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 a

검색결과 827건 처리시간 0.039초

카드뮴 독성 평가를 위한 은행이끼의 엽록소형광 분석 및 환경지표 선발 (Chl a Fluorescence Characterization and Biomarker Selection from Ricciocarpos natans under Cadmium Stress)

  • 오순자;고석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03-1413
    • /
    • 2013
  • The effects of cadmium ions ($Cd^{2+}$) on the Chl a fluorescence of Ricciocarpos natan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Chl fluorescence can be used as a biomarker to estim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plants to cadmium stress. In all plants treated with $Cd^{2+}$, the image of Fv/Fm, which represents the maximum photochemical efficiency of PSII, changed as the $Cd^{2+}$ concentration increased, when treated for 48 h or more. Changes of ${\Phi}_{PSII}$ and $Q_P$ images were recognized even at 10 ${\mu}M$ $Cd^{2+}$. The Chl a O-J-I-P fluorescence transient was also affected even at 10 ${\mu}M$ $Cd^{2+}$. The fluorescence yield decreased considerably in steps J, I and P in plants treated with $Cd^{2+}$, although a typical polyphasic rise was observed in non-treated plants. The Chl fluorescence parameters, Fm, Fv/Fo, Sm, SFIabs, PIabs and ETo/CS, decreased as the $Cd^{2+}$ concentration increased, while the Mo and Kn parameters increased. Peroxidase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and catalase activity increased as the $Cd^{2+}$ concentration increased. Because of its sensitivity to $Cd^{2+}$ Ricciocarpos natans is useful in experiments investigating the responses of plants to cadmium exposure. Several parameters (Fm, Fv/Fo, Sm, SFIabs, PIabs, ETo/CS, Mo and Kn) can be applied to determine quantitatively the physiological states of plants under cadmium stress.

Effects of Sulfite on Chl Fluorescence in Barley(Hordeum vulgare L.) Seedlings in Light and Dark

  • Sook, Chung-Hwa;Park, Kang-Eun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3권1호
    • /
    • pp.11-21
    • /
    • 1999
  • The effect of sulfite on barley seedlings was investigated through Chl content, the electron transport activity of the photosystem, and Chl fluorescence. Barley leaves were harvested every 12 hrs during greening periods, and were then treated with a sulfite solution in either light or dark conditions. In both cases, the Chl content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any greening period. After sulfite treatment in the light, the activity of PS I decreased slightly, yet that of PSII showed a decrease of about 15%. The values of Fv, qP and qE decreased, however, the value of ql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addition, the value of qE decreased in leaves greened more than 12 hr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This indicates that the photosynthetic complex involved in energy dependent fluorescence quenching is undeveloped in a 12 hrs greened leaf, accordingly, it was a hardly affected by sulfite. After sulfite treatment in the dark, the activities of PSII and PSI decreased slightly, there was a small change in the value of Fv, qP decreased, and qE and the ratio of qNP/q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s a result, PSII and PSI were not inhibited, however, the redox of QA was inhibited, and the excited energy was lost through the nonphotochemical pathway. The effects of sulfite in light or dark conditions were not considerably different with the Chl fluorescence quenching analysis method. In both light and dark conditions, the value of qP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sulfite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This implies that the redox of QA was inhibited by sulfite in both light and dark contions.

  • PDF

낙동강 본류 4개보에서 부유물질 침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ttling of Suspended Material in 4 weirs of the Nakdong River)

