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wareness toward child abuse behaviors, causes of child abuse, and the necessity of the parent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in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 hundred fifty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generally were aware of emotional abuse and physical abuse, but not aware of neglect. In the comparison, according to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highly educated parents and high-income parents were more aware of both emotional abuse and neglect. Second, most of the parents agreed on the causes of child abuse presented in the survey except the cause of having an unexpected child. Third, most parents agreed on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 abuse prevention. The discussion for the results and strategies for child abuse prevention was provided.
Purpose: We aimed to identify the awareness and reporting obligation attitude toward child abuse among paramedic students who will become paramedics in the future and play an important role as those with an obligation to report child abus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aramedic students after consent to this study through online.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July 10 to August 2, 2023 and 14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program. Results: 79.6% of the subjects knew who was required to report child abuse, but only 46.5% knew the reporting agency, and 30.3% knew the reporting procedure. Additionally, 83.8% were willing to report child abuse when discovered. Awareness of child abuse was 4.58±0.29 points out of 5. The reporting obligation attitude toward child abuse was 3.53±0.74 out of 5. Awareness of child abuse was determined by whether one was required to report child abuse (p<.05), whether one was aware of the reporting procedure (p<.05), and whether one was willing to report child abuse (p<.05), there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Attitude toward reporting obligation regarding child abuse was determined by gender (p<.05), whether one was aware of the obligation to report child abuse (p<.05), and willingness to report upon discovery of child abuse (p<.0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alistic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e linked to suspected abuse sites in hospitals and out of hospitals so that students who will become paramedics in the future can play an active role as mandatory reporters of child abuse.
Objectives: To confirm the awareness of child abuse and attitudes toward mandatory reporting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Methods: The level of awareness of child abu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ttitudes toward reporting obligation, and awareness of the mandatory reporting system were analyzed using t-test or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alysis, and correlation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Awareness of child abuse was 3.76, 3.68, 3.67, and 3.18 points for neglect, sexual abuse,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respectively. The attitude toward reporting obligation were 3.60 and 2.62 points for positive and negative reporting attitudes, respectively. Regarding awareness of child abus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ositive reporting attitude (r=0.326, p<0.01) and awareness of mandatory reporting system (r=0.272, p<0.01). Conclusions: To increase the reporting rate among dental hygienists, awareness should be improved starting from the undergraduate level, perceptions of prospective dental hygienis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ontinuously seek institutional and policy measure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ild abuse awareness and reporting intention among nursing and education students and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involved.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an online questionnaire to 70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70 education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d test, the Mann-Whitney U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in SPSS 21.0 (IBM, Armonk, NY). Results: The mean score of child abuse awareness was $3.61{\pm}0.32$ for nursing students and $3.60{\pm}0.36$ for education students. The mean score of reporting intention was $5.65{\pm}0.90$ for nursing students and $5.38{\pm}1.03$ for education students. Females presented higher scores than males in the awareness of sexual abuse. The awareness of emotional abuse was higher in students who knew of reporting obligations or who had experienced abuse. Child abuse awareness and reporting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Also, the number of times having received child abuse education was correlated with reporting intention in both mild and severe cases of abuse. Conclusion: Reporting intention is not only related to having received education, but also to the frequency of that education. Child abuse education is important to increase reporting intention and should be delivered repeatedly.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by identifying perceptions of child abuse, attitude towards reporting obligations, and awareness of the reporting system,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early detection and reporting of child abuse reporting obligations. Methods: From 2021-06-20 to 2021-09-09, 156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survey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test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points for awareness of child abuse, obligatory reporting attitude, and awareness of mandatory reporting system were found to be 3.52, 3.01, and 2.30, respective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egative attitude to report child abuse (r=0.332, p<0.01) and the perception of the mandatory reporting system (r=0.343, p<0.01).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research are needed for the early detection and reporting of child abuse by dental hygienists.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학부모의 가족탄력성,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 학대행위인식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경기도 양평군에 거주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389부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자료분석은 주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부모의 가족탄력성과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이 학대행위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가족탄력성과 학대행위인식 간의 관계에서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족탄력성 증진서비스를 포함한 패키지 형태의 아동학대예방프로그램의 제공과 아동학대예방서비스 전달체계의 보완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이들의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4월 16일부터 30일까지 대학에 재학 중인 27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 수용-거부 양육태도 도구, 아동학대인식 및 아동학대지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아동학대 인식은 성별, 학년, 형제자매 수, 아동학대 지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무시/무관심 양육태도가 아동학대 인식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성별, 학년, 형제자매 수, 아동학대 지식수준 및 부모의 양육태도의 설명력은 14.3%였으며, 학년, 형제자매 수, 아동학대 지식수준과 무시/무관심 양육태도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이해를 통해 이들의 아동학대 인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가족관계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A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8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에 대해 가족관계는 정적 방향으로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관계와 아동학대인식간의 인과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학부모의 가족관계가 아동학대인식에 중요한 독립변수이고 이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가 주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부모를 위한 가족관계 증진프로그램, 아동학대예방 매뉴얼, 다양한 양육지원서비스의 확충과 개선 및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제로서의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인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A시에 거주하고 있는 학부모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매개효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에 대해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방향으로, 자아존중감은 정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을 향상시켜 아동학대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감소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아동학대예방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방법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교육학적, 심리학적, 사회복지학적인 융복학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과정을 이수 하고 있는 예비 보육교사의 긍정성과 학대인식 관계와 전공분야 특성과 학대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긍정성의 하위요인은 자기긍정성과 타인긍정성으로 나누고 학대는 4가지 하위요인인 신체, 성, 정서, 방임으로 구분하여 각 하위요인에 따라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기도, 강원도, 서울소재의 보육학과 및 사회복지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12일 5일간이었다.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얻은 결론은 첫째, 긍정성은 학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자기긍정성과 타인긍정성 중 타인긍정성이 높으면 학대 인식을 더 잘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예비보육교사의 타인긍정성을 높이는 인성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둘째, 학대정도의 심각성은 평균값 4.594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4.789), 신체(4.587), 방임(4.510), 정서(4.498) 순으로, 정서학대에 대하여 지표를 인식하는 정도가 제일 낮아 정서 학대인식에 대한 사회적 기준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셋째, 전공분야 특성에서는 예비보육교사의 실무경험이 학대인식에 도움을 주는가에 대하여서는 도움을 주고 있으며, 특히 보육실습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보육교사 훈련과정 중 실무 경험의 기회를 늘리고 특히 보육실습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실무교육과정의 편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