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Reading Lis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61초

국내 어린이 권장도서목록 개발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s of Developing Children' Suggested Reading Lists in Korea)

  • 안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49
    • /
    • 2009
  • 국내의 권장목록은 최근 독서교육의 중요성 인식, 학교도서관 및 어린이도서관의 증가에 힘입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30여개 기관에서 발간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가 권장목록을 선정도구로서의 관점에서 평가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17개 인지도 있는 목록 발행기관을 선정하여 배포하는 권장목록의 최근 경향을 역사, 개발기관, 유형, 배포형태, 전문화, 통합검색, 사서의 참여, 서지정보, 주제구분, 이용자구분의 10가지 면에서 살피고, 풍부한 정보원으로서의 가치를 제시하였다. 이제는 권위 있는 어린이정보 관리기관에서 통합적 정보제공을 하여야 할 시점에 있다.

공공도서관 아동열람실의 환경행태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Environment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Reading Room in Public Libraries)

  • 황연숙;전세란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03-111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arrangement features in public library infant and children's reading room and provide basic material in after children's reading room space planning by studying the space features, which are valued in the environment behavioral point of view. We limited the check list to libraries built after year 2000 that are located around Seoul and from 5 libraries with children reading rooms. After analyzing items by the space features, considering children's environment behavior, pleasantness was most favorable, children scale, safety, comfortableness, flexibility followed in order. It shows the basic surroundings and the furniture that composes the children's reading room are relatively favorable, but in the other hand, it seems that reading rooms lack the ability to form an environment that can adapt to children's growth, inducting new activity areas flexibly or rearrange them. there are limitations to getting the children's needs objectively and significantly, so survey research, interview research and not only studying Korean's but comparing and analyzing with foreign country's cases will be needed.

  • PDF

The Availability of Access Features in Children's Non-Fiction

  • Ladd, Patricia R.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5-16
    • /
    • 2012
  • This study analyzes the availability of access features in children's non-fiction as compared to their prevalence in adult non-fiction because such feature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research process increasingly demanded of younger and younger students in schools. Access features studied include: table of contents, index, bibliography, endnotes/footnotes, glossar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list. This study found that children's non-fiction books were less likely to include bibliographies or endnotes, but more likely to include glossaries or suggested reading lists. Tables of contents and indexes were the two most popular access features in each section. Results are divided by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classes.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증진을 위한 감성독서교육 (Emotional reading education to improve the character of of Pre-Education Teachers)

  • 김성원;윤미승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2호
    • /
    • pp.68-79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독서를 활용한 인성교육 수업에 관한 사례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 기초하여 인성교육의 준거를 설정하고, 그에 합당한 도서 목록을 선정한 후, 실행 적용을 구성하였다.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독서를 활용한 인성교육 수업 목표로 유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을 함양하고, 유아에게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공과목 '인성과 감성독서' 강좌를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내용 개념과 이론수업을 듣고 인성덕목내용을 토대로 도서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뿐 아니라 유아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서 가정과 연계하여 실천할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는 점이 의의가 있다.

관종별 공간구성을 위한 핵심 도서관용품 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e List Development of Library Goods by Library Types)

  • 안인자;노영희;박미영;이재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5-220
    • /
    • 2011
  • 최근 도서관 공간과 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면서 담당 사서는 관련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업무 중요도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수행을 원활히 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에 필요한 핵심용품과 비핵심용품을 개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은 장서공간, 열람공간, 문화공간 등 9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용품 80-90개(핵심용품 50-60개, 비핵심용품 20-30개)를 도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열람공간(서가공간, 진입공간), 특별활동공간 등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60-70개(핵심용품 30여개, 비핵심용품 30-40개)를, 학교도서관은 장서공간, 멀티미디어공간, 열람공간, 교수학습공간 등 7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90여개(핵심용품 30-40개, 비핵심용품 50-60개)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사서의 구매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적으로 관리지침 및 기준, 관리매뉴얼 등의 업무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중학생을 위한 독서자료로써 그림책의 선정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Picture Books as Reading Materia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김송희 ;소병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97-318
    • /
    • 2023
  • 이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독서교육의 자료로써 그림책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안하고 이를 도서 선정에 적용이 가능한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독서자료로써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와 학문 분야별 그림책 선정 기준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그림책 선정 기준의 공통점을 일러스트와 텍스트, 그 외로 구분해 범주화하여 통합한 후, 중학생을 독자로 선정해 적용할 수 있는 선정 기준을 구안하였다. 통합된 그림책 선정 기준을 내용으로 현직 사서교사에게 중학생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선정할 때 고려할 주요한 기준을 묻는 설문조사와 그림책 교육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집중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글과 관련된 2개의 기준, 그림과 관련된 4개의 기준, 그리고 그 외 5개 기준으로 구성된 중학생을 위한 그림책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선정 기준의 실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어린이도서연구회 추천 그림책(13세 이상)을 대상으로 범주별 기준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중학생 대상 22권의 그림책 가운데 선정 기준의 모든 범주별 적용이 가능한 도서는 15권으로 유의미한 실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화 읽기가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연구 (A Study on How Reading Comic Books Affects Creativity)