  • 이재순;한규성;권보민;최광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8-488
    • /
    • 2018
  • 본 연구는 보 구간에서 조류와 조류 발생원인 물질의 거동해석 및 조류예측모델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유물질의 침강량과 침강속도를 조사하였다. 낙동강 수계 4개보(달성보, 강정고령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를 대상으로 2017년 6월, 7월, 11월, 12월에 조사하였으며, Sediment trap을 이용하여 포집한 침강물질에 대해 seston, POC, PON, POP, Chl-a, Pheo-a의 침강량, 침강속도 및 물질의 함량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낙동강수계 4개보 지점에서 seston, POC, PON, POP, Chl-a, Pheo-a 의 침강량은 각각 $322.7{\sim}58,011.5mg/m^2/day$, $33.8{\sim}1,127.2mg/m^2/day$, $4.2{\sim}150.6mg/m^2/day$, $0.667{\sim}10.634mg/m^2/day$, $0.3{\sim}18.7mg/m^2/day$, $0.3{\sim}14.7mg/m^2/day$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seston, POC, PN, PP, Chl-a의 침강속도는 각각 0.02~1.46m/day, 0.02~1.36m/day, 0.03~3.18m/day, 0.01~1.18m/day, 0.02~0.60 m/day의 범위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4개보 지점의 평균 침강속도는 seston 0.94m/day, POC 0.44m/day, PON 0.52m/day, POP 0.21m/day, Chl-a 0.22m/day로 보 건설 전인 2004년도 낙동강 본류 지점에서의 침강속도(seston 14.54 m/day, POC 18.32m/day, PON 1.64m/day, POP 5.96m/day, Chl-a 0.29m/day)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을 나타내는 Pheo-a의 농도와 살아있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의 지표 Chl-a의 농도 비교결과 죽거나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평균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4개 보 지점의 Sediment trap 포집된 침강물 내 C:N비는 2.0~7.4 범위로, N;P비는 14.2~52.5 범위로, C/Chl-a비는 14.4~253.3의 범위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조류의 C/Chl-a 비가 40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조사된 보 지점에서의 침강물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기물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의 침강속도는 조류의 종을 구분하지 않은 총 조류에 대한 것으로, 향후 보 구간에서 종 조성을 고려한 조류예측 모델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류 종별에 대한 침강속도에 대한 연구할 필요가 있다.

  • PDF

The Divergent Roles of STAYGREEN (SGR) Homologs in Chlorophyll Degradation

  • Sakuraba, Yasuhito;Park, So-Yon;Paek, Nam-Ch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5호
    • /
    • pp.390-395
    • /
    • 2015
  • Degradation of chlorophyll (Chl) by Chl catabolic enzymes (CCEs) causes the loss of green color that typically occurs during senescence of leaves. In addition to CCEs, STAYGREEN1 (SGR1) functions as a key regulator of Chl degradation. Although sgr1 mutants in many plant species exhibit a staygreen phenotype, the biochemical function of the SGR1 protein remains elusive. Many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the physiological and molecular roles of SGR1 and its homologs (SGR2 and SGR-LIKE) in Chl metabolism, finding that these proteins have different roles in different specie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recent studies on SGR and discuss the most likely functions of SGR homologs.

낙동강유역 불투과형 사방댐의 계류수 및 저류수 수질 특성 분석 (Water Quality Analysis of In-stream and Reservoir Water in Erosion Control Dams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유송;이은재;이예은;김민식;임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329-340
    • /
    • 2019
  • 불투과형 사방댐에 의한 수질오염 문제는 산림유역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낙동강유역 사방댐을 대상으로 계류수와 저류수의 수질을 조사하였으며, 수질 특성과 유역의 물리적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43개의 조사대상 사방댐 중에서 농업용수 등급이하로 판정된 곳은 10%미만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수질은 양호하였다. 계류수 및 저류수에서 공통적으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항목은 TOC와 산소요구량, SS와 탁도, SS와 Chl-a, Chl-a와 탁도 등이었다. 계류수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인 항목들은 BOD와 SS, BOD와 Chl-a, BOD와 탁도, TOC와 Chl-a 등이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사방댐 저류수의 수질이 대부분 양호하였고 저류수 수질이 유출수 수질에 다소 영향이 있지만 개별 수질항목에 국한된다는 것이다.

수류확산과 초음파와 오존을 이용한 현장 수질 개선 평가 (Field Study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Circulation, Sonication and Ozonation)

