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o suppressali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바이오에너지작물 거대억새 가해 해충 이화명나방 유충 월동양상 (Overwintering pattern of larvae of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the bioenergy crop Miscanthus sacchariflorus cv. Geodae 1)

  • 안기홍;양정우;장윤희;엄경란;김석;차영록;윤영미;문윤호;안종웅;유경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69-374
    • /
    • 2014
  • 본 연구는 바이오에너지 원료생산을 위해 대규모로 억새를 재배할 시에 억새의 생육 및 수량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유해요인을 사전에 대비하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전남 무안의 억새 재배지에서 2012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이화명나방 유충의 월동양상 및 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월별로 유충의 출현 위치, 가해 피해양상을 조사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섬유질계 바이오에너지 작물인 거대억새에 기주하는 이화명나방 유충밀도를 2화기 이후인 2012년 10월에서 2013년 3월까지 조사한 결과, 월평균 기온이 내려갈수록 유충의 출현위치가 점차 지상부의 아래부위 또는 줄기기부로 이동하는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월평균 기온이 $10^{\circ}C$이하로 내려가는 11월 및 12월경에는 지하경(뿌리) 부위에서 가장 많은 이화명나방 유충 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억새밭에서 이화명나방 피해는 줄기 침입구멍 존재여부와 부러진 줄기로 판단하였는데 전체 줄기 중 구멍이 뚫린 줄기 비율이 28.6%이었으며, 부러진 줄기수는 전체의 12.4%이었으나 심한 곳은 구멍뚫린 줄기비율이 46.8%, 부러진 줄기비율도 36.9%로 나타났다. 억새밭에 기생하는 이화명나방 유충의 경우, 지하 5cm 이하의 줄기기부 심지어는 뿌리내부에서 월동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해 일반적인 방제방법으로는 이화명 나방 유충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지속적으로 억새밭 이화명나방 방제방법의 개발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화명나방의 발생양상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i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Korea)

  • 이승찬;박해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49-257
    • /
    • 1991
  • 우리나라 33개 예찰소를 대상으로 1968년부터 1989년까지 지역별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 및 발생량의 변동과 이앙시기에 따른 성충과 유충발생 및 피해와의 관계,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의 우화율 등의 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관느다음과 같다.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 변동을 보면 1968~1972년에 비하여 1985~1989년에는 1화기 발생이 30일 가량 앞당겨진 지역이 광주이고, 20~25일이 상주, 나주이며, 10~15일이 울진, 지누, 고양, 밀양, 김제, 고창등 11개지역이고, 5일정도 앞당겨진 지역은 수원, 진천, 대전, 남원, 해남등 10개지역이며, 지금까지 발생시기 변동이 별로 엇는 지역은 원성, 충주, 서산, 영주, 논산 등지이다. 또한 2화기의 발생이 20일 가량 앞당겨진 지역이 울진이고, 15일이 충주, 영덕, 함천이며, 영주를 제외하고는 그 밖의 대부분지역이 5~10일 정도 더 빨리 발생하였다. 전국 이화명나방 발생량 변동을 보면 1969~1972에 비하여 195~1989년에는 1화기 발생량이 전국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화기에는 중부, 서남부일부 지역에서, 특히 광주, 나주, 대구 등지가 3배이상, 진주, 밀양, 공주 등지는 2배 가량 증가하고, 상주, 청주, 김제 등 8개 지역에서 모두 증가한 반면, 보은, 서산, 논산, 해남 등 19개지역은 감소하였다. 이앙시기를 달리한 포장에서는 유충 발생밀도를 보면 1화기는 이앙이 빠른 포장일수록 발생이 빨고 발생량도 많으며, 2화기의 유충은 중기이앙답(5월 30일)에서 유충발생이 빠르고 peak도 빨리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5월 15일, 6월 15일, 4월 30일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성충발생 peak보다 유충발생 peak는 1화기에는 15일, 2화기에는 10일 정도 후에 나타났다. 이앙시기별 이화명나방의 발생피해는 1화기에는 조기 이앙할수록 피해가 더 심하지만, 2화기에는 증기이앙시(5월 30일)에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이앙시기별 월동전 평균 유충체중은 조기이앙답이 65.6 mg, 중기 이앙답이 61.2 mg, 후기이앙답이 55.5 mg의 순으로 낮았다. Field cage내에서는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의 우화율은 평균 28.3%~39.8%로 매우 낮은 편으로 빨리한 이앙답일수록 월동유충의 체중이 무거웠고 제중이 무거울수록 우화율이 높은 편이었다.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에서 우화시기까지의 기간은 조기이앙답이 44일, 중기이앙답이 47일, 후기 이앙답이 51일간으로 늦게 이앙할수록 기간이 더 긴 경향이었다.

