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leaching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5초

물리화학적 분석을 통한 하 ${\cdot}$ 폐수처리 슬러지류의 특성평가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Sludges by Physico-chemical Analysis)

  • 권기홍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6-93
    • /
    • 2005
  • Because generally large amount of sludges are generated from the process of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the management and controlment of those sludge has become a important issue in many researches. In this dissertation, we conducted the research to se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ludges generated from various sources. Moisture of sludges were 81.5% in textile industries, 81.4% in frame metal industries, 80.7% in 1st metal industries. Volatile solid were 22.1% in hide · rubber industries, 21.9% in coke · petroleum industries. Fixed solid were 18.5% and 17.7% in the 1st metal industries and frame metal industries. High heating value by wet base were 1,850 kcal/kg in coke · petroleum industries, 1,220 kcal/kg in hide · rubber industries, but sludges from the 1st metal industries and frame metal industries were impossible to incinerate because most of those sludges were inorganic. The leaching test showed that hazardous materials was detected in nearly every kinds of sludges. Some of sludges from hide · rubber industries and frame metal industries exceeded the leaching criteria and so they were classified as specific wastes. And other sludges generated in sewage treatment plants or other industries was below the leaching criteria.

중금속 함유 폐기물의 재사용을 위한 환경적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heavy metals bearing slag utilization)

  • 배해룡;권영배
    • 연구논문집
    • /
    • 통권28호
    • /
    • pp.161-172
    • /
    • 1998
  • 철강재생 공장내의 전기 용융로에서 발생된 먼지중의 아연 성분을 재생하는 공정인 Waelz 공정에서는 매년 많은 양의 slag가 발생되어진다. 표면이 유리질성인 이 slag의 물리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건축 현장에서 골재(모래나 자갈)의 대체물질로 사용 가능한 만큼 높은 안정성을 지니고 있다. 유럽공동체 과 제인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slag에 대한 용출특성, 물리-화학적 특성조사 및 광물학적 특성 연구에 주안점을 두었다. 용출실험으로는 법규실험과 slag의 재사용 시나리오와 관련된 여러 주요인자에 대한 영향(pH, 산환원 전위, 용매의 화학적특성, L/S비 등)에 대하여 조사되어졌다.

  • PDF

EFFECTS OF CHEMICAL TREATMENTS OF BARLEY STRAW ON LEACHING, AND DIGESTIBILITY BY RUMEN FLUID AND CELLULOLYTIC BACTERIA

  • Kudo, H.;Cheng, K.J.;Rode, L.M.;Abdullah, N.;Ho, Y.W.;Hussain, H.Y.;Jalaludin,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389-396
    • /
    • 1994
  • Effects of chemical treatments on in sacco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barley straw by rumen fluid and pure cultures of cellulolytic bacteria were studied to evaluate the pretreatment and to improve the poor quality feed. Chemicals were applied by dissolving them in water equivalent to 40% of the weight of the straw (dry matter basis). Pretreatment with 5% NaOH yielded the largest increase in sacco digestion followed by pretreatment with 2% $(NH_4)_2SO_3$, 2.6% $NH_4OH$, 1.6% $NaHSO_3$ and untreated straw (control). In sacc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straw treated with NaOH and $(NH_4)_2SO_3$ continued to increase as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 increased (1 to 7.5%), as it was the in vitro dry matter loss by leaching. Treatment of barley straw with 5% NaOH enhanced significantly (p < 0.01) in vitro digestibility by rumen fluid, Fibrobacter suceinogenes and Ruminococcus albus though the fermentation products by cellulolytic bacteria were low, whereas the treatment with 5% $(NH_4)_2SO_3$ inhibited in vitro digestibility by F. succinogenes and R. albus together with lower fermentation products. Dry matter loss by leaching and bacterial digestion from barley straw treated with NaOH and $(NH_4)_2SO_3$ suggested the effect of pretreatment with these chemicals were based on leaching, and the cellulolytic bacteria had little to do with digestion.

저농도 은이 함유된 LTCC 전극공정부산물로부터 은 회수 및 나노입자 제조 연구 (Study on the Recovery Silver and Nanoparticles Synthesis from LTCC By-products of Lowly Concentrated Silver)

  • 주소영;안낙균;이찬기;윤진호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2-239
    • /
    • 2018
  • In this paper, the recovery and nanoparticle synthesis of Ag from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by-products are studied. The effect of reaction behavior on Ag leaching conditions from the LTCC by-products is confirmed. The optimum leaching conditions are determined to be: 5 M $HNO_3$, a reaction temperature of $75^{\circ}C$, and a pulp density of 50 g/L at 60 min. For the selective recovery of Ag, the [Cl]/[Ag] equivalence ratio experiment is performed using added HCl; most of the Ag (more than 99%) is recovered. The XRD and MP-AES results confirm that the powder is AgCl and that impurities are at less than 1%. Ag nanoparticles are synthesized using a chemical reduction process for recycling, $NaBH_4$ and PVP are used as reducing agents and dispersion stabilizers. UV-vis and FE-SEM results show that AgCl powder is precipitated and that Ag nanoparticles are synthesized. Ag nanoparticles of 100% Ag are obtained under the chemical reaction conditions.