  • 테킬안디넷;김일호;이재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0-1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수원 여천천에서 원천저수지로의 유입부 정체수역에 수류확산장치, 초음파와 오존 처리를 구성한 시스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항목 단위로 조사하였다. 샘플링은 기기 운전 전과 이후 1, 3, 6 시간에 여섯 지점에서 수집되었다. 수류확산장치만을 작동하였을 때, 용존산소는 80%까지 감소하였고, Chl-a는 하류 25m에서 3시간 후 90%까지 감소했다. 초음파를 병행한 경우에는 장치로부터 100 m 거리까지 Chl-a가 80% 이상 제거되었다. 한편 총 용존 인은 초음파 처리 전 $420({\pm}70){\mu}g/L$에서 처리 후 $160({\pm}40){\mu}g/L$까지 감소되었다. 수류확산장치와 초음파에 오존을 처리한 결과, Chl-a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60{\mu}g/L$에서 $20{\mu}g/L$으로 감소하였다. 오존의 경우 안전을 위해 $3{\times}10^{-3}mg/L$ 및 짧은 반응 시간으로 적용하였으나 시스템에 의한 장치 구성이 오존을 비롯한 처리를 통합하는 효과를 낼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수류확산장치와 초음파 가 보여준 Chl-a의 탁월한 처리 성능은 녹조 형성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새로운 오메프라졸 복합체 개발 (Development of New Omeprazole-lon Exchange Resin Complex)

  • 이계주;이기명;김은영;이창현;황성주
    • 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0-264
    • /
    • 1994
  • Omeprazole(OMZ)-cholestyramine(CHL) and various OMZ-Dowex resin complexes were prepared by reaction between OMZ and activated resins in 0.1N NaOH solution.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were tested by means of infrared(IR), differential scaning caloimeter(DSC), X-ray diffraction. Chemical stability of OMZ-CHL was increased markedly compared with OMZ and the decomposition of OMZ-CHL followed the pseudo first-order kinetics and the rate constants were $2.743{\times}10^{-4}/day$ at $20^{\circ}C$, $7.83{\times}10^{-3}day^{-1}$ under 80% RH and $1.68{\times}10^{-2}day^{-1}$ under UV radia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rate constants of OMZ were $2.996{\times}10^{-4}day^{-1}$ at $20^{\circ}C$, $1.17{\times}10^{-2}day^{-1}$ under 85% RH, and $4.07{\times}10^{-2}day^{-1}$ under UV radiation, respectively. The rates of dissolution of OMZ-CHL bulk and OMZ-CHL tablet were 100% and more than 85% in 15 minutes, respectively, which were increased than OMZ base and OMZ-tablet. In the acute toxicological test, the value of oral $LD_{50}$(mouse) was 4.608 g/kg. OMZ-CHL was pelletized using lactose, polyethyle neglycol(PEG), D-sorbitol, Avicel PH 101, sodium laurylsulfate and polyvinylpyrrolidone(PVP) K-30, and enteric coated with HPMCP, Myvacet, acetone, ethanol and cetanol, of which dissolution rate was found to be more than 85% in 10 minute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OMZ-CHL is a useful means for development of new oral dosage forms of OMZ.

  • PDF

상류댐 건설에 따른 대청호 부영양화에 대한 기능 변화 (Functional Modifications of Daechung Reservoir Eutrophication by Upper Dam Construction)

  • 이순철;한정호;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1권3호
    • /
    • pp.348-3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에 위치한 용담댐의 건설에 따른 대청호의 수문학적 영향 및 이화학적, 생태학적 기능변화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고, 영양염류(TN, TP), 엽록소-a 및 투명도의 부양양화 변수의 시공간적(계절별, 연별, 상하류 간) 역동성을 분석하였다. 용담댐 건설 이전(BDC; 1995$\sim$2000년)과 이후(ADC; 2001$\sim$2006년)의 수문학적 자료를 통해 대청호의 유입량과 저수량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대청호의 BDC에는 강수량과 유입량의 높은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나, ADC에는 보다 낮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BDC; r=0.964, p=0.002, ADC; r=0.857, p=0.029). 이는 용담댐의 건설이 대청호의 유입량과 저수위 등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용담댐 건설로 인하여 가장 큰 변화는 상류로부터의 유입량 감소에 따른 대청호의 TN 및 TP 농도는 전 지점에서 감소하였으나 호수 내 수체류 시간의 증가로 CHL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DC의 CHL과 TP의 상관관계는 ADC 이후에 증가하는 양상으로 분석되었는데(BDC; r=0.249, p=0.000, ADC; r=0.412, p=0.000), 이는 상대적으로 감소한 TP의 양에 대해 높은 반응성을 가지게 된 것으로 사료된다. CHL : TP ratio의 변화는 ADC에 오면서 증가하는 것을 보여 CHL과 TP의 관계가 댐건설 이후에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호수 내의 공간적 변이를 볼 때 유수대(Riverine zone, RZ)에서의 수질 변수 변화폭은 전이대(Transition zone, TZ)나 정수대(Lacustrine zone, LZ)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공호의 상류부에 위치하며, 빠른 유속, 짧은 체류시간, 많은 영양염류 유입의 특성을 보이는 호수의 유수대(RZ)에서 영양염류, 광조건 및 CHL-TP의 함수관계에 대한 기능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Modifications of nutrient regime, chlorophyll-a, and trophic state relations in Daechung Reservoir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upper dam

