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Korean Cultural Map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아시아전자문화지도의 첫걸음, 조선족문화지도 (Chinese-Korean Cultural Map, the First Step to Asian Electronic Cultural Map)

  • 김동훈;문현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81
    • /
    • 2008
  • 조선족문화지도는 아시아전자문화지도 구현을 위한 첫 단계로 기획된 프로토타입 전자문화지도이다. 조선족은 조선어와 한어를 함께 사용하며 한민족 고유의 유 무형 전통문화와 중국의 문화를 융합된 형태로 지닌 소수민족 특유의 문화특징을 보여주며, 이러한 소수민족적 특징은 다민족적이고 다문화적인 아시아 문화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족 문화지도 설계를 위해 관련 자료의 수집 분류, 키워드추출, 유사항목 분류, 문화지도요소 추출, 전자문화지도 기술요소 추출 및 프로토타입 설계, 전자문화지도의 구현 등 아시아전자문화지도 전체에 적용될 설계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라이프스타일의 비교를 통한 한중 전통가구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Furniture based on the Life Style)

  • 하재경;홍승대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5-11
    • /
    • 2006
  • Korea and China have had close relations not only geographically but also ideally and culturally throughout history. Regarding their lifestyles on housing patterns, however, Koreans had a sedentary way of life, usually sitting on the floor while Chinese had a standing lifestyle, sitting on a chair. This paper tries to have a comparative analysis on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of two countries' traditional furniture that had complied with each lifestyle. This paper also aim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of the form and function of the traditional furniture of the two countries and then to put results of this paper in design and plan of modern furniture and housing in our times.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ven if, cultural and historical relationships of two countries, there is a different of traditional furniture's forms and types. The major differences are as following : Korean furniture is predominantly on the floor level with storing furniture while Chinese one is intermixed with seat-level and floor level styles. These characters seem to be derived from their own housing and life style. In Ming and Qing period China, Their developed in which intermediate people and building. But, in Korea their housing style had floating floor against wet earth, which finished woods, Ondol. Because of these finishing, the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was developed into a good form and a suitable dimension for moving. These differences in furnishing style seemed to well reflect building and housing style of each country. And Image map and positioning map can show the differences in a whole aspect.

  • PDF

고지도(古地圖) 경조(京兆) 사대문(四大門)밖 지역 한자 이체자(異體字)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variant form of the Chinese character in the five sorts of old maps drawing outside of the four main gates of old Seoul including DeDongYei-jido)

  • 이경원
    • 비교문화연구
    • /
    • 제21권
    • /
    • pp.213-254
    • /
    • 2010
  •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variant form of the Chinese character in the five sorts of old maps drawing outside of the main gates of old map including DeDongYei-jido. The main task of this thesis can be classified under three heads - (1) introducing the literature of comparative study in the five sorts of old maps including DeDongYei-jido (2) classification of variant form in the five sorts of old maps (3) characteristic of variant form in the five sorts of old maps. In this thesis, aspect of variant form is classified under six head - (1) variation of the whole shape of the character (2) taking place the variation in both sides of Chinese character (3) taking place the variation in part (4) taking place variation in the strokes of the Chinese character (5) misusing different characters (6) changing different characters. This thesis explains some characteristic of variant form - (1) simplification of the shape of characters (2) using the Hou-qi-zi(後起字, Chinese character which is actually the same but made the next) (3) replacing the overlapped both sides of Chinese character with omit mark (4) a wrongly written character (5) discovering the variant form such as variant form of 廣, 广 variant form of 廛, variant form of 院 which was not recorded in Chinese literature. From now on, there should be some collections of variant form of Korean style and study. we are going to have to standardize aspect of variation and rule of variant form in old maps until we have to make some ways to recognize the block letter.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한 지식정보서비스 연구 -조선족문화지도 중심으로- (A Study on Knowledge.Information Service with Electronic Culture Maps)

