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with Behavioral Problem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7초

정신보건시스템 내에서의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Child and 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in the Mental Health Service)

  • 노경란;서동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3호
    • /
    • pp.142-155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measurement of children's functioning in the mental health service. We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sensitive and inclusive scale focused on the functional changes of children rather than just focusing on their symptoms or screening. Methods : The Child and 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and the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were both administered to 134 parents of children with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who participated in the Aizone program and also to 186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a control group. SPSS version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Most of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over 0.70 except those of the conduct behavior items, which showed relatively high internal consistency. The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s ranged from .411 to 758, except those of conduct behavior items and special measure items. In a concurrent validity test with K-CBCL, the total behavior problem score of K-CBCL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score of the Child and Adolescent Functional Assesment Scale (r=.610). For the construct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of four areas, including behavior (at home/school), achievement, peer relationship, and emotion.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ale was statistically reliable and valid, except for conduct behavior items.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for parents with elementary children. An adolescents group should be included in future studies.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아스퍼거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비교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Asperger's Disorder : Preliminary Study)

  • 황지희;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4호
    • /
    • pp.199-206
    • /
    • 2013
  • Objectives :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sperger's disorder (AD) in children are associated with attentional problems, impulsivity, hyperactivity, and difficulties with social interactions. Pharmacological treatment may alleviate symptoms of ADHD, but seldom solves difficulties with social interactions. Social skills training (SST) may assist in improving their social interactions. We examined the effects of SS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s, general behavior, and ADHD symptoms. Methods : Thirty four children, aged 7 to 12 years, participated in the cognitive behavioral SST program once a week at the outpatient division of child-adolescent psychiatry. SST was composed of 24 sessions (ninety minutes) for 6 months. Twenty-five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ADHD, and 9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AD. Parents of the children rated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Conner's rating scales, Korean-ADHD Rating Scale (K-ARS), Social Skill Rating System (SSRS), and Matson's Social Skill Rating Scale as an evaluation of the treatment effect, before the first session and after the final session of the training. Results : The ADHD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of social and social competence of CBCL and SSRS. Further, scores of externalizing problems of CBCL, CRS, and A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sperger's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of social competence of CBCL, SSRS, and M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improvement in CBCL's school and total behavior problem score, CRS between drug change group and no drug change group.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ST i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ADHD and AD. In addition, SST has shown its effectiveness in treating attentional problems for children with ADHD. To prove objective usefulness of SST, further studies with a more structured design and long-term duration along with a sufficient number of AD participants will be necessary.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손해경;이혜정;김미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14-321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13년 11월 18일부터 29일까지, S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재학생 384명(남자 186명, 여자 198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개인 배경 변인, 진로 관련 변인(진로장벽,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미결정),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관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다중 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스트레스 인지(t=5.12, p < .001)와 평상시 건강상태(t=-4.08, p <.001), 배경적 변인으로 학업성적(t=5.46, p <.001), 진로 관련 변인에서 진로장벽(t=10.57, p <.001)이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의 영향요인으로 개인 배경 변인과 함께 진로장벽을 확인하였다. 특히, 진로결정은 발달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진로를 선택하는 청소년 후기에 이를 고려한 예방적, 중재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 개발과 학교보건 및 실무에의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rofil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Coexistence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Yang, Ji Sun;Song, Seung Ha;Song, Dong Ho;Lee, Sang Min;Kim, Seung Jun;Kim, Ji Woong;Lim, Chae Hong;Lee, Seul Bi;Im, Woo Young;Cheon, Keun-Ah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157-164
    • /
    • 2016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rofil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Korea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also have ADHD,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executive function. Methods :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boys with ADHD aged 6 to 11 years who visited the clinic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In this study, 25 boys with ASD were included, and completed scales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K-ADI-R),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K-ADOS), Korean ADHD Rating Scale(K-ARS), and Korean-Conners' Parent Rating Scale(K-CPRS). They also completed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assessed language profiles.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with ADHD and without ADHD).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 Statistically, no difference was found in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between the ASD groups with and without ADHD. However, a lower score in Test of Problem solving(TOPS) was observed for ASD with ADHD than for ASD without ADHD, with problem solving and finding cu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anguage profiles in the ASD group without ADHD could be similar to those in the ASD group with ADHD, but comorbid ADHD could lead to more difficulty in linguistic ability for problem solving and could be related with executive function of the frontal lobe.

