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9초

발달장애아 가족의 정보빈곤 양상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Poverty Viewed Through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서옥연;장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7-128
    • /
    • 2008
  • 이 연구는 정신적 장애의 일종인 발달장애아를 둔 가족의 정보빈곤 양상을 묘사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들은 가족에 대한 의존이 높다. 발달장애와 같은 정신적 장애인의 경우는 생활의 모든 것을 절대적, 배타적으로 가족에게 의존한다. 정보의 관점에서 볼 때에도 본인의 정보요구에 대한 정확한 인지가 없고 정보활용능력이 부족한 정신적 장애인은 정보중개자로서의 가족의 역할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가족은 일상 속에서 장애아의 교육과 치료를 위한 정보적 도움을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발달장애아를 둔 가족의 삶 속에서 나타나는 일상적 고민과 정보요구 그리고 그에 대한 대처 양상을 통해 정보추구행태에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 과정에서 그들에게 노정되어 있는 정보빈곤의 양상과 그러한 정보빈곤을 만들어낸 내 외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정서발달 및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이윤주;김옥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1-18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사회·정서발달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관하여 동물을 매개로 한 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아동으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측정 항목별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발달장애 아동은 비참여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사회정서 발달의 전체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z=-2.20, p<.05)를 보였으며, 하위요인으로는 교사에서의 비의존성, 또래와의 상호작용, 성취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나타냈다. 둘째,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발달장애아동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효과(z=-2.20, p<.05)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정서발달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아동들의 건강한 삶을 위한 사회·정서발달과 학습관련사회적 기술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욱 구체화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장애아동어머니의 자녀 취학준비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 박천희;양성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13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e study focused on how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prepared for their children's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nd how they experienced their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Twenty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or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mother had experienced an inclusive education program at an elementary school for more than a year. Twelve mothers hav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ight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collect qualitative data.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ollowe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Giorgi.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ere actively involved with inclusive day care centers and therapy programs to prepare for children elementary school. Most wished to send their children to a general elementary school with an inclusive program, although decision making was not easy. When their children entered elementary school, some mothers observed their children's struggle with school and their peer relationships. They sought support from teachers and other mothers. These mothers showed a desire for their children's social independence.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to develop support programs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Effects of Psychomotorik in the Forest on the Sensory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You, Jin-Hee;Shin, Won-Sop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1-33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ensory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conducting psychomotorik (psychomotor activity) in the forest and indoor treatment rooms. Accordingly, this study divided 18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fac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located in Seoul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psychomotorik in the forest,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ing in psychomotorik in the treatment room,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at all.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32 weeks, 4 hours a month. The results showed that psychomotorik promoted the sensory and visu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sychomotorik in the fores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ouch and activity level, form constancy and eye-hand coordination. Psychomotorik in the treatment roo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igure-ground with reduced motion. This suggests that psychomotorik in the forest as well as indoors is a positive factor for sensory adaptation reaction and visu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정보활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the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Application)

  • 전병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63-72
    • /
    • 2016
  • 한국 사회는 발달장애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발달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들의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정보활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충 남북 지역에서 발달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194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양육스트레스는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활용은 보통수준보다 조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보통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질 하위요인 중에서 이웃관계와 정서상태영역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양육스트레스, 장애정도, 정보활용, 거주지역, 장애유형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활용은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인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서울·경기지역 특수학교 아동의 장애등급 및 유형별 구강보건실태조사 (A survey on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disabled children attending the special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ccording to the type and degree of disabilities)

  • 정원균;김영남;김남희;장선옥;전현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1-72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disabled children attending special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hich were to collect baseline data for set up a oral health center in special schools. The study group comprised 915 disabled children aged 12~15 year. They were examined clinically and surveyed on 4 oral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and level of disabilities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DMFT index was the highest in children with crippled disorder. The plaque control was more required to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or developmental disorder other than another types of disabilities. 2. About one third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or developmental disorder had their teeth brushed at least 3 times daily without any help. Over the half of the children with crippled disorder had their teeth brushed 2 times daily, 33.3% were independent and 38.9% totally dependent on help from others. 3. The more level of disabilities was higher, the mor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was lower and degree of dependance of the tooth brushing was higher. 4. There was tendency to visit to dental office more frequently for relief of dental symptoms in children with crippled disorder 5. The inability to call for help from others was the major barrier to dental care for the disabled.

  • PDF

긍정적 행동지원 교육이 근무자의 상호작용 행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aff Training in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on the Behaviors of Staff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n Inpatient Unit)

  • 이승아;정경미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8권3호
    • /
    • pp.263-285
    • /
    • 2011
  •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 교육이 입원병동 근무자와 발달장애 아동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발달장애 아동의 행동개선을 위한 그룹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재활병동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근무자 교육을 실시하고, 근무자 14명과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직접적 행동관찰, 아동의 문제행동 심각도와 근무자의 돌보기 스트레스 측정,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근무자 교육 실시 전에 비해 근무자와 아동의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즉, 칭찬 등의 근무자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고 부정적 지시 등의 부정적 상호작용 행동이 감소하였으며, 아동 행동에서는 떼쓰기 등 문제행동이 크게 감소하고 긍정적 행동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근무자가 평가하는 아동의 문제행동 심각도와 돌보기 스트레스가 중재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근무자들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 및 교육이 발달장애 아동 및 주변인의 행동과 스트레스 개선에 효과적임을 밝힘으로써,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서비스 기관에서 실제적으로 사용가능하고, 사회적으로 타당한 중재 방식임을 제안하였다.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양육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are burden on depression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he role of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

  • 박수경;김보경;송지연;남지현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3-175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 burden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support. Metho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00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6~20 years) in pre-adulthood in Gyeongi-do.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 Firs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ental health program that can relieve depression. Seco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other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upport programs for intensive case management and parenting stress management programs are needed. Third, Individual visit case management is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ligibility for care services and to maintain long-term program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mothers with not only personal assistance program but also services such as mothers' psychological counseling, peer mentor program, and parenting stress management.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the Arab world: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 Omar H. Almahmoud;Lubna Abushaikha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01-110
    • /
    • 2023
  • Purpose: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s) are a global childhood problem whose prevalence is rising, with a disproportionate impact on individuals in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However, data on the prevalence of DDs in the Arab world are limited. This review highlights what is currently known about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Ds in preschool children in the Arab world. Methods: PubMed, Cochrane Library, Scopus, CINAHL, Science Direct, and Google Scholar were searched for publications on DD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the Arab world. Only 14 studies were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from 12 Arab countries. Results: The overall estimated prevalence of DD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the Arab world is 27.5%. An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DDs showed that child-related, maternal, and family-related factors account for a significant cumulative risk of developing DDs in preschool children. Maternal factors, such as antenatal and perinatal complications, were the most common risk factors.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DDs among preschoolers is significantly high in the Arab world,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of DD, as well as its associated risk factors.

발달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과 언어 학습 증진을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 (An AI Service to support communication and language learn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박찬준;김양희;장윤나;;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1-57
    • /
    • 2020
  • 언어발달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이는 생애 전반을 걸쳐 지속된다. 언어발달 장애 아동들은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를 이해하거나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종종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박탈당하곤 한다. 이와 관련해서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보완대체 의사소통)는 언어장애를 앓는 이들에게 실직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픽토그램을 AAC의 수단으로써 최대한 활용하여 언어발달 장애 아동이 타인과 의사소통하고 언어 이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안한다. 본 서비스를 통해 언어 문제를 겪고 있는 이들이 자신의 의도 혹은 욕구를 보다 수월하게 표현하여 삶의 질이 향상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