  • 김동훈;김상헌;문현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316-1320
    • /
    • 2009
  •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양은 더 이상 지식으로 활용되기 보다는 정보의 스팸으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누가 정보를 많이 소유 하였는가 보다는 양질의 정보를 통해 지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중요해진 시대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한 지식정보제공은 데이터의 가시화, 직접(수집), 통합단계의 형태로만 제공하고 있다. 단순히 전자문화지도는 문화자원을 담는 DB의 역할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한 지식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편집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지식정보서비스 활용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조선족문화지도를 중심으로 전자문화 지도의 특징과 기능을 살펴보고, 문화자원의 데이터, 정보, 지식의 개념 정의를 살펴본다. 두 번째는 지식정보서비스 를 위한 길잡이 콘텐츠, 사용자 경험디자인, 사용자 맥락, 유기적 정보 디자인 등 다양한 요소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지식정보설계과정을 조선족문화자원 중심으로 지식정보 서비스를 설계한다.

  • PDF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과 소수민족지구(少數民族地區)의 정치지도(政治地圖) : 내몽고자치구와 어룬춘자치기의 사례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Political Map of the Minority Nationality Region : A Case Study on the Inner Mongolia Autonomous District and the Oroqen Autonomous Banner)

  • 이강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9
    • /
    • 2002
  • 문화대혁명은 현대 중국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정치운동이다. 그간 문화대혁명에 대한 연구는 정치적 음모 내지는 노선투쟁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이 지닌 정치지리학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았다. 이 글은 적어도 소수민족지구에서 진행된 문화대혁명에 대한 연구는 정치지리학적인 견지에서 보다 실체에 접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내몽고자치구와 어룬춘자치기에서의 문화대혁명의 전개과정을 살펴본 결과 중국 지도부에게 변강 혹은 민족자치지방은 '지역' 내지 '공간'으로서 중요한 것이지, '민족'이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문화대혁명 기간 중 혁명지도부는 '민족'을 이용하여 '공간'을 조작하거나, '공간'을 이용하여 '민족'을 조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민족자치구역에서 문화대혁명은 '민족'을 '계급'으로 해체하고, '자치구역'이라는 '공간'을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지방'으로 분해시키면서, '인민'과 국토'로 통합시키는 과정의 일부였다고 할 수 있다.

  • PDF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복원정비를 위한 원형 경관 고찰 (A Study on the Original Landscape for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Buyongjeong and Juhamnu Areas in Changdeokgung Palace)

  • 오준영;양기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37
    • /
    • 2021
  • 본 연구는 대한제국과 그 전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원형 경관을 새롭게 조명하고, 향후 복원정비에 유용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부용지 인공섬의 석축은 본래 정연하게 가공된 석재를 활용해 바른층쌓기로 조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1960~1970년대의 정비공사 과정에서 부용지 인공섬은 자연석과 가공석이 혼합된 형태로 변형되었다. 부용지 인공섬의 상부에 설치된 난간은 유사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시설로 대한제국기에도 실존했지만, 일제강점기에 완전히 멸실되었다. 둘째, 오늘날 어수문 좌우에 남아 있는 취병은 2008년 조릿대를 기반으로 재현된 결과물이다. 어수문 취병의 식물 소재를 주목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수종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관련 자료와 정황을 다각적으로 고려하면 적어도 근대기의 어수문 취병은 동관왕묘와 경복궁 건청궁처럼 '향나무'로 제작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주합루 후원은 석계 형태의 구조물 위에 수목이 밀생하지 않은 공간이었다. 주합루 후원의 석계는 비교적 개방된 형태로 관리되면서 주변 건축물을 왕래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기능하였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에 대규모 식재공사가 이루어지면서 주합루 후원은 화계와 같은 형태로 정비되었고, 다수의 화관목이 식재되어 폐쇄적인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넷째, 규장각과 개유와처럼 서고(書庫) 기능을 가졌던 영화당 남행각은 1900년대 후반 무렵에 멸실되어 본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건축물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기 사진과 스케치 자료를 토대로 영화당 남행각의 배치축을 확증하고, 형태와 의장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초자료 구축 차원에서 「동궐도」와 「동궐도형」을 참고한 추정복원도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