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t contras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3초

시력 단계별 시표 식별 최소조도 및 대비도와 조도에 따른 시표 식별능력의 차이 (Minimal Illumination to Identify the Chart in Each Visual Acuity and Deviation of Identification Capability According to Illumination and Chart Contrast)

  • 김상엽;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49-554
    • /
    • 2013
  • 목적: 소수시력 단계별 시표 식별 최소조도와 대비도와 조도에 따른 개인별 시표 식별능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소수시력 단계별 10단계의 대비도로 구분되는 검사거리 3 m용 란돌트시표를 제작하였다. 69안을 대상으로 대비도 100% 시표를 사용하여 시력 단계별 식별 최소조도를 측정하였다. 시력단계별 식별 최소조도와 230 lx 상태에서 각각 식별할 수 있는 최저 시표 대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소수시력 단계별로 대비도 100% 시표를 식별하는 최소조도는 시표크기가 작아질수록 더 높게 측정되었다. 시력 1.0을 식별하는 평균 조도는 $74.39{\pm}25.90$ lx, 69안의 측정 범위는 17~107 lx 였다. 최소조도 상태와 230 lx 상태에서 식별가능한 최저 시표 대비도를 측정한 결과, 두 조건 모두에서 시표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최저 대비도는 높아졌으며, 69안 간의 식별 최저 시표 대비도 차이도 증가되었다. 결론: 굴절교정을 위한 검사에서 조명조건이나 대비도에 따른 개인별 시표 식별능력 차이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경사모세관법에 의한 우의 적혈구침강 속도에 미치는 환경온도의 영향 (Effect of Ambient Temperature on Bovin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s Measured by Angled Capillary Method)

  • 김경진;이방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5-401
    • /
    • 1987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mbient temperature on the 45$^{\circ}$micro ESR/hr of cattle blood were observed, and a correction chart for correcting observed values at any ambient temperature to standard values at 20$^{\circ}C$ was plotted. Besides,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f blood on the 45$^{\circ}$micro ESR/hr was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values of the 45$^{\circ}$micro ESR/hr were increased as the ambient temperature were elevated(P<0.01), and lower the value of PCV, higher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45$^{\circ}$micro ESR/hr was observed(P<0.01). 2. Regression of values of 45$^{\circ}$micro ESR to ambient temperature in all the group of different level of blood PCV showed linear regression with the highly significant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the results, correction chart was drawn as in Fig. 1. 3. In the purpose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correction chart, observed values of 45$^{\circ}$micro ESR/hr in field(out door) were corrected to values at 20$^{\circ}C$ by the correction chart(Fig. 1), comparing with the observed values at 20$^{\circ}C$ of standard temperatu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mentioned above. 4. In the study on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f the blood on the 45$^{\circ}$micro ESR/hr, group of storage temperature at 5$^{\circ}C$ showed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untill 24 hours in contrast with standard control group.

  • PDF

눈의 공간주파수와 대비 민감도 함수(CSF) 특성에 대한 연구 (Contrast Sensitivity as a Function of Spatial Frequency for 12 Year Old Child-Eye)

  • 김용근;박상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3-68
    • /
    • 1999
  • 공간주파수에 따른 contrast sensitivity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차트를 제작하기 위해 차트 화면 최대 luminance값을 100%로 하여, 격자주파수의 mean luminance를 25, 50, 75%의 3개형태로 만들어 CS값 0 에서 $10^3$ 값이 되도록 하였다. 초등학생 5학년을 대상으로 공간주파수에 따른 CS값의 측정결과 평균 luminance 값이 떨어질수록 CS값은 감소되고, peak 위치도 low spatial frequency 쪽으로 이동하였다. 약시인 사람은 고주파수쪽에서 CS가 감소하거나, 전체주파수 공간에서 CS값이 감소하였다. 격자순응에 의해 CS 측정값은 순응된 공간주파수의 주변 영역에서 CS가 감소된다.

  • PDF

명소시 상태에서 휘도 감소에 따른 대비감도 변화 (Changes of Contrast Sensitivity with Decreasing Luminance in Photopic Conditions)