청소년 ADHD 고위험군의 하위유형별 기질, 기질 적합성 및 문제행동의 차이 비교 (THE DIFFERENCE OF TEMPERAMENT, GOODNESS OF FIT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HD SUBTYPES OF ADOLESCENT HIGH RISK GROUP)

  • 박해송;최은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106-116
    • /
    • 2005
  • 연구목적 : 초기 청소년 ADHD 고위험군을 과잉행동-충동성을 동반하지 않는 부주의성 유형(ADHD-I)과 과잉행동-충동성을 동반한 유형(ADHD-HI/C)으로 분류한 후, 이들 간에 기질 및 기질 적합성과 문제행동에서의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모 남자 중학교 1, 2학년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ADHD 고위험군을 선정하기 위해 ADHD 행동증상을 평정하는 세 척도 '((1)' 한국어판 ADHD 평가척도, (2) 부모용 단축형 코너스 평가척도, (3) 청소년용 단축형 코너스-웰스 자가평정척도)를 사용하여 2개 척도 이상에서 상위 $20\%$에 해당하는 경우를 고위험군으로 선정하였고, 이 중 ADHD평정척도의 부주의성 차원과 과잉행동/충동성 차원을 활용하여 각각 상위 $20\%$의 조합으로 하위유형을 분류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ADHD-I 고위험군이 25명, ADHD-HI/C 고위험군이 70명, 정상군이 70명 이었다. 기질 및 기질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해 학생들에게는 '개정판 기질차원척도' (DOTS-R)를, 부모에게는 '개정판 기질차원척도 : 맥락' (DOTS-R : Ethnotheory)을 사용하였으며, 문제행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청소년 문제행동 자가평정 척도' (K-YSR)를 이용하였다. 결과 : 기질 면에서는 ADHD-HI/C 고위험군이 다른 집단에 비해 '일반적인 활동수준' (general activity)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부모의 기대 맥락에서는 '일반적인 활동수준'에서 ADHD-HI/C 고위험군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아 자녀의 활동성에 대한 기대가 컸으며, '새로운 자극에 대한 융통/경직성' (flexibility/rigidity) 및 '기분' (mood) 면에서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미했는데 특히 자녀의 긍정적 기분을 기대하는 수준에서 ADHD-I 고위험군의 부모와 ADHD-HI/C 고위험군의 부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질 적합도에서는 '기분'과 관련하여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미했는데, 특히 ADHD 고위험군의 두 하위유형은 정상군보다 '기분'과 관련된 적합도과 낮아 정서적인 차원에서 부모-자녀 간 부적합성이 ADHD의 행동증상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 문제행동 영역에서는 ADHD-HI/C 고위험군이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 모두에서 뚜렷하게 문제행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DHD 하위유형별로 비교할 때 외현화 문제에서는 ADHD-HI/C 고위험군이 ADHD-I 고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각했지만 내면화 문제에서는 두 유형 간에 심각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초기 청소년 ADHD 고위험군의 기질 및 기질 적합성 특성이 하위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청소년 ADHD 행동증상 및 하위유형의 발현이 기질 뿐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중요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청소년 ADHD 행동증상과 하위유형은 기질 특성에서는 활동성 차원이, 기질 적합성 특성에서는 기분 차원이 연관이 있었다. 문제행동 특성에서는 하위유형별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 PDF

외톨이 혹은 왕따 상태인 청소년 정신과 환자와 비외톨이 환자의 문제 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 태도의 차이 - 예 비 연 구 - (THE DIFFERENCE OF THE BEHAVIORAL PROBLEM AND MATERNAL REARING PATTERN BETWEEN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IN PEER NEGLECT OR REJECT AND THOSE IN NON-NEGLECT - A PRELIMINARY STUDY -)

