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ck dam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토사유출에 따른 무주지역 사방댐의 안전성 평가 (Safety estimation of check dam in Muju region according to debris yield)

  • 권혁재;김형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915-92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무주군 산지 유역의 사방댐 4개소를 대상으로 용량초과확률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사방댐 설계의 적정성과 산불피해에 따른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용량초과확률을 산정하기 위한 신뢰성 모형을 구축하였고 토사유출량 산정에는 MSDPM을 사용하였다. 재현기간(10년, 50년, 100년, 200년)별 강우강도를 사용하여 사방댐의 용량초과확률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무주군 삼가리 유역의 사방댐 1개소와 증산리 유역의 사방댐 1개소는 과대설계 되었다고 판단되며 각각 사방댐의 용량을 61%, 47% 축소해도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산불피해면적에 대한 사방댐의 용량초과 확률을 산정해 비교분석 하였으며 연구대상 유역에서 산불로 인한 영향이 가장 큰 곳은 삼가리 유역의 사방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림유역의 만사 사방댐에 의한 토사유출 조절 효과 추정 (Estimation of Sediment Discharge Controlled by Sediment-filled Check-dam in a Forested Catchment)

  • 서정일;전근우;송동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21-329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2006년 집중호우 시 산사태 및 토석류가 발생한 강원도 인제군의 기룡산 유역을 대상으로 사면붕괴 및 계상변동을 추정하여 만사 상태에 도달한 불투과형 사방댐이 토사유출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방댐의 설계 및 준설기준을 고도화하는 데에 필요한 새로운 인자를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방댐은 계획평형기울기 구간과 계획홍수기울기 구간에서 각각 토사유출의 억제와 조절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연구대상유역에 시공된 불투과형 사방댐은 계획억제토사량에 해당하는 저사량이 $2,111m^3$로 설계되었지만, 2006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지교란 발생 시에는 해당 사방댐 직상부로부터 250 m의 계류구간에 걸쳐 $3,996m^3$의 유출토사를 조절한 것으로 관측되었다. 결과적으로 해당 사방댐은 유출토사 억제를 위한 계획억제토사량보다 큰 규모의 계획조절토사량을 나타내어 만사된 이후에도 유출토사의 조절이라는 사방댐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사방댐의 토사유출 조절기능은 토사유출 억제기능과 구분하여 평가하여야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현지에서 유역 특성을 실측한 자료를 기반으로 한 계획억제토사량 또는 계획조절토사량을 사방댐의 설계 및 준설기준 인자로서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합리적인 사방댐의 설계 및 유지관리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사방댐의 토사유출 억제기능과 조절기능을 정량적으로 해석한 현장자료가 축적되어야 하며, 이는 우리의 사방기술이 보다 객관적이고도 체계적인 면모를 갖춘 과학적 기술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일 것이다.

국내 다목적 댐의 저사댐 설치에 따른 퇴사저감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Sediment Reduction Effect by Installing Check Dams at Domestic Multi-Purpose Dams)

  • 최계운;김광남;한만신;윤용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83-1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내 퇴사저감을 위하여 댐 상류에 저사댐을 설치하여 퇴적토를 포착하는 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국내 10개 다목적댐 유역을 대상으로 저사댐을 설치할 경우의 퇴사 저감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 27개 설치지점의 퇴사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 다목적 댐 중 대청댐유역의 본류인 금강 지점의 저사댐 설치시 퇴사 저감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저사댐 설치에 따른 수명연장효과는 미설치시 수명보다 약 60%가 연장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저사댐 설치로 인한 퇴사 저감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역면적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유역면적비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저사댐 도입시 기대 퇴사저감 효과 산정이나 설치위치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방시설의 안전점검에 관한 연구(I) - 강원지역의 사방댐 점검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afety Inspection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I): In Case of Check Dams Located in the Gangwon Region)