  • 이은진;윤문주;김수현;양계탁;정주현;김현정;김현일;최은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1-417
    • /
    • 2012
  • 목적: 명소시 상태에서 휘도의 감소에 따른 대비감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FACT 시표를 이용하여 명소시 5단계의 휘도 하에서 63명의 대학생에 대한 대비감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측정된 대비감도는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40~10cd/m^2$에서 대비감도의 정점이 6 cpd에서 3 cpd로 이동하는 것으로 관측되었고, 6 cpd와 3 cpd에 대한 가상적인 두 대비감도 직선들의 교점으로부터 정점은 약 $25cd/m^2$일때 6 cpd에서 3 cpd로 이동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휘도가 $120cd/m^2$에서 $10cd/m^2$으로 감소하는 동안, 6 cpd에서 대비감도 손실이 가장 컸지만, 1.5 cpd에서의 대비감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근사적으로 평가된 $25cd/m^2$ 이상의 휘도에서 대비감도는 18<12<1.5<3<6 cpd의 순으로 높았지만, $25cd/m^2$이하의 휘도에서는 18<12<1.5<6<3 cpd의 순으로 높았다. 휘도의 감소에 따른 대비감도의 손실을 대비감도 감소량 및 감소율로도 평가하였다. 대비감도 감소량은 6 cpd에서 가장 컸지만, 감소율은 18 cpd에서 가장 컸다. 결론: 본 연구에서 활용된 평가법이 대비감도 변화를 평가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색렌즈의 광투과율에 따른 대비감도 변화 (Changes of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Light Transmittance of Color Lenses)

  • 이선행;이윤정;조현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427-3433
    • /
    • 2009
  • 본 연구는 착색렌즈의 광투과율에 따른 명소시 대비감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색렌즈를 착용할 때 색상에 따른 적절한 광투과율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상 시기능을 가진 남자 24명과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광투과율 80~90%, 60~80%, 43~60%, 30~43%로 착색된 4개의 색렌즈(회색, 갈색, 적색, 녹색)를 순서대로 착용시키고 F.A.C.T. 시표를 이용하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광투과율이 감소될수록 대비감도는 감소되었고, 시감도는 갈색이 가장 높고 적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비감도 검사결과를 고려한 색상별 권장 광투과율은 갈색, 회색과 녹색 38% 이상, 적색 52%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일상생활에서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색렌즈를 선택할 때 색상과 그 색상에 적절한 광투과율이 고려되어야 한다.

광학적으로 유발된 망막흐림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와 인식 대비도의 변화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Decrease of Visual Acuity and the Change in Contrast Threshold According to the Level of Optically Induced Retinal Defocus)

  • 김상엽;문병연;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3-98
    • /
    • 2014
  • 목적: 광학적으로 유발된 망막흐림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와 대비도의 변화에 따른 개인차를 알아보았다. 방법: 전체 69안을 대상으로 소수시력 각 단계별로 10단계의 다른 대비도로 구성된 시표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굴절이상을 완전교정한 후 눈 앞에 +0.25 D씩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망막흐림을 유발한 다음 각 시표에 대한 단안시력과 인식대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유발된 망막상의 흐림이 증가됨에 따라 시력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0.25 D 부가하여 유발된 망막흐림에서 시력저하의 개인차는 1.2~0.6의 범위로 나타났다. +0.50 D와 +0.75 D 부가되었을 경우 각각 1.0~0.3과 0.9~0.1 범위의 개인차를 보였다. +1.00 D가 부가되었을 때 일부 0.1 시표를 인식하지 못하는 대상안이 나타났고, +1.75 D 부가된 경우 모든 대상안들이 0.1 시표를 인식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망막흐림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인식 대비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최종적인 굴절이상 교정값을 결정할 때 잔여굴절이상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아이섀도우 메이크업(Eye-shadow Makeup)의 컬러 배색에 관한 연구 - 켄드라 스탠튼(Kendra Stanton)의 "내추럴(Daytime to Night)", "스페셜(Special Occasion)", "할러데이(Holiday Accents)", "시즌(Seasonal Looks)", "캐릭터(Animated Characters)" 메이크업 경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or Coordination of Eye-shadow Makeup - Focused on Works of Kendra Stanton in Makeup of 'Daytime to Night', 'Special Occasion', 'Holiday Accents', 'Seasonal Looks' and 'Animated Characters' -)

  • 지현숙;김은실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9-51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ortant guidelines for effective eye-shadow color coordination according to T.P.O. such as 'Day time to Night', 'Special Occasions', 'Holiday Accents', 'Seasonal Looks' and 'Animated Characters'. The method is as follows; This study examined the 100 works of her published in the?500 EYE MAKEUP DESIGNS?. For this research analysis, three specialists selected a total of 100 photo-works through 3 rounds of evaluation. This stud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ors and tones of eye-shadows identified under Munsell's basic color chart.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ay time to Night' was found to have similarity coloration most frequently, presenting a more stable look in the Natural makeup. Second, 'Special Occasions' showed similarity, accent, and complex colorations mainly. Third, 'Holiday Accents' showed diverse types of colorations such as accent, complex, similarity and contrast. Forth, 'Seasonal Looks' was found to use a variety of colorations including similarity, contrast, accent, gradation and complex. Fifth, 'Animated Characters' showed contrast coloration the most for dramatic effect along with accent and complex colorations to give a unique and symbolic look. The color scheme database(DB) obtained in this study will be present important guidelines for future in eye-shadow makeup design.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 단초점렌즈의 근거리 대비감도 비교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at Near Between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and Sigle Vision Lenses)

