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abuse experienc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생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아동학대 인식간의 관계연구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of Childhood and Child Abuse Perception in College Students)

  • 문진하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of childhood and child abuse perception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1 college students by convenience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program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93.1% of the college students were abused by their parents during childhood. Child abuse perception was very high with a mean score of 3.22(range 0~4). Child abuse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major, perception of frequency for child abuse.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physical abuse perceptio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child abuse perception will help reduce child abuse.

  • PDF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양육태도가 학대경험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 Abuse and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in Children)

  • 문영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22-30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 rearing attitudes on abuse experience and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in childr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to June 5, 2009.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with 3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or effects of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abuse experience among these children, authoritarian controlling disposition, affectionate disposition and marital conflic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overall abuse experience. These variables were predictors of child abuse and accounted for 30.6% of the variance. For effects of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child rearing attitude and abuse experience on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among children,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for marital conflict, neglect, emotional abuse and authoritarian controlling disposition. These variables were predictors of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and accounted for 21.5%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marital conflict and child rearing attitude are two major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abuse experience and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아동학대경험과 분노표출이 대인간 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Abuse Experience and Anger Expression on the Method of Resolving Interpersonal Conflicts)

  • 이서원;한지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71-8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the method of resolving interpersonal conflicts. For the study, 3,050 4th to 6th grade children from Kyunggi-do were sampl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multi regression and a path analysis. This study showed that child abuse experience influenced the method of resolving the interpersonal conflicts via the expression of anger. In other words, anger expression could function as a pathway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the method of resolving interpersonal conflicts.

청소년의 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학대와의 관계 (A Correlational Study of Adolescents Behavior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with Child Abuse Experience of the Adolescents)

  • 이꽃메;안혜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86-794
    • /
    • 2002
  •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dolescents' behavior is correlated with child abuse they experience, and how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s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is correlated with child abuse experience by the adolescents. Method: A convenient sampling strategy was used. A total of 160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f the 160 responses, 116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K-YSR program and SPSSWIN. Res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ild child abuse experiences reported by the subjects were Throwing the object at me (12.9%, N = 15), Clutching and pushing (12.9%, N = 15), and Slapping on the cheek (14.7%, N = 17)'. Severe child abuse experiences reported by the subjects were Kicking, pounding and biting (10.3%, N = 10), Rod, stick, belt, broom beating using various objects (41.4%, N = 38), and Beating all over the body (6.7%, N = 8). Very severe child abuse experiences reported by the subjects were Burning with cigarette (0.4%, N = 1), Threatening me with objects such as a knife, a hammer, an axe, or a gimlet (0.8%, N = 2). Injuring me with the objects (0.4%, N = 1), and Hospitalized by belting (0.4%, N = 1). In terms of correlations among the main study variables, physical child abus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xternalizing problem (r=.271, p=.001) and total behavioral problem (r=.288, p=.002). Physical child abuse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uthoritarian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r=.363, p=.000). Physical child abus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 (r=-.191, p=.050) and active participative childrearing attitude (r=-.101, p=.035). Conclusio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is a salient factor for preventing child abuse. In addition, child abuse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eventing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

  • PDF

학부모의 가족탄력성,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 학대행위인식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chool Parents' Family Resilience, Experience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and Awareness of Abuse Behaviors)

  • 황환;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519-526
    • /
    • 2019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학부모의 가족탄력성,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 학대행위인식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경기도 양평군에 거주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389부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자료분석은 주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부모의 가족탄력성과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이 학대행위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가족탄력성과 학대행위인식 간의 관계에서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족탄력성 증진서비스를 포함한 패키지 형태의 아동학대예방프로그램의 제공과 아동학대예방서비스 전달체계의 보완을 제언하였다.