토양 특성이 CCA 처리재로부터 방부제 성분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Properties on Leaching of Preservative Components from CCA-treated Wood)

  • 정용기;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6호통권134호
    • /
    • pp.87-94
    • /
    • 2005
  • 본 연구는 지접부용 처리목재의 지하부에서 발생하는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탈에 관한 연구로 토양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이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CA 처리 라디에타소나무 시편을 국내의 대표적인 네 가지 토양(미사질양토, 양토, 사질양토, 사토)에 매립하여 12주간의 용탈기간 동안 토양이 항상 물로 포화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토양 용탈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토양 용탈시험 결과와 비교할 목적으로 물 용탈시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토양 종류에 따른 처리목채로부터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탈을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토양 용탈은 물 용탈보다 유효성분의 용탈율이 낮았다. CCA 처리목재로부터 크롬, 구리, 비소 용탈율은 각각 사질양토, 양토, 사토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유효성분의 용탈율이 미사질양토에서 가장 낮았다. 토양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과 용탈율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탈율이 토양 특성에 의해 매우 상이하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CCA 처리목재로부터 구리 용탈은 토양내 치환성 마그네슘 및 염기총량의 영향을 받았다. CCA 처리목재로부터 크롬 용탈은 토양내 치환성 마그네슘($Mg^{2+}$) 함량의 영향을 받았으며, 비소 용탈은 토양내 치환성 칼륨($K^+$), 중금속인 니켈(Ni), 망간(Mn), 철(Fe), 크롬(Cr), 구리(Cu) 함량의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 연구 결과들 간에, 그리고 기존 연구결과들 간에도 토양 특성과 방부제 유효성분 용탈율 간의 관계가 서로 상이하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또한 실험실 규모의 용탈시험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수분 조건과 토양 미생물의 종류와 분포가 상이한 실제 야외 지접부 환경에서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Toward high recovery and selective leaching of zinc from electric arc furnace dust with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 Lee, Han Saem;Park, Da So Mi;Hwang, Yuhoon;Ha, Jong Gil;Shin, Hyung Sa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35-344
    • /
    • 2020
  • This work describes highly efficient recovery and selective leaching of Zn from electric arc furnace dust (EAFD) with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duced by acid leaching at ambient conditions. The chemical compositions, mineralogical phases, and particle sizes of the EAFD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effects of leaching time, liquid/solid ratio, acid type, and acid concentration on the selective leaching of Zn were also studied. The EAFD with high Fe/Zn ratio (> 1, EAFD3) was richer in ZnFe2O4 and exhibited larger particle size than samples with low Fe/Zn ratio (< 1, EAFD1,2). ANOVA analysis revealed that the Fe/Zn ratios of the EAFDs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Zn extraction (p < 0.005). Selective leaching of Zn with minimum Fe dissolution was obtained at pH > 4.5, regardless of other parameters or sample properties. The maximum Zn extraction rate obtained by the pH control was over 97% for EAFD1 and EAFD2, 76% for EAFD3, and 80% for EAFD4. The present results confirm that the Fe/Zn ratio can be used to identify EAFDs that permits facile and high-yield Zn recovery, and pH can be used as a process control factor for selective leaching of Zn regardless of any differences in the properties of the EAFD sample.

폐(廢)리튬이온전지(電池) 양극활물질(陽極活物質)에서 유기산(有機廳)을 이용(利用)한 코발트 및 리튬의 화학적(化學的) 침출(浸出) (Chemical Leaching of Cobalt and Lithium from the Cathode Active Materials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by Organic Acid)

  • 안재우;안효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4호
    • /
    • pp.65-70
    • /
    • 2011
  • 페리튬이온전지 양극활물질인 $LiCoO_2$로부터 코발트와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환경친화적인 유기산을 이용하여 코발트와 리튬의 침출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실험 변수로는 유기산 종류 및 농도, 과산화수소 농도, 반응 시간 및 온도 그리고 고액농도비 등 코발트와 리튬의 침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하여 고찰하여 최적 조건을 얻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사용한 유기산중에서 Latic acid가 코발트 및 리튬의 침출율이 99.9%로 가장 우수 하였다. 한편, 구연산을 이용하여 창출 실험한 결과에서 과산화수소의 농도, citric acid의 농도 및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코발트 및 리튬의 침출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액농도비가 증가함에 따라 침출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논 토양성분(土壤成分)의 용탈(溶脫)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논 토양(土壤) 화학성분(化學成分)의 용탈(溶脫)에 미치는 볏짚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Leaching of the Constituents in Paddy Soil -III. Effects of Rice Straw on the Leaching of the Constituents in Paddy Soil)