  • 이진호;전근우;이상명;박주환;김봉기;김석우;서정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226-236
    • /
    • 2013
  • Recently check dam construction number have been increased by becoming known that effectiveness in the control of the landslide and debris flow. However, check dam management standards are not setting ye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by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check dam management and inspection in the Gangwondo.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safety inspection on the 274 check dams, which are located in mountain streams, Gangwondo, Republic of Korea. 1. It was determined that, of 274 check dams inspected, 267 check dams (97.4%) generally had a safe condition but 7 check dams (2.6%) had a bad condition that repair and/or complementary measures are required. 2. The check dams with a bad condition had the ages greater than approximately 20 years. This result should be reflected to future stream management strategy including a timing of the specific inspection for durability of check dams. 3. Our finding suggests that the safety inspection of check dams is abl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quired to maintain their own functions, and thus it should be widely applied to stream management strategy against to sediment-related disasters in the future.

RUSLE 모형으로 토사유실에 따른 사방댐 적정성 분석 (Analysis of the Adequacy Check Dam according to Soil Loss using RUSLE)

  • 최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15-524
    • /
    • 2016
  • 산사태와 같은 피해는 집중 호우 등의 자연현상에 원인이 있다. 적절한 대응책으로는 사방댐 설치와 계류보전 등의 방식을 사용한다. 사방댐은 산비탈 붕괴지의 골이나 이에 접속된 계류의 최상류부에 설치하는 소규모의 댐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가 난 후에 추가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사방댐이 설치된 지역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사방댐 최적지 분석을 위한 기존에 설치된 사방댐을 중심으로 접근성과 규모 등을 고려하여 GIS로 토사유실량을 검토하였다. RUSLE 모형으로 연구대상유역의 토사유실량을 검토한 결과 유역 I에서는 약 2%정도의 토양유실 감소효과가 있었고, 유역 II에서는 1% 미만의 토양유실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역 III에서는 5% 대의 토사유실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력식댐의 지진시 안전검토에 대한 뉴 패러다임 (New Paradigm on the Safety Check of Concrete Gravity Dams at Earthquake)

  • 배정주;김용곤;이지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6-92
    • /
    • 2009
  • In the safety check of gravity dams at earthquake, there have been two types of analysis conducted simultaneously; one is stability analysis and the other stress analysis. But those are essentially the same calculation other than the former considers the dams rigid, while the latter considers the dams' dynamic characteristics which results in the amplification of response acceleration on the upper part of dam body. In this paper, the identity of those two methods is verified by example calculation in terms of stability check of gravity dam. It can be concluded that if stress analysis were performed, stability check of gravity dam could be accomplished with the results from stress analysis, removing unnecessary present dual calculation practice.

공공 빅데이터 플랫폼 '혜안'을 통한 산사태 및 사방댐 인식 분석 (A Study on Public Awareness of Landslide and Check Dam Using the Big Data Platform 'Hyean')

  • 박소희;강민정;유송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687-698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빅데이터 플랫폼 '혜안'을 사용하여 2015년에서 2020년 사이의 산사태와 사방댐에 대한 언론 및 대중의 인식을 파악하고 방재 분야에서 '혜안'의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빅데이터 플랫폼 '혜안'의 키워드 검색을 사용하여 2015~2020년의 '산사태'와 '사방댐'에 대한 검색 총량 및 시기에 따른 매체별 검색어 출현 횟수, 그리고 긍·부정 추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산사태에 비해 사방댐에 대한 인식이 현저하게 부족하며, 사방댐에 대한 언론보도와 트위터 및 블로그에서 나타나는 대중의 인식 수준 사이에 현저한 괴리가 나타난다. 산사태의 실제 발생 시기에 따라 극명하게 관심이 나타나는 '산사태'와 달리 '사방댐'에 대한 자료는 산사태의 실제 발생 시기와 시기적 연관성이 낮다. 사방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유추되지만 '혜안'으로는 재난 방지책에 대한 정확한 통계적 긍·부정 인식 확인이 어렵다. 결론: 전문가들이 사방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에 비해 산사태에 대한 효과적인 방지책으로서의 사방댐에 대한 대중인식은 매우 저조하므로 사방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추후 다양한 SNS 플랫폼에 대해 추가적인 빅데이터 조사와 함께 방재사업의 직접적 영향권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현장 설문조사가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혜안'을 사용한 방재 분야의 효과적인 인식 파악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지자체/정부적 정책 수립에는 신중을 기해야할 것이다.