  • 장진영;박혜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6호
    • /
    • pp.437-46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 읽기가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히는 데 있다. 오랜 역사 속에서 만화의 부정적 인식이 최근에 긍정적으로 변하였다고는 하나, 어린이 만화가 학습을 위한 도구로서만 활용되고 있는 점에서는 그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근거가 필요한 것이다. 서론에서는 선행연구의 한계로 만화 읽기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함을 지적하였고, 그 실증적 연구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만화읽기와 학교공부와 창의력테스트의 비교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첫째, 창의성에 관한 이론 중 문제해결능력에 중점을 둔 창의성이론이 갖는 의의를 강조했다. 둘째, 창의성 개발에서 '재미'와 '흥미'가 갖는 의미를 근대교육이론의 전개과정과 맞물려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만화읽기의 특성이 '재미'와 '흥미'로 출발하며, 감정이입과 몰두과정을 통해 캐릭터가 낯선 세상을 헤쳐 나가는 과정을 통해 현실인식을 확장하는 과정이며, 창의력과 연관 있음을 강조했다. 넷째, 만화와 창의력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할 설문지 모형을 제시하였다. 3장 설문조사결과분석에서는 첫째, 공부 잘하는 아이들은 만화를 많이 읽는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또 공부 역시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결국 만화읽기와 공부와 창의력 향상은 서로 부정적 관계라기보다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만화읽기와 창의성의 관계가 공부와 창의성의 관계보다 높은 결과가 나왔다. 이는 만화읽기가 공부보다 도리어 창의력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만화읽기가 공부, 창의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결론 내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앞으로 학년별 만화읽기 교육방법개발과 추천만화목록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방사선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어린이 흉부 엑스선 검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est X-ray Using Ancillary Device for Child Radiography)

  • 이도병;이소미;최현우;김종기;이종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8-54
    • /
    • 201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Ancillary device for child radiography for X-ray of children under 5 years ol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Chest X-rays of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of age were performed by Supine method at the position of Table detector, Short - Source to Image Receptor Distance(SID). Existing Supine and Short -SID imaging methods cause many problems, such as errors in image reading and excessive radiation exposure dose to patients, but the use of an Ancillary device for child radiography(ADCR) solves these problems. A total of 160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e Upright group using ADCR and Supine group without ADCR. The chest X-ray image was visually evaluated by two radiologists with reference to the European Commission's List of Quality Criteria for Diagnostic Radiographic Images in Pediatrics. The total score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was 5.15% higher in the chest upright method using ADCR than in the chest supine method without ADCR, and the chest upright method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est supine method in items 1 to 7. whether infants have deep inspiration or not, 4.87% higher for item 1, whether infants rotate or not and the degree of tilting, 0% higher for the item 2, the reproduction of image from just above apices of lungs to T12/L1, 0% for the item 3, reproduction of the vascular pattern in central 2/3 of the lungs, 6.92% higher for the item 4, reproduction of the trachea and the proximal bronchi, 12.9% higher for the item 5, visually sharp reproduction of the diaphragm and costo-phrenic angles, 10% higher for the item 6, reproduction of the spine and paraspinal structures and visualisation of the retrocardiac lung and the mediastinum, and 3.65% higher for the item 7. Items 2 and 3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 > 0.05), and items 1, 4, 5, 6, and 7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 < 0.05). In conclusion, Upright method using ADCR in pediatric chest X-ray is considered as a good alternative to existing Supine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