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Problem Behavior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33초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인공와우 수술 아동의 감각처리, 문제행동, 청각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stibular Sensory Integration on the Sensory Processing, Problem Behavior, and Auditory Behavior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박예현;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23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인공와우 수술 아동의 감각처리, 문제행동, 청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전시에 거주하는 인공와우 수술 후 보조기기를 착용한 아동3명을 대상자로 모집한 후에 2019년 8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총 11주간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 사례 실험 설계방법(single subject design)으로 A-B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기간 4회, 중재기 15회로 진행되었다. 기초선 기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지 않고, 중재기에는 40분간 치료사와 함께 자유놀이를 진행하였다. 중재기에는 대전시의 아동발달센터에서 1회기 당 40분으로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다. 중재 시작 전과 중재기 15회 직후 참여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과 청각행동을 평가했다. 문제 행동 관찰은 기초선 자유놀이 시간에, 중재기에는 치료가 실시되는 시간에 아동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결과 :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중재하기 전보다 후에 A, B, C 세 명의 아동에게서 감각처리와 청각행동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문제행동에서도 2표준편차 밴드 그래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인공와우 수술 아동의 감각처리, 문제행동, 청각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다.

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 모형개발 (Developmen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Model for Children in Child Care Institution)

  • 장은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57-46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5명의 양육시설 종사자 직원을 대상으로 PBS에 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6%가 문제행동 예방에 PBS가 필요하며, 인성교육의 대안이라고 응답하였고, 70% 정도가 시설에서 PBS를 운영해 볼 생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인 모형을 구성해보면, 준비단계에서는 PBS 팀 구성 및 직원교육, 기대행동선정, 현재 행동의 기초선 측정, 보편적 PBS환경을 구축하기를 제안한다. 실행단계에서는 사회적 기술교수, 강화실시하기, 자기행동 목표정하기와 행동점검, 문제행동학생지도, 모니터링 방안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중재/전-후-유지기 간의 목표행동 변화측정, 사회기술 및 학업성취도 변화, 사회적 타당도 등을 측정하는 효과평가단계를 제안한다. 이 모형을 양육시설 아동들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문제행동의 감소, 바람직한 행동의 증진과 동시에 아동들을 지도하는 종사자들의 효능감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s of Screen Time on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 Iyeon Kim;Sangha Lee;Su-Jin Yang;Donghee Kim;Hyojin Kim;Yunmi Sh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3호
    • /
    • pp.175-180
    • /
    • 2023
  • Objectives: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led to a decrease in face-to-face classes worldwide,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global pandemic has increased children's overall use of electronic media.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hildren's screen time on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A total of 186 parents from Suwon, South Korea,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an online survey. The mean age of the children was 10.14 years old, and 44.1% were female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children's screen time, problematic behaviors, and parental stress.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ere evaluated using the Behavior Problem Index, whereas the Parental Stress Scale was used to estimate parental stress. Results: The mean smartphone usage frequency of the children was 5.35 days per week, and the mean smartphone screen time was 3.52 hours per day. Smartphone screen time (Z=4.49, p<0.001) and usage frequency (Z=2.75, p=0.006)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scores.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al stress on this relationship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49, p=0.045,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smartphone screen time has affected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parental stress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creen time and problematic behaviors.

위축 아동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in Children with Withdrawn Behaviors)

  • 김인홍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396-40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withdrawn behavior, social behavior, social problems, anxiousness/depression, in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self-esteem in children who are withdrawn. Method: A randomized controlled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31 children who were withdrawn attending J. P. Elementary School in Pohang City. Sixte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20 sessions of 80 minutes per session, 2 days a week, for 10 weeks.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Children's Behavior Check List -Korean version (K-CBCL) and a self-esteem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isher exact 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Thescores for withdrawn behavior, social problems, anxiousness/depression,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Social behavior and self-esteem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pontential and beneficial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in children who are withdrawn. The program could be adequately used to improve problem behavior in withdrawn children.

  • PDF

The Bayley-III Adaptive Behavior and Social-Emotional Scales as Important Predictors of Later School-Age Outcomes of Children Born Preterm

  • Yun, Jungha;Kim, Ee-Kyung;Shin, Seung Han;Kim, Han-Suk;Lee, Jin A;Kim, Eun Sun;Jin, Hye Jeong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4호
    • /
    • pp.178-185
    • /
    • 2018
  • Purpose: We aim to assess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 (Bayley-III), Adaptive Behavior (AB) and Social-Emotional (SE) scales at 18 to 24 months of corrected age (CA) to examine their associations with school-age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s in children born preterm. Methods: Eighty-eight infants born with a very low birth weight (<1,500 g) or a gestational age of less than 32 weeks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2008 to 2009 were included. Of the 88 children who completed school-age tests at 6 to 8 years of age, 37 were assessed using the Bayley-III, including the AB and SE scales, at 18 to 24 months of CA. Correlation, cross-tabulation,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longitudinal associations. Results: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communication scores on the Bayley-III AB scale at 18 to 24 months of CA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WISC)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 (FSIQ) at school age (r=0.531). The total behavior problem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at school ag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he Bayley-III SE and AB scales but not to the cognitive, language, or motor scales. Conclusion: Our findings encourage AB and SE assessments during the toddler stage an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of children in need of interven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follow-up with high-risk infants.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Day-care Experiences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 최미나;신나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31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만 3-5세 유아 248명(남아: 112명, 여아: 136명)과 그들의 어머니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어머니들은 보육경험(보육 시작 시기, 1일 평균 보육시간, 주당 평균 보육일, 보육기관 변경횟수), 양육행동,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문항들이 포함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경험 중 보육기관 변경횟수가 잦을수록 유아는 공격성을 더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논리적 설명, 강압,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경험이 모든 유아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보육경험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 하영희
    • 아동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40
    • /
    • 2003
  • Data were collected from 392 4th and 6th grade students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re problem behavior was reported by 4th than by 6th graders and by boys than by girls; the gender difference was larger in 4th than 6th graders. Low school satisfaction, authoritative parenting, male gender, and higher age predicted problem behavior. Within group variables that predicted problem behavior were low authoritative parenting, low school satisfaction. Male gender, and low self-control in the 4th graders ; low self-control and school satisfaction in the 6th graders; low authoritative parenting and school satisfaction in girls ; and low school satisfaction, higher age, and low self-control in boys.