  • Ingole, Neha P.;An, Kwang-G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1호
    • /
    • pp.24-33
    • /
    • 2016
  • Background: Previous numerous studies on watershed scale demonstrated that the constructions of upper dams may influence the below dams due to modifications of flow regime and nutrient inputs.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dam constructions influence the downstream lakes or reservoirs in the regional scale.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 construction of upper dam (i.e., Yongdam Dam) influences nutrient regime, trophic relations, and empirical models in Daechung Reservoir (DR). Yongdam Dam was constructed at the upstream region of DR in year 2000. Results: The analysis of hydrological variables showed that inflow and discharge in the DR were largely reduced after the year 2000. The construction of upper dam construction also resulted in increases of water temperature, pH and conductivity (as an indicator of ionic content) in the DR. Empirical models of TP-CHL and N:P ratio-CHL suggested that stronger responses of CHL to the phosphorus were evident after the upper dam construction, indicating that algal production at a unit phosphorus increased after the upper dam construction. Mann-Kendall tests on the relations of N:P ratios to TN showed weak or no relations ($t_{au}=-0.143$, z = -0.371, p = 0.7105) before the dam construction, while the relation of N:P ratios to TP showed strong in the periods of before- ($t_{au}=-0714$, z = -2.351, p = 0.0187) and after the construction ($t_{au}=-0.868$, z = -4.270, p = 0.0000). This outcome indicates that TP is key determinant on N:P ratios in the reservoir. Scatter Plots on Trophic State Index Deviations (TSIDs) of "TSI(SD) - TSI(CHL)" against "TSI(TP) - TSI(CHL)" showed that the dominance of clay turbidity or light limitation was evident before the upper dam construction [TSI(TP) - TSI(CHL) > 0 and TSI(SD) - TSI(CHL) > 0] and phosphorus limitation became stronger after the dam construction [(TSI(TP) - TSI(CHL) < 0 and TSI(SD) - TSI(CHL) > 0]. Conclusions: Overall,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upper dam construction modified the response of trophic components (phytoplankton) to the nutrients or nutrient ratios through the alteration of flow regime, resulting in modifications of ecological functions and trophic relations in the low trophic levels.

양상추 유묘의 생육, 항산화물질 및 무기이온의 함량에 미치는 NaCl 스트레스의 영향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Antioxidant Materials, and Inorganic Ion Content in Head Lettuce Seedlings)

  • 김주성;현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33-440
    • /
    • 2011
  • 본 실험은 수경재배 방식으로 본엽 2매까지 키운 양상추를 이용하여 NaCl 스트레스(0, 50 및 100mM NaCl)에 의한 생체중과 건물중, 항산화 물질 및 무기이온 함량 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양상추 유묘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NaCl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50mM NaCl 처리시 가장 높았다. Chl a, total Chl 함량과 Chl a/b는 100mM NaCI 처리 후 6일째 증가하였으나, Chl b 함량은 감소하였다. 100mM NaCl 처리 후, 총글루타치온 함량은 양상추 유묘의 뿌리에서 증가하였으나, 총아스코르빈산은 뿌리와 줄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또한, NaCl 스트레스에 의한 spermidine 감소 현상과 spermine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뿌리 및 줄기에서 $N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K^+$, $Ca^{2+}$$Mg^{2+}$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K^+/Na^+$, $Ca^{2+}/Na^+$$Mg^{2+}/Na^+$ ratio 역시 감소하였다. 종합해보면, 이들 결과는 양상추 유묘에서 NaCl 처리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되고, 그 결과 산화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한 대사과정의 변화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