직업군인 배우자의 성장기 학대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Influence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on Perpetration of Child Abuse among the Military Personnel's Spouses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Conflict)

  • 서정열;최장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43-3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군인 배우자의 성장기 학대피해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성장기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이 결혼 후 자녀학대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어서 가정폭력피해 경험의 매개경로를 파악하여 자녀학대 가해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후반기 육군 3개 부대, 해군 2개부대, 공군 2개부대를 선정하여 자발적으로 설문에 응답한 직업군인 배우자를 대상으로 실태 조사한 설문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기혼 직업군인 배우자 23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직업군인 배우자의 자녀학대 가해률의 경우, 정서학대가 51.4%, 신체학대가 28.9%, 방임이 3.8%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직업군인 배우자의 성장기 학대경험과 자녀학대 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기 학대경험이 부부갈등을 매개로 자녀학대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직업군인 배우자의 가정 내 불화와 자녀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군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부부갈등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on Child Abuse)

  • 고정자;김갑숙
    • 아동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0-98
    • /
    • 199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the child abuse,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 abuse, and to screen their causes. For the data set 521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others living in pusan were chose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using $X^2$, the one-way ANOVA. the factor analysis, and the path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in most of families there are child abuse. Second, among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the father's dissatisfaction with job, the family's social-economic status, violence observation, violence experience influence the child abuse. Third, marital conflict influences marital violence and child abuse, marital violence influences child abuse.

  • PDF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Child Abuse Experience, perception of the Cause of the Child Abuse and Need for counseling among Day Care Center Teachers)

  • 이경숙;박진아;최명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227-252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 보육교사 514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관련 경험, 아동학대 목격 시 대처방안,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및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상담 관련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 중 92명(17.9%)이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목격한 경험이 있었으며, 목격 후 대처방안으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학대 받은 영유아에게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대해주었다', 원장의 경우,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유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보육은 담당교사의 권한이므로 간섭할 수 없어서', 원장 학대의 경우 '신고 후 부과될 책임이나 역할이 부담스러워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발생 원인은 직무스트레스, 과다한 업무, 보육교사 정신건강 문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사례 판정 시, 필요한 후속조치로 보육교사의 경우 '교사 자격정지', 영유아 및 부모의 경우 '영유아 대상 심리평가 실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 상담 기관이 신설된다면, 보육교사 중 457명(88.9%)이 사용할 의사가 있으며 본인의 아동학대 신고의사 결정 및 아동학대 예방과 개입에 도움이 될 것이고, 설치 장소로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상담실'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보육교사 중 490명(95.3%)이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상담요원(영유아발달상담전문요원)이 필요하며, 담당 역할은 '영유아 대상 전문적 심리평가 및 사례판정', 자격요건으로는 대졸이상, 심리학 및 아동학 전공, 3년-5년 경력, 자격증 보유를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아동학대 관련 교육 및 전문적 상담 실시'을 요구하였다.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 PDF

성폭력 경험이 청소년기 여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왜곡된 성통념의 매개효과 (Impact of the Experience of Sexual Abuse on Depression in Female Adolescents and Mediation Effect of Distorted Sex-Related Belief)

  • 김재엽;최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1-24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the impact of sexual abuse experienced by female adolescents on depression and to examine mediation effects of distorted beliefs related to sex.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Seouland Gyonggi Areas. The549responseswereanalyzedbyregression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22.2%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sexual abuse; the experience of sexual ab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torted sex-related belief, but not on depression. Distorted sex-related beliefs, however, mediated between the experience of sexual abuse and depress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for intervention and practical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adolescent sexual abuse.

  • PDF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porting Behavior of Mandated Reporter)

  • 허남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3권
    • /
    • pp.209-230
    • /
    • 2003
  • 본 연구는 아동학대신고 의무자들 중 학대당하는 아동을 발견하였을 때 학대를 신고하는 사람과 신고하지 않는 사람간의 차이와 신고행동에 영양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발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자는 신고의무자 중 교사,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유의 표집이었고 신고자와 비신고자간의 차이와 신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응답자 477명중 학대당한 아동을 발견한 경험이 있다고 한 응답자 116명만을 대상으로 결과 분석을 하였다. 아동학대를 발견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35.3% 만 아동학대를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집단과 신고하지 않은 집단간에는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신고지식 그리고 아동학대 교육이나 연수를 받은 경험 등이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신고자들이 아동학대를 허용하지 않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아동학대에 대한 지식이 더 많았고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이나 지식을 접한 경험이 더 많았다. 그러나 다른 변인들을 모두 투여했을 때 아동학대를 신고하는 행동에 유의미하게 영창을 주는 요인으로는 응답자의 직업, 학대 교육을 받은 경험 정도, 발견한 아동의 학대의 심각성 정도였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신고행동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