2016
  •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활용한 3성분계 혼합시멘트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내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4:4:2로 혼합한 3성분계 시멘트에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Modified Alkali Sulfate type)를 1.5~2.0% 사용할 때, NT Build 492에 의한 염화물 확산 시험과 ASTM C 1202( KS F 2271)에 의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슬럼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재령 2일부터 재령 7일까지의 압축강도는 17~42% 향상되었다. 또한 재령 28일에 측정한 염화물 확산 계수는 알칼리 설페이트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36~56% 감소하였으며,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에 따른 총통과전하량은 재령 7일은 33~62%, 재령 28일은 31~48%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알칼리 활성화에 의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공극이 더욱 치밀해진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장기재령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콘크리트의 촉진염소이온 확산 시험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Accelerated Chloride Diffusion Test of Concrete)

  • 이용은;김진철;이찬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427-432
    • /
    • 1999
  • An electrci metho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n concrete is proposed considering the electrical migration term in the Nernst-Plank equation. The experimental set-up for this method is basically that for PD index by Dhir, excluding some change in the experimental parameter values in consideration of reliability, simplicity and rapidity of the accelerated test metho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30mm of specimen thickness, 10 volt of supplied potential, and 5M of chloride ion concentration are optimal

  • PDF

Research on chloride ion diffusivity of concrete subjected to CO2 environment

  • Zhang, Shiping;Zhao, Binghua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0권3호
    • /
    • pp.219-229
    • /
    • 2012
  • Carbonation is a widespread degradation of concrete and may be coupled with more severe degradatio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carbonation on chloride ion diffusion of concrete. The characteristic of concrete after carbonation was measured, such as carbonation depth, strength and pore structure. Results indicated that carbonation depth has a good linear relation with square root of carbonate time, and carbonation can improve compressive strength, but lower flexural strength. Results about pore structure of concrete before and after carbonation have shown that carbonation could cause a redistribution of the pore sizes and increase the proportion of small pores. It also can decrease porosities, most probable pore size and average pore diameters. Chloride ion diffusion of concrete after carbonation was studied through natural diffusion method and steady state migration testing method respectively. It is supposed that the chloride ion concentration of carbonation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ound region because of the separation of fixed salts, and chloride ion diffusion coefficient was increased due to carbonation action evidently.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 (Material Characteristics of High-Strength Concrete Incorporating High Replacement Level of Blast-Furnace Slag)

  • 이회근;정재홍;김한준;이승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91-29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각각 50%와 70%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해 압축강도, 단열온도상승, 자기 수축 및 염소이온확산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슬래그 다량 치환 사용시 수화열 저감 및 염소이온확산계수 감소로 온도균열제어 및 고부식성 환경하 염해 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Fiber and Blast Furnace Slag Concrete Chloride Penetration through Computer Simulation

  • Kim, Dong-Hun;Petia, Staneva;Lim, Nam-Gi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79-386
    • /
    • 2011
  • Durability of concrete is an important issue, and one of the most critical aspects affecting durability is chloride diffusivity. Factors such as water.cement ratio, degree of hydration, volume of the aggregates and their particle size distribu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 The use of polypropylene fibers(particularly very fine and well dispersed micro fibers) or mineral additives has been shown to cause a reduction in concrete's permeabilit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anner in which the inclusion of fiber(in terms of volume and size) and blast furnace slag(BFS) (in terms of volume replacement of cement) influence the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 by applying 3D computer modeling for the composite structure and performing a simulation of the chloride penetration. The modeled parameters, i.e.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 ar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data obtained in a parallel chloride migration test experiment with the same concrete mixtures. A good agreement of the same order is found between multi.scale microstructure model, and through this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 was predicted with results similar to those experimentally measured.

염화비닐 랩 필름의 DOA 분석 및 식품에의 이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alysis of DOA in PVC Wrap Film and its Migration into Foodstuffs)

  • 이근택;경영수;박태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49
    • /
    • 1990
  • DOA의 추출 및 분석조건과 랩 필름으로 포장된 식품의 저장 및 전자렌지로 가열 중 식품으로의 DOA의 이행량을 조사하였다. 추출용매와 방법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DOA는 carbon tetrachloride를 이용하여 약 1시간 이상 reflux시킬 때 가장 우수한 추출률을 나타냈다. 국내 시장에 유통 중인 PVC 랩은 가정용과 영업용의 경우 각각 평균적으로 약 18.9% 및 24.6%의 DOA 함량을 나타냈다. 저장시 DOA의 이행량은 돼지고기 삼겹살의 경우 저장 1일 및 3일째 각각 21% 및 26%로 조사된 식품 중 가장 높은 이행량을 나타냈다. 전자렌로 가열시에 조사된 모든 식품의 경우 랩과 직접 접촉이 안된 상태에서의 DOA 이행량은 약 5.5% 범위내로 미미하였으나 돼지고기 삼겹살의 경우 직접 접촉된 상태로 가열하였을 때는 약 49%의 DOA가 이행되었다.

  • PDF

콘크리트중의 염소이온 확산계수 추정 실험법의 비교 (Comparision of Test Methods for Estimating Chloride Ion Diffusion Coefficient in Concrete)

  • 문한영;김홍삼;문재흠;한아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87-790
    • /
    • 1999
  • To estimate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located in or nearby seawater, many different kinds of accelerated tests for evaluation of chloride ion permeation in concrete were proposed. At present the only standardized test is the ASTM C 1202(RCP test). This test method is used to estimate the concrete's resistivity of the chloride penetration in concrete by using the total charges passed and sometimes used to calculate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However, this test may lead to an erroneous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So this test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modified Dhir's test and the traditional concentration diffusion test.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diffusion coefficients determined the RCP test and the PD Index gave wrongous values, but the diffusion coefficient acquired by considering a migration term was nearly the same to the CD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