  • PDF

이화명충의 인공사육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rtificial Rearing of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 정규회;유준;김용래;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9-32
    • /
    • 1973
  • 이화명충의 인공사육을 위해 간이합성배지, 반합성배지, 합성배지 및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실험과 각 배지별 사육단가 산출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합성배지에 의한 인공사육 결과 노숙유충의 체중 96.4mg, 자충우화율 $96.7\%$로서 타배지에 비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이 배지는 성충까지의 사육비용이 3.14원으로 대량 사육시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2). 합성배지 및 반합성배지의 제 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타 배지에 비해 높은 것은 Choline Chloride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3)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방법은 재료 구입이 용이 하고 가격이 저렴한 반면에 유충생육의 불균일 및 유묘 교환시 공시충의 손실과 노력이 많이 들어 대량사육을 위해서는 적합치 못하다. 4) 간이합성배지 중 Chlorella를 첨가시킨 실험구에서 노숙유충의 체중 및 용화율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5) 간이합성배지에서의 생육결과 제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낮은 것은 배if의 영양 결핍에 기인된 것 같다. 6) 각 배지 공히 용화율이 현저하게 낮은 원인은 용화시에 노숙유충이 병원균의 감염으로 오염사 되기 때문이다.

  • PDF

이화명충에 대한 수도품종의 저항성에 관한 연구 (I) 품종간의 질소 및 규소함량이 저항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to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 Relation between the resistance and nitrogen and silica contents of host plant)

  • 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51-54
    • /
    • 1965
  • 이화명충에 대한 수도의 저항성 요인과 척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품종에 접종 및 방사를 하였으며 그 영향에 따라 도체의 주요성분을 분석한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도품종간에 이화명충의 유충 생육이 현저하게 큰 차를 나타내었다. 품종에 따른 체중증가량에 있어서도 부화 후 25일에 유충의 체중은 최고 45.77mg, 최저 21.23mg였는데 대체로 Indica type은 Japonica type 보다 유충체중의 증가가 컸다. (2) 수도품종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저항성요소중 상관관계를 보면 유충의 생존율은 체중증가, 분화, 피해경율 및 산란선택성들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층의 생존율은 이화명충에 대한 도체의 저항성요소의 척도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3) 저항성 및 감수성 품종의 화학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몇몇 저항성요소와 질소함량간에는 정, 그리고 규산의 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유충의 추성에는 질소, 천공성에는 규산의 함량이 관련됨을 알 수 있었고 탄소의 함량과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나지 않았다. (4) 유충의 추성 및 천공성도 저항성 척도인 생존율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므로 저항성은 여러 가지 요소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나타난다고 생각되었다.

  • PDF

이화명충에 대한 수도통일품종의 저항성 (The Nature of the Variety Tongil (Suweon 213-1) in Resistance to the Striped Rice Border, Chilo suppressalis W.)

