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tin-binding protein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키토산 및 키틴 막에 의한 단백질의 친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2. BSA 및 Lysozyme의 분리 (Affinity Filtration Chromatography of Proteins by Chitosan and Chitin Membranes: 2. Separation of BSA and Lysozyme)

  • 염경호;육영재
    • 멤브레인
    • /
    • 제19권2호
    • /
    • pp.113-121
    • /
    • 2009
  • 실리카 입자를 기공 형성제로 사용하여 물리적 강도와 단백질 결합용량이 높은 다공성 키토산 및 키틴 친화 막을 제조하였다. 키토산 친화 막의 BSA 단백질 결합용량은 최대 21.8mg/mL이었으며, 키틴 친화 막의 lysozyme 효소 결합용량은 최대 26.1mg/mL이었다. 제조된 다공성 키토산 및 키틴 친화 막을 사용하여 단백질 용액의 loading 유량, loading 양 및 농도 변화에 따른 BSA와 lysozyme의 친화 막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친화 막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실험을 통해 얻어진 loading/washing/elution의 단계로 구성된 일련의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단백질 용출량과 결합수율을 구하였다. 키토산 및 키틴 친화 막에의 BSA 및 lysozyme 단백질의 결합량과 결합수율은 loading용액의 유량이 작을수록, 주입량 및 농도가 클수록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실리카 입자를 기공 형성제로 사용하여 제조된 다공성 키토산 및 키틴 막은 단백질의 대규모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위한 친화 막으로서 효과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Shotgun analysis on the peritrophic membran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Zhong, Xiaowu;Zhang, Liping;Zou, Yong;Yi, Qiying;Zhao, Ping;Xia, Qingyou;Xiang, Zhonghuai
    • BMB Reports
    • /
    • 제45권11호
    • /
    • pp.665-670
    • /
    • 2012
  • The insect midgut epithelium is generally lined with a unique chitin and protein structure, the peritrophic membrane (PM), which facilitates food digestion and protects the gut epithelium. We used gel electrophoresis and mass spectrometry to identify the extracted proteins from the silkworm PM to obt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biological function of the silkworm PM components. A total of 305 proteins, with molecular weights ranging from 8.02 kDa to 788.52 kDa and the isoelectric points ranging from 3.39 to 12.91,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We also found several major classes of PM proteins, i.e. PM chitin-binding protein, invertebrate intestinal mucin, and chitin deacetylase. The protein profile provides a basis for further study of the physiological events in the PM of Bombyx mori.

키토산 및 키틴 막에 의한 단백질의 친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1. 다공성 친화 막의 제조와 특성 평가 (Affinity Filtration Chromatography of Proteins by Chitosan and Chitin Membranes: 1.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Affinity Membranes)

  • 염경호;육영재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39-50
    • /
    • 2006
  • 실리카 입자를 기공 형성제로 사용하여 다공성 키토산 및 키틴 막을 제조하였다. 다공성 막의 제조는 다음의 3단계 절차로서 수행되었다: (1) 키토산 용액에 실리카 입자를 첨가시켜 필름을 형성시킨 후, (2) 이 필름을 알카리 용액에 침지시켜 실리카 입자를 제거하여 다공성의 키토산 막을 제조하였으며, (3) 다공성 키토산 막을 acetic anhydride를 사용하여 아세틸화시킴으로서 다공성 키틴 막을 제조하였다. 물리적 강도가 우수하고, 적절한 순수 투과량을 갖는 다공성 키토산 막과 키틴 막의 최적 제막조건이 제시되었다. 단백질 친화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공성 키토산 막에 반응성 염료인 Cibacron Blue 3GA를 고정화시켰으며, BSA 단백질 및 lysozyme 효소의 흡착실험을 수행하여 친화 키토산 막 및 키틴 막의 단백질 결합용량을 측정하였다. 친화 키토산 막의 BSA 단백질 결합용량은 약 22 mg/mL이었으며, 친화 키틴 막의 lysozyme 효소 결합용량은 약 26 mg/mL로서 이는 키토산 또는 키틴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된 hydrogel bead의 단백질 결합용량보다 수${\sim}$수십 배 큰 값으로서, 향후 막여과 크로마토그래피용 친화 막으로의 효과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Biocontrol of Orchid-pathogenic Mold, Phytophthora palmivora, by Antifungal Proteins from Pseudomonas aeruginosa RS1

  • Sowanpreecha, Rapeewan;Rerngsamran, Panan
    • Mycobiology
    • /
    • 제46권2호
    • /
    • pp.129-137
    • /
    • 2018
  • Black rot disease in orchids is caused by the water mold Phytophthora palmivora. To gain better biocontrol performance, several factors affecting growth and antifungal substance production by Pseudomonas aeruginosa RS1 were verified. These factors include type and pH of media, temperature, and time for antifungal prod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conditions for P. aeruginosa RS1 to produce the active compounds was cultivating the bacteria in Luria-Bertani medium at pH 7.0 for 21 h at $37^{\circ}C$. The culture filtrate was subjected to stepwise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The precipitated proteins from the 40% to 80% fraction showed antifungal activity and were further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The eluted proteins from fractions 9-10 and 33-34 had the highest antifungal activity at about 75% and 82% inhibition, respectively. SDS-PAGE revealed that the 9-10 fraction contained mixed proteins with molecular weights of 54 kDa, 32 kDa, and 20 kDa, while the 33-34 fraction contained mixed proteins with molecular weights of 40 kDa, 32 kDa, and 29 kDa. Each band of the proteins was analyzed by LC/MS to identify the protein. The result from Spectrum Modeler indicated that these proteins were closed similarly to three groups of the following proteins; catalase, chitin binding protein, and protease. Morphological study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demonstrated that the partially purified proteins from P. aeruginosa RS1 caused abnormal growth and hypha elongation in P. palmivora. The bacteria and/or these proteins may be useful for controlling black rot disease caused by P. palmivora in orchid orchards.

방울토마토 열매 locular fluid lectin의 항균성과 생화학적 특성 (Antifungal Activity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Isolated from Locular Fluid of Cherry Tomato Fruit)

  • 노광수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89-296
    • /
    • 2010
  • e-Lectin은 당 결합 단백질과 세포 응집 단백질로서, 식물방어의 역할도 하는데 방울토마토 열매의 locular fluid에는 곰팡이로부터 식물의 보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chitin 결합 lectin이 들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의 locular fluid로부터 최종적으로 Sephadex G-200을 통과시켜 lectin을 분리한 다음, 이의 항균성과 분자량, 적혈구 응집력, 혈액특이성, 최적 온도, 열 안정성 및 최적 pH 등의 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식물성 병원균인 4개의 균주 중 Cladosporium cucumerinum과 Monosporascus cannonballus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Fusarium oxysporum과 Rhizoctonia solani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DS-PAGE의 결과, 2개의 band로 나타났으며, 이의 분자량을 표준 단백질을 이용 측정하여 87 kDa와 47 kDa로 계산되었다. 사람의 A, B, O, AB형의 혈액을 사용하여 각각의 혈구응집반응을 확인한 결과, A, B, O, AB형 모두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났으며, 이 중 B형 혈액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방울토마토 locular fluid lectin의 최적 반응 온도는 $30^{\circ}C$이며, 가장 높은 $30^{\circ}C$를 포함하는 $20-80^{\circ}C$ 범위에서 열 안정성을 보였고, 최적 pH는 7.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