  • 김광식;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1-317
    • /
    • 1983
  • 논토양성분(土壤成分)의 용탈(溶脫)에 미치는 볏짚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논토양(土壤)에 볏짚을 시용(施用)하고 투수조건하(透水條件下)에서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하면서 침투수중(浸透水中) 용탈성분(溶脫成分)을 분석(分析)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석회(石灰)와 고토(苦土)의 용탈(溶脫)은 초기(初期)에는 볏짚시용(施用)의 영향(影響)을 받았고 후기(後期)에는 수도근(水稻根)의 영향(影響)을 받았으며 철(鐵)과 망간의 초기용탈(初期溶脫)은 볏짚시용(施用)에 의(依)한 토양환원(土壤還元) 발달(發達)의 영향(影響)을 받았으나 후기(後期)에는 수도근(水稻根)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아 증대(增大)되었다. 칼리, $NH_4-N$, 염소(鹽素) 등(等)의 용탈(溶脫)은 볏짚시용(施用)의 영향(影響)이 크지 않았으며 $CO_2$의 용탈(溶脫)은 볏짚의 영향(影響)을 받아 증대(增大)되고 동시(同時)에 수도근(水稻根)의 영향(影響)이 컸다. 침투수중(浸透水中) 용탈(溶脫)되는 양(陽)이온과 음(陰)이온의 양(量)은 대체로 같은 당량비(當量比)였으며 양(陽)이온은 석회(石灰)와 고토(苦土), 철(鐵), 음(陰)이온은 $HCO_3{^-}$$SO_4{^{-2}}$이 중요(重要)한 용탈성분(溶脫成分)이었다.

  • PDF

석탄회 블록의 해양환경에서 역학적-화학적 안정성 평가 (Assessment on the Mechanical-Chemical Stabilities of Coal Ash Blocks in Sea Water)

  • 김필근;성규열;박맹언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4호
    • /
    • pp.383-392
    • /
    • 2008
  • 어장환경 개선을 위해 해양에 투여되는 석탄회 블록의 역학적-화학적인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해수에 침적한 석탄회 블록의 표면은 신선한 석탄회 블록 표면에 비해 칼슘함량은 감소하고 마그네슘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는 해수 중의 마그네슘이 블록 표면의 칼슘과 치환하여 미량의 반응물을 생성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12개월 동안 해수에 침적한 석탄회 블록들의 일축압축강도는 $235.23-447.43\;kgf/cm^2$의 범위로서, 항만콘크리트 공사 시 적용하는 소파(消波)블록의 설계기준강도($180\;kgf/cm^2$)보다도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블록의 압축강도는 해수에 침적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국내 표준 용출시험법(KSLT: Korean Standard Leaching Test)에 의한 석탄회 블록의 용출실험 결과, 크롬의 용출농도는 해역별 수질등급 기준(50 ppb)과 동일한 값을 보였으나, 다른 중금속(비소, 카드뮴, 구리, 납 및 아연)은 기준 값 이하로 용출되었다. 장기간(112일) 중금속 용출시험결과를 해역별 수질등급기준과 비교하면, 혼합-희석이 없는 해수조건에서 수행된 장기간(112일)의 중금속 용출실험 결과에서도 혐기성환 경의 구리를 제외한 모든 중금속들의 용출량은 해역별 수질등급기준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구리의 용출량은 실제해양환경에서 해수의 희석으로 인해 안전할 것이다. 따라서, 석탄회 블록은 실제 해양환경에서 역학적화학적으로 안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석탄회 상호작용에 의한 미량원소 용출특성:Batch 실험연구

  • 박성민;김강주;황갑수;김진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95-298
    • /
    • 2004
  • It was revealed that leaching of elements were partly inhibited because seawater contains plenty of dissolved ions than fresh water. On the other hands, the low activity coefficient and the formation of complex with chloride and sulfate play roles in enhancing element leachability. However, the pH buffaring capacity of seawat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makes the leaching of elements and its chemical behavior in the seawater system different from those in the fresh water environments. In general, the leaching from the weathered ash was smaller than that from the fresh ash.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leaching of Si, Fe, Al, Mn, phosphate, and some other elements were independent of ash weathering. They were dependant only on the pH of the solu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