  • 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4-214
    • /
    • 197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nature of the variety Tongil(Suweon 213-1) in resistance to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comparing with those of Rexoro(susceptible check) and TKM-6(resistant check) selected at IRRI. 1. The striped rice borer moths much more preferred the variety Tongil for oviposition than the varieties Rexoro and TKM-6. The variety Tongil and more egg masses and number of eggs than the varieties Rexoro and TKM-6, while TKM-6 having more egg masses and more number of eggs than Rexoro. This reaction was consistent throughout the tes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illers per hill. 2. In laboratory,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was studied with 5cm of stem pieces of the varieties. The results showed, in contrast to the case of ovipositional preference, that the striped rice borer larvae least preferred the stems of Tongil among the test varieties, while larvae much more preferred the stems of Rexoro than those of TKM-6. 3. The larval weights at 20 days later infested on the 40 day-old plants were the lowest on Tongil among the test varieties. On the variety Rexoro the larvae had heavier body weights(43.0mg), higher pupation(64.9%) and higher adult emergence(83.3%) than those on Tongil(larval weights 30.3mg, pupation 60%, adult emergence 60.7%) and TKM-6(larval weights 35.7mg, pupation 56.3%, adult emergence 51.9%). The pupal weights, however, were not consistent among the test varieties and/or sexes in comparison with the larval weights, pupation and adult emergence above mentioned. 4. Field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dead hearts at 70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relatively higher on the variety Tongil(11.1%) than those on Rexoro(8.9%) and TKM-6(8.4%), and the incidence of white heads at harvest was, in contrast to the dead hearts, lower on Tongil(9.8%) than those on Rexoro(27.4%) and TKM-6(13.9%). At harvest lower larval survival observed on Tongil (49 larvae/40 hills) than those on the susceptible variety Rexoro(104 larvae/40 hills) and on the resistant variety TKM-6(70 larvae/40 hills). The average larval weights collected from three test varieties at harvest were 80.5mg from Tongil, 83.7mg from TKM-6 and 99.6mg from Rexoro. 5. Increased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to the variety Tongil, the striped rice borer damage was increased. Also,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6. Any specific association between the plant characters and striped rice borer resistance could not be found. The variety Tongil even having large number of tillers, short plant height, large stem, broad leaf, etc, had still high preference of moths for oviposition, low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low damage, and relatively high antibiosis. 7. Resistance of the variety Tongil to the striped rice borers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low feeding preference and the relatively high antibiosis, not associated directly with the ovipositional preference.

  • PDF

이화기이화명충에 대한 살충제의 수면시용효과비교시험 (Effectiveness of Several New Insecticides Applied on the Water-surface for the Control of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the 2nd Generation)

  • 백운하;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41-44
    • /
    • 1964
  • 1. 본 시험은 저독성유기인제(유제)를 수면시용하여 수면시용제인 Diazinon 입제 및 $\gamma-dol$ 미분제와의 효력 및 시용시일을 비교 검정하려는데 있다. 2. 제 2화기이화용충을 부화 직후 pot에 재식한 수도에 접종하고 각약제는 10 a 당 유효성분량을 120g으로 하고 이에서 환산하여 일정량을 pot내 수면에 시용하였으며 이의 살충효과로써 비교검정하였다. 3. Table 2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제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그의 L.S.D.=24.22였다. Diazinon 입제의 효력이 가장 좋았고 $\gamma-dol$ 미분제가 다음이었다. 그리고 타약제는 효력이 훨씬 낮았다. 시용시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본시험기일내 전체평균으로서 보면 Sumithion, EM, EPN 및 Cidial의 순위로 살충효과가 낮았다. 4. 시용시일별구간에는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으나 대체로 Diazinon 입제는 본시험기간중 모두 좋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고 $\gamma-dol$도 충접종당일시용구를 제외하고는 살충효과가 모두 좋은 편이었다. EPN, EM 및 Cidial은 충접종당일시용구에서 가장 높은 살충율을 보였고 Sumithion은 충접종전 5일째 시용구에서 가장 높은 살충율을 보여 주었다

  • PDF

이화명나방 발생의 Phenological Simulation에 관한 연구 (A Phenological Simulation of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Life System)