  • PDF

어머니의 모델링과 식사 지도가 유아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other's modeling and feeding practices on the eat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

  • 심현미;한영신;이경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2호
    • /
    • pp.296-308
    • /
    • 2022
  • 본 연구는 어머니의 모델링이 유아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아이와 어머니의 식사에 대한 행동을 조사하였다. 식행동검사는 아동 영역 58문항, 어머니 영역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어린이집 및 유치원 64개소, 총 1,103명을 조사하였다. 어머니의 식행동 및 식사 지도에 따른 자녀의 식행동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식행동이 불규칙한 경우 자녀의 접근회피성, 과활동성, 불규칙성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어머니가 까다로운 경우 자녀의 접근회피성과 감각예민성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방임적인 식행동을 보이는 어머니에서 자녀의 과활동성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식사 시 관여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과활동성과 불규칙성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고, 식사 시 규제와 강요가 과할수록 자녀의 과활동성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어머니의 모델링과 식사 지도 유형이 자녀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자녀의 접근회피성과 감각예민성에는 어머니의 까다로운 식행동과 규제·강요의 식사지도방식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녀의 접근회피성은 어머니의 식사지도방식보다는 까다로운 식행동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과활동성에는 어머니의 불규칙하고 자기방임적인 식행동과 관심과 규제가 많은 식사 지도 방식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모델링보다는 식사지도방식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녀의 불규칙성에는 어머니의 불규칙하고 까다로운 식행동과 과도한 관심과 규제가 많은 식사 지도 방식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식사 지도 방법보다 어머니의 불규칙하고 까다로운 식행동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해 유아의 올바른 성장과 식생활 형성을 위해서는 자녀가 어머니의 식행동을 모델링할 수 있도록 어머니의 자기 관리적이고 규칙적인 식생활을 통해 자녀들에게 모범을 보일 수 있도록 해야하며, 유아의 영양교육을 계획할 경우 반드시 어머니 교육을 병행하고 아이들의 식행동과 어머니의 식행동을 함께 고려한 맞춤형 솔루션 제공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유아학습행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 인지양식,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학습지원행동 (Preschooler's Characteristics, Mother's Beliefs and Involvement According to Preschool Learning Behaviors)

  • 정태회;박경자
    • 아동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7-101
    • /
    • 2011
  • This study employed a child-centered approach in the examination of patterns of preschooler's learning behaviors.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in order to discern a meaningful typology of such behavior. The subjects consisted of 232 children (117 boys, 106 girls) and their mothers from 6 kindergartens and 6 day 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luster analysis yielded five types of learning behaviors; the competent type, the average type, the low attention/persistence type, the low motivation -attitude type, and the deficient type. The most consistent level differences among these types appeared to lie in distinctions among the average Attention/Persistence scores. The composition of the cluster types, including both the age and gender of the children, was ascertain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preschool learning behavior types could be seen to differentially relate to children's self-regulation, cognitive styles, problem behaviors, and the level of maternal involvement. It was revealed that a child's characteristics was more important than maternal involvement and beliefs. As there were more girls and older children in the learning type, this type was seen to be more competent.

문제행동유아의 행동원인에 대한 부모-교사의 인식수준과 교사의 지도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Level about the Causes of Behavior among Children with Behavioral Problems and the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 김정겸;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42-348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차이 연구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부모와 교사 간 인식차이 분석 결과 유아의 모든 문제행동 유형에 대하여 부모와 교사 간의 인식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나고 특히 부모보다 교사들이 문제행동에 대해서 비교적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 지도전략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차이에 있어서도 유아의 지도전략에 대해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있어, 반응적 상호작용과 교육기관에서의 예방실제가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부모보다 교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회정서 전략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원래 유아들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통제관리 해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편중된 지도전략보다 사회 정서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공통적 지도전략에 바탕을 두되 교사 유아 간 발생되는 문제행동 유형과 대상유아에 따라 반응적 상호작용하는 지도전략이 선호되고 특히 돌출문제 행동이 많이 발생하는 유아의 행동 특성을 고려할 때 돌출문제 유아의 행동억제와 예방에 중점을 둔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과 예방실제 지도전략이 선호되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