  • 손정우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177-188
    • /
    • 2002
  • 연구 목적: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청소년 중 외톨이 혹은 왕따인 청소년과 비외톨이인 청소년의 문제 행동 및 이들의 어머니의 양육 태도를 비교 분석한다. 연구 방법:청소년 정신과 환자 25명에게 외톨이 설문지, 왕따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이들의 어머니에게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중 8개 하위 요인, 자녀양육태도 척도(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의 일부, 자녀에 대한 관심 척도 등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외톨이 설문지 및 왕따 설문지 점수를 근거로 15명의 외톨이-왕따 집단과 10명의 비외톨이 집단으로 나눈 뒤, 두 집단 간의 나머지 설문지 점수를 비교하였고, 또한 외톨이 설문지와 왕따 설문지의 점수와 나머지 설문지 점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1) CBCL의 8개 하위 요인(p<.05), 우울/불안 하위 요인(p<.05) 및 사고 문제 하위 요인(p<.01)에서 외톨이-왕따 집단의 점수가 비외톨이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외톨이 설문지 점수는 CBCL의 8개 하위 요인(r=.516), 우울/불안 하위 요인(r=.483), 사고 문제 하위 요인(r=.651), 사회적 미성숙 하위요인(r=.517)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왕따 설문지 점수는 CBCL의 주의력 문제 하위 요인(r=.414), 사고 문제 하위 요인(r=.446), 사회적 미성숙 하위 요인(r=.53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그러나, MBRI 점수 및 자녀에 대한 관심 척도 점수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외톨이 설문지 혹은 왕따 설문지 점수와 MBRI 점수 혹은 자녀에 대한 관심 척도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청소년 중 외톨이-왕따에 해당되는 청소년의 어머니는 비외톨이 청소년의 어머니보다 자녀들의 사고 문제 및 우울/불안 등의 정서적 문제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자녀들에 대한 양육 태도에 대해서는 차이를 두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Socio-Economic, Parental-Health, and Family Functioning Differentials i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Comparison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y Families and Children with Non-Disability Families

  • Sohn, Byou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7권2호
    • /
    • pp.75-84
    • /
    • 2006
  •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may be more common in children with disability families but rarely known is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and the risk factors compared to those in children with non-disability famili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if socio-economic factors, parental health, and family functioning affect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differently between two comparison groups. The research literature on childhood behaviors was briefly reviewed. The data was derived from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Great Britain, 2004. Regression analyses provide evidence that the family type, economic status, and income level are unique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s of internalizing 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with disability families, whereas sex, age, family size, parental health, and family functioning factors have similar impacts on the child's internalizing or externalizing variances between two groups. Intervention is desirable to address the concerns influenc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erformances among children with disability or non-disability families.

저소득층 가정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 문제행동 간의 상호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A Study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in Low Income Families)

  • 송미령;홍승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40-34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림스타트 사업에 참여한 저소득층 가정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상호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드림스타트 사업에 참여한 아동과 양육자이며, 2015년에 초등학교 1학년인 아동과 양육자를 3년 간 추적 조사하여 2017년까지 참여한 대상자의 자료를 반복 측정 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발달에 적용하는 아동 효과 및 양육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귀회귀교차지연효과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의 자기회귀 계수가 모두 유의미하여 3년에 걸친 연구기간 동안 높은 수준의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양육스트레스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 인과관계의 원인은 주로 양육자 효과로 설명 되었다. 즉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로 인해 아동의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것이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저소득층 가정은 경제적 압박감으로 인해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가중되고 누적되어 자녀와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이어져 결국 아동의 문제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소득층 가정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해 다양한 양육자의 심리적 지원 방안이 강화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ADHD 치료에서 가족치료캠프의 적용 (Application of Family Treatment Camp in Treatment of ADHD)

  • 황병주;안동현;이재영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2호
    • /
    • pp.82-89
    • /
    • 2012
  • Objectives : Demands for comprehensive and intensive treatment programs for treat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ho suffer from serious impairment in various psychosocial areas are increas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types of camp programs focused on improving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and helping parents effectively manage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ethods : Fifteen children diagnosed as ADHD according to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mean age 9.5 year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Eight consecutive camps were held at two-week intervals, from Jun 2007 to Oct 2007 in an adolescent training center located at Chungtaesan, in Korea. Each camp program included social skills training in the classroom and outdoor activities in the forest for children, as well as parent training for mothers. In addition, after the sixth camp, we conducted one parental session for fathers and a three-day booster family camp three months later. Finally, eleven families adhered to the program. Results : All children, parents, and therapists rated questionnaires or checklists at baseline, intra-, and post-treatment. Parenting burden rated using the Parenting Stress Index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57.89 to 46.22 (p=.019). And, overprotection rated using the Parenting Bonding Instrumen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16.56 to 12.44 (p=.046). However,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ildren's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was observed.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consecutive ADHD family camp program was effective for empowerment of parental competency, but not for general improvement of children's behavioral and emotional symptoms.

산후 우울증이 소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stpartum Depression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 오의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5호
    • /
    • pp.469-475
    • /
    • 2005
  • Mother-infant interaction is a crucial component of an infan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Most people are preoccupied with fetal education,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postpartum mother and baby, and emphasizing an early start in the child's education. However, the effects of a mother's postnatal emotional state on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 are often overlooked. Postpartum depression is a significant health problem affecting 10-20 percent of new mothers. Recent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suffering caused by postpartum depression is not limited to these mothers alone; their babies and close family members are vulnerable to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as well. This review summarizes the findings of recent research works, in the light of publications within the last seven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