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OF TEMPERAMENT, GOODNESS OF FIT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HD SUBTYPES OF ADOLESCENT HIGH RISK GROUP

청소년 ADHD 고위험군의 하위유형별 기질, 기질 적합성 및 문제행동의 차이 비교

  • Park, Hae-Song (Seung-Il Cheon'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 ;
  • Choi, Eun-Ju (Seung-Il Cheon'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
  • 박해송 (전성일 소아청소년 정신건강클리닉) ;
  • 최은주 (전성일 소아청소년 정신건강클리닉)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Summary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emperament, parent-adolescent's goodness of fit and behavioral problems between early-adolescent high risk group which can be divided into subgroups (ADHD-I and ADHD-HI/C) and normal group. Method :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of a Boy's Middle School and their parents. ADHD high risk group was determined by using three rating scales of ADHD behavioral symptoms : 1. Korean-ADHD Rating Scale, 2. Abbreviated Conners Parents Rating Scale, 3. Conners-Wells' Adolescent Self-Report Scale. Final research was based on the subjects including 25 people in ADHD-I high risk group, 70 ADHD-HI/C high risk group, 70 in normal group.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DOTS-R) was used for students to assess their temperament, while DOTS-R : Ethnology for parents to access environmental demands. Goodness of fit between parent and adolescent was figured out by results of the two scales.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was used to examine behavioral problems. Results : When it comes to temperament of adolescents, ADHD-HI/C high risk group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general activity level. In contextual parent demand to adolescent, ADHD-HI/C parents showed higher level of demands in general activity than other groups, and lower expectation of positive mood than ADHD-I parents. In parent-adolescent's goodness/poorness of fit, the research found out that ADHD-I and ADHD-HI/C had lower level of fit on pesitive/negative mood than normal group and indicated that ADHD behavioral symptoms connected with poorness of fit in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In behavioral problems, ADHD-HI/C high risk group had sever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distinctly. It had more severe in externalizing problems than ADHD-I,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nternalizing problems between the two subgroups. Conclusion The two ADHD subgroups in high risk adolescents had differences on temperamental activity level and on goodness of fit about positive mood. In addition, they had different patterns in externalizing/internalizing problems.

연구목적 : 초기 청소년 ADHD 고위험군을 과잉행동-충동성을 동반하지 않는 부주의성 유형(ADHD-I)과 과잉행동-충동성을 동반한 유형(ADHD-HI/C)으로 분류한 후, 이들 간에 기질 및 기질 적합성과 문제행동에서의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모 남자 중학교 1, 2학년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ADHD 고위험군을 선정하기 위해 ADHD 행동증상을 평정하는 세 척도 '((1)' 한국어판 ADHD 평가척도, (2) 부모용 단축형 코너스 평가척도, (3) 청소년용 단축형 코너스-웰스 자가평정척도)를 사용하여 2개 척도 이상에서 상위 $20\%$에 해당하는 경우를 고위험군으로 선정하였고, 이 중 ADHD평정척도의 부주의성 차원과 과잉행동/충동성 차원을 활용하여 각각 상위 $20\%$의 조합으로 하위유형을 분류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ADHD-I 고위험군이 25명, ADHD-HI/C 고위험군이 70명, 정상군이 70명 이었다. 기질 및 기질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해 학생들에게는 '개정판 기질차원척도' (DOTS-R)를, 부모에게는 '개정판 기질차원척도 : 맥락' (DOTS-R : Ethnotheory)을 사용하였으며, 문제행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청소년 문제행동 자가평정 척도' (K-YSR)를 이용하였다. 결과 : 기질 면에서는 ADHD-HI/C 고위험군이 다른 집단에 비해 '일반적인 활동수준' (general activity)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부모의 기대 맥락에서는 '일반적인 활동수준'에서 ADHD-HI/C 고위험군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아 자녀의 활동성에 대한 기대가 컸으며, '새로운 자극에 대한 융통/경직성' (flexibility/rigidity) 및 '기분' (mood) 면에서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미했는데 특히 자녀의 긍정적 기분을 기대하는 수준에서 ADHD-I 고위험군의 부모와 ADHD-HI/C 고위험군의 부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질 적합도에서는 '기분'과 관련하여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미했는데, 특히 ADHD 고위험군의 두 하위유형은 정상군보다 '기분'과 관련된 적합도과 낮아 정서적인 차원에서 부모-자녀 간 부적합성이 ADHD의 행동증상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 문제행동 영역에서는 ADHD-HI/C 고위험군이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 모두에서 뚜렷하게 문제행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DHD 하위유형별로 비교할 때 외현화 문제에서는 ADHD-HI/C 고위험군이 ADHD-I 고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각했지만 내면화 문제에서는 두 유형 간에 심각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초기 청소년 ADHD 고위험군의 기질 및 기질 적합성 특성이 하위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청소년 ADHD 행동증상 및 하위유형의 발현이 기질 뿐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중요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청소년 ADHD 행동증상과 하위유형은 기질 특성에서는 활동성 차원이, 기질 적합성 특성에서는 기분 차원이 연관이 있었다. 문제행동 특성에서는 하위유형별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