Kanako-2D를 이용한 사방댐 위치 변화에 따른 토석류 피해지 분석 (Analysis of Debris Flow Disaster Area according to Location Change of Check Dam using Kanako-2D)

  • 김영환;전계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8-134
    • /
    • 2018
  • With the increase in frequency of typhoons and heavy rains following the climate change, the scale of damage from the calamities in the mountainous areas has been growing larger and large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st. For the case of Korea where 64% of land is consisted of the mountainous areas, establishment of the check dams has been drastically increased after 2000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s from the debris flow. However, due to the lack of data on scale, location and kind of check dams established for reducing the damages in debris flow, the measures to prevent damages based on experience and subjective basis have to be relied on. Under this study, the high-precision DEM data was structured by using the terrestrial LiDAR in the Jecheon area where the debris flow damage occurred in July 2009. And, from the numerical models of the debris flow, Kanako-2D that is available to reflect the erosion and deposition action was applied to install the erosion control facilities (water channel, check dam) and analyz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debris flow shown in the downstream.After installing the erosion control facilities, most of debris flow moves along the water channel to reduce the area to expand the debris flow, and after installing the check dam, the flow depth and flux of the debris flow were reduced along with the erosion.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usion area, flow depth, erosion and deposition volume of the debris flow generated from the deposition part after modifying the location of the check dams with the damages occurring on private residences and agricultural land located on the upstream area, the highest reduction effect was shown when the check dam is installed in the maximal discharge points.

IMPROVING HABITAT OF FORMOSAN LANDLOCKED SALMON BY DAM REMOVAL

  • Yeh, Chao-Hsien;Lien, Hui-Pang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6권4호
    • /
    • pp.149-159
    • /
    • 2005
  • With increasing recognition on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in Taiwan, one of the major conservation projects is the habitat restoration of Formosan Landlocked Salmon which is major threatened by check dams in the channel for their blockading pathway to upstream and causing the problems of population isolation and close-blood mating. By creating an opening in the central dam body appropriately, partial removal dams can provide pathway for the fish for the better upstream channel habitat. Four check dams at Gau-Shan Creek were remodeled between April of 1999 and September of 2002 with information supported from model experiments under certain hydraulic condition of field environment. Based on the follow-up investigation, the channel morphology of observation sections is in stable condition and the total number of Formosan Landlocked Salmon in this creek increased promptly at the reach containing partial-removed dams.

  • PDF

사방댐 위치 및 규모 결정을 위한 토석류 토사유출량 예측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n Prediction Algorithm of Sediment Discharge by Debris Flow for Decision of Location and Scale of the Check Dam)

  • 김기대;우충식;이창우;서준표;강민정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86-593
    • /
    • 2020
  • 연구목적: 이 연구는 토석류로 발생하는 토사유출량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GIS 기반 사방댐 적정배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평균 계류 폭과 길이를 이용한 누적 토사유출량 예측 방법에 초기 붕괴량과 이에 영향하는 집수길이를 입력인자로 활용하여 토석류로 인해 발생하는 누적 토사유출량 예측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된 예측 토사유출량과 실제 토사유출량은 평균 1.1배 차이가 나타나 정확도는 비교적 높았다. 또한 구현된 프로그램은 사방댐의 위치 및 규모를 결정하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실무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결론: 사방사업이 매년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합리적인 사방댐 위치 및 규모 결정을 통해 산지토사재해 방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