  • 송유한;최승윤;현재선;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0-206
    • /
    • 1982
  • Distributed Time Delay의 개념을 응용하여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Phenological System Model을 구성하고 이의 타당성검정을 위해 기존 병해충발생예찰자료 및 일별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본 해충의 1세대 경과에 소요되는 유효적산온도(DEL)와 Delay의 차수 K치를 산출한 후 이화명나방의 누적우화율곡선을 전자계산기로 Simulation 하였다. 그 결과 Model에 의해 추정된 1978년의 6개 선정지점의 누적우화율곡선은 실측 누적유살수비율곡선과 매우 유사하였으나 우화 초기 및 후기에 다소 편재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실측 $50\%$ 유살일과 Model에 의해 추정된 $50\%$ 우화일 간에는 수원에서 6일, 춘천에서 $5\~6$일의 차이를 보였으나 이리, 대구, 보성 및 밀양지역에서는 $2\~3$일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이화명나방의 Phenological Simulation Model은 각 발육단계별 실측밀도조사자료와 월동후 유충집단의 발육 및 일령분포, 그리고 사망요인에 대한 고려 등이 연구 보완되어지므로 더욱 확장된 System으로서 구성되어 질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웅성불임을 이용한 이화명충 방제에 관한 연구 1. 이화명충의 방사선 감수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ice Stem Borer Control Using Sterile-Male Technique 1. On the Radiosensitivity of Rice Stem Bore. (Chilo suppressalis Walker))

  • 정규회;유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7-120
    • /
    • 1971
  • 이화명충의 유충, 번데기, 성충에 $Co^{60}$ gamma ray를 조사하여 웅성불임기술에 관한 자료를 얻기위한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번데기의 성비는 암컷 2,903에 대해 숫컷은 2,924이었다. 2) 번데기의 $(LD_{50})$은 암컷이 26KR, 숫컷이 26.7KR이었다. 3) 처리한 숫컷성충과 교미한 암컷의 평균 산란수는 고선량일수록 감소하며 난괴수는 증가하였다. 4) 숫컷의 $(SD_{90})$은 23KR이었으며 30KR 이상에서는 거이 불임이 유기되었다. 5) 웅성불임을 유기 시키기 위하여 방사선을 조사시키는 시기는 번데기 시기가(3-6일령)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

  • PDF

성 pheromone에 의한 이화명나방의 교미교란에 관한 연구 (Field Study on Mating Confusion of Synthetic Sex Pheromone in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Lepidoptera: Pyralidae))

  • 이정운;박중수;고현관;김정한;전종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5-30
    • /
    • 1981
  • 성 pheromone을 이용한 이화명나방의 교미교란효과를 구명하고저 합성 성 pheromone, (Z)-11-hexadecenal과 (Z)-13-octadecenal을 4,5 : 1로 공시하여 본 시험을 야외에서 수행한 결과 1화기에는 30a당 합성성 pheromone 29.3g 처리한 구에서 $90.4\%$의 교미교란효과가 인정되었고 2화기에는 $20m^2$당 합성 성 pheromone 33mg 처리까지도 교란효과가 있었다.

  • PDF

벼 기계이앙 및 직파재배에 따른 수도 주요해충의 발생.피해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in Machine Transplanted and Direct Seeded Rice Paddy Field)

  • 이승찬;마경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1-144
    • /
    • 1997
  •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벼 기계이앙 및 직파재배에 따른 수도 주요해충의 발생피해를 조사한 결과, 끝동매미충, 혹명나방은 기계이앙답에서 다소 많은 발생을 보였으나 벼멸구, 애멸구는 직파재배답에서 더 많은 밸생을 보였다. 그리고 이화명나방, 흰등멸구, 벼줄기굴파리는 그 차이를 인정하기 어려웠다. 조사 해충 모두 기계이앙이나 직파재배보다는 재배시기가 발생 피해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끝동매미충은 재배시기가 늦을수록 발생량이 많았으나, 이화명나방과 혹명나방은 그 시기가 빠를수록 발생피해가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