  • 김창진;김현정;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1-388
    • /
    • 2010
  • 목적: 단초점렌즈를 착용했던 노안 이전의 젊은 사람에게 낮은 가입도로 설계된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2개월동안 교체 착용하게 하여 기존의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와의 근거리 시각적 능력을 평가하는 대비감도 검사를 비교 분석하여 임상적인 성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연령 24.03${\pm}$1.87세의 대학생 32명(남자 23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EYE-T, $Chemilens^{(R)}$ Co., Korea, 가입도 0.75D)를 2개월 동안 착용하게 하였다. 이때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 착용 직후(1차)와 착용 2개월 후 (2차)에 원, 근거리 교정시력 측정, 근거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기능성 누진가입도 렌즈 착용 전과 착용 2개월 후에 측정하여 비교한 근거리 대비감도는 모든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우안, 좌안, 양안 모두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근거리 대비감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 근거리에 관련된 시각적 능력과 질을 평가하는데 대비감도 검사가 유용하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Contrast reference values in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using an arch-form phantom stand

  • Shin, Jae-Myung;Lee, Chena;Kim, Jo-Eun;Huh, Kyung-Hoe;Yi, Won-Jin;Heo, Min-Suk;Choi, Soon-Chul;Lee, Sam-Su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3호
    • /
    • pp.203-21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ropriate contrast reference values (CRVs) by comparing the contrast in phantom and clinical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Phantom contrast was measured using two methods: (1) counting the number of visible pits of different depths in an aluminum plate, and (2) obtaining the contrast-to-noise ratio (CNR) for 5 tissue-equivalent materials (porcelain, aluminum,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oxymethylene [POM],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Four panoramic radiographs of the contrast phantom, embedded in the 4 different regions of the arch-form stand, and 1 real skull phantom image were obtained, post-processed, and compared. The clinical image quality evaluation chart was used to obtain the cut-off values of the phantom CRV corresponding to the criterion of being adequate for diagnosis. Results: The CRVs were obtained using 4 aluminum pits in the incisor and premolar region, 5 aluminum pits in the molar region, and 2 aluminum pit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The CRVs obtained based on the CNR measured in the anterior region were: porcelain, 13.95; aluminum, 9.68; PTFE, 6.71; and POM, 1.79. The corresponding values in the premolar region were: porcelain, 14.22; aluminum, 8.82; PTFE, 5.95; and POM, 2.30. In the molar region, the following values were obtained: porcelain, 7.40; aluminum, 3.68; PTFE, 1.27; and POM, - 0.18. The CRVs for the TMJ region were: porcelain, 3.60; aluminum, 2.04; PTFE, 0.48; and POM, - 0.43. Conclusion: CRVs were determined for each part of the jaw using the CNR value and the number of pits observed in phantom images.

Clinical image quality evaluation for panoramic radiography in Korean dental clinics

  • Choi, Bo-Ram;Choi, Da-Hye;Huh, Kyung-Hoe;Yi, Won-Jin;Heo, Min-Suk;Choi, Soon-Chul;Bae, Kwang-Hak;Lee, Sam-Su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2권3호
    • /
    • pp.183-19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linical image quality of panoramic radiographs and to analyze the parameters that influence the overall image quality. Materials and Methods: Korean dental clinics were asked to provide three randomly selected panoramic radiographs. An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specialist evaluated those images using our self-developed Clinical Image Quality Evaluation Chart. Three evaluators classified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the panoramic radiographs and evaluated the causes of imaging errors. Results: A total of 297 panoramic radiographs were collected from 99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The mean of the scores according to the Clinical Image Quality Evaluation Chart was 79.9.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overall image quality, 17 images were deemed 'optimal for obtaining diagnostic information,' 153 were 'adequate for diagnosis,' 109 were 'poor but diagnosable,' and nine were 'unrecognizable and too poor for diagno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errors in all the images are as follows: 139 errors in the positioning, 135 in the processing, 50 from the radiographic unit, and 13 due to anatomic abnormality. Conclusion: Panoramic radiographs taken at local dental clinics generally have a normal or higher-level image quality. Principal factors affecting image quality were positioning of the patient and image density, sharpness, and contrast. Therefore, when images are taken, the patient position should be adjusted with great care. Also, standardizing objective criteria of image density, sharpness, and contrast is required to evaluate image quality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