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0/KOSCAS.2014.36.437

A Study on How Reading Comic Books Affects Creativity  

Jang, Jin-Young (상명대학교 만화학과)
Park, Hye-Ri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화 애니메이션, 한국가족상담센터)
Publication Information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v., no., 2014 , pp. 437-46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reading comic books helps improve creativity. Though the long-lasting negative recognition towards comic books has positively changed these days, we need a ground upon which the social recognition needs improvement in that children's comic books have been used as a learning tool. Its introduction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shortage of empirical researches on comic book reading, and as one of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s, presents a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on comic book reading, school study, and creativity tests via survey.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2nd chapter, first, puts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the creativity theory among all the other theories related to creativity, which focuses on problem-solving capacity. Second, it theoretically reviews the meaning which 'fun' and 'interest' have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modern educational theories. Third, it empathizes that traits of reading comic books start off with 'fun' and 'interest', that awareness of reality gets expanded via the process of characters making their way through a strange world with empathy and absorption, and that comic book reading has to do with creativity. Fourth, it presents a model questionnaire with which to study relationship between comic books and creativity in an empirical way. The analysis on the survey outcome in the 3rd chapter shows, first, that smart students read many comic books, not to mention that studying helps improve creativity, which indicates above all, comic book reading and improvement of creativity are not negatively related, but are mutually complementary. Second, that creativity enhanced by reading comic books is higher than that enhanced by studying, which may mean comic book reading is more effective than studying in developing creativity. It has drawn a conclusion based upon these results, that reading comic books bears positive efficacy on both studying and developing creativity. Standing on this conclusion, it proposes it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by grades of educating how to read comic books and to provide a recommended list of comic books to read.
Keywords
comic book reading; creativity; education; fun; interest; problem-solving capac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장진영, 창작어린이만화의 진단과 과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 16호, 2009, 79-99p.   과학기술학회마을
2 장진영, 만화교육에서 만화읽기와 토론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 14호, 2008, 15-35p.   과학기술학회마을
3 장진영, 한국 만화문화의 생성과 수용과정 연구 : 만화의 사회적 가치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66p.
4 김국현, 만화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고사성어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1p.
5 김용숙, 만화교육에서의 창의력 신장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p, 14p.
6 권혜숙, 만화.애니메이션 교육이 아동 미술의 창의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 박미리, 만화.애니메이션 활용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 박혜리, 만화치료 프로그램의 설계와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 -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4p, 50p.
9 엄명순, 중학생의 만화 읽기 형태와 독해력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p.
10 유성윤, 창의성 계발을 위한 만화표현 기법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9p.
11 이기석, 창의력 향상을 위한 만화지도방법 연구 : 중등미술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14p.
12 장진영, 한국 만화문화의 생성과 수용과정 연구 : 만화의 사회적 가치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5p, 29-30p.
13 조희경, 창의력 향상을 위한 만화그리기 수업의 효율적 지도 방안,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함현아, 창의력 신장을 위한 스크래치 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생 2-3학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p.
15 신재한, STEAM 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3.
16 상명대학교 만화학과, 만화비평 1, 2, 풀빛미디어, 2009, 2013.
17 신득렬, 교육사상사, 서울:학지사, 2000
18 신화식, 몬테소리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6.
19 이현비, 재미의 경계, 지성사, 2004.
20 이상민, 임학순, 우리나라 만화 연구 경향 분석과 향후 과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 16호, 2009, 1-20p.   과학기술학회마을
21 정지은, 국내 창의성 교육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한 창의성 교육 연구의 동향 및 의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p.
22 베티 에드워드, 오른쪽 두뇌로 그림그리기, 나무숲, 2000.
23 이주상, 만화탐독이 아동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7-2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