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 structural feature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위상회전에 의한 필기체 한글의 자동인식 (Automatic Recognition of Hand-written Hangout by the Phase Rotation)

  • 이주근;김홍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30
    • /
    • 1976
  • 이 논문에서는 위상회전에 의한 오목구조의 짐출로서 필기체 한글을 인식하는 한 방법을 검토한다. 문자 Pattern를 오목구조적인 기본 Segment로 분해하여 집합으로 분류하고, 그들 집함에 대한 각 Segment의 폐상태와 위상특징을 logic으로 표현한다. 다음 그들 logic pattern의 위상회전으로서 오목구조의 topological성질과 위상특징을 검출하여 문자를 결정한다. 이 방법은 필기체의 변화와 문자의 대소, 경사 띤 위치 변위에 대한 식별의 유연성을 가지며, 인식율이 높다.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for the recognition of hand-written Hangeul. This is peiformed by extraction of the concave structural segments by phase rotation. Character patterns can be decomposed into the fundamental concave structural segments which are also categorized into segment sects, and the closure and phase features of each segment in set is represented by logics. By rotating the logic pattern, the topological and phase features of segment are extracted for the reliable recognition of the character. It is also evaluated that this method applies to a wide variety of shape, position and declination of the character.

  • PDF

자연영상에서 한글 및 영문자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문자영역 검출 (Character Region Detection Using Structural Features of Hangul & English Characters in Natural Image)

  • 오명관;박종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18-1723
    • /
    • 2014
  • 본 논문은 한글 및 영문자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자연영상에서 문자영역을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자연 영상에서 에지 특징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값은 필터링을 수행하여 문자의 특징에 맞지 않는 특징 값을 제거하여 문자영역 후보를 선정한다. 선정된 문자영역 후보는 한글 자소 병합 알고리즘으로 하나의 문자로 병합하여 후보 문자영역으로 검출하고, 한글 문자 유형 판별 알고리즘으로 한글 문자영역 여부를 판별함으로서 한글 문자영역을 검출하고, 영문자는 영문자 에지 특징 값을 적용하여 영문자 영역을 검출한다. 실험결과, 복잡한 배경을 갖고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한글 및 영문자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고, 제안한 문자영역 검출 방법은 향상된 검출 결과를 보여 주었다.

한글 모음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문자영역 검출 기법 (Character Region Detection Using Structural Features of Hangul Vowel)

  • 박종천;이근왕;박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72-877
    • /
    • 2012
  • 본 논문은 한글 모음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자연영상에 포함된 한글 문자영역을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자연 영상을 명도영상으로 변환하고 에지 및 연결요소 기반 방법으로 특징값을 추출하며, 추출된 특징값은 필터링을 수행하여 한글 문자의 특징에 맞지 않는 특징값을 제거하여 한글 문자영역 병합을 위한 후보를 선정한다. 선정된 후보 특징값은 한글 자소 병합 알고리즘으로 하나의 문자로 병합하여 후보 문자영역으로 검출하고, 한글 문자 유형 판별 알고리즘으로 한글 문자영역 여부를 판별함으로서 최종적인 한글 문자영역을 검출한다. 실험결과, 복잡한 배경을 갖고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한글 문자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고, 제안한 문자영역 검출 방법은 향상된 검출 결과를 보여 주었다.

금융 장표 자동 처리를 위한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ecognition System for Automatic Giro Processing)

  • 황재원;이만희;장동식
    • 산업공학
    • /
    • 제13권2호
    • /
    • pp.188-194
    • /
    • 2000
  • A pattern recognition system is proposed to recognize characters in any type of Giro. The system consist of the character segmentation and the character recognition. Positional features from two round markers at the upper-right part and lower-left part of Giro is used for extracting character strings from images and RLE analysis is used if there are no round markers. A multi step combined method, which use a structural method and a statistical method, is used to improve recognition. The structural method apply rules on each characters, whereas a statistical method gives a different weighting vector to each pixel for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regard to noises and distor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mbined method has higher recognition rate, over than 98% even in cases that images are rotated about 10 degrees as well as have noises.

  • PDF

다양한 배경에서 히스토그램과 한글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문자 검출 방법 (Hangeul detection method based on histogram and character structure in natural image)

  • 표성국;박영수;이강성;이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5-2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자음과 모음이 분리되어 검출되는 한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히스토그램과 자음, 모음 문자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한글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한글 검출 과정에서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DoG(Difference of Gaussian)을 이용하여 배경을 제거하였다. 배경이 제거된 이미지에서 누적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위해 이진화 이미지로 변환하였다. 그 후 수평 누적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문자열 위치를 찾고, 찾은 문자열 이미지에서 수직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문자 결합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가', '라' '귀' 와 같이 자음 모음이 수평으로 존재하는 단어는 하나의 문자로 결합이 어렵기 때문에 문자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결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알파벳으로 구성된 이미지, 한글로 구성된 이미지, 알파벳과 한글이 혼합된 이미지를 가지고 실험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K-means와 MSER 문자 검출 방법이랑 비교했을 때 알파벳 검출률은 2%정도 낮지만 한글이 포함된 문자 검출 방면에서는 90.6%로 약 5%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

필기체 한글의 오프라인 인식을 위한 획 정합 방법 (A Stroke Matching Method for the Off-line Recognition of Handprinted Hangul)

  • 김기철;김영식;이성환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6호
    • /
    • pp.76-85
    • /
    • 199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roke matching method for the off-line recognition of handprinted Hangul. In this method, the preprocessing steps such as position normalization, contour tracing and thinning are carried out first. Then, after extracting features such as the firection component distribution of contour, the direction component distribution of skeleton, and the distribution of structural feature points, strokes are extracted and matched based on the midpont distribution of the direction and the length of each stroke. In order to reduce the recognition time, a preliminary classification based on the direction component distribution features of the contour is performed. In order to do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s with 520 most frequently used Hangul were performed, and 90.7% of correct recognition rate and 0.46second of recognition time per one character has been obtained. This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bsorb effectively the noise in input character and the variations of stroke slant.

  • PDF

문자-에지 맵의 패턴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자연이미지에세 텍스트 영역 추출 (Text Region Extraction Using Pattern Histogram of Character-Edge Map in Natural Images)

  • 박종천;황동국;이우람;전병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67-1174
    • /
    • 2006
  • 자연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영역 추출은 자동차 번호판 인식 등과 같은 많은 응용프로그램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자-에지 맵의 패턴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16종류의 에지맵을 생성하고, 이것을 조합하여 문자 특징을 갖는 8종류 문자-에지 맵 특징을 추출한다. 문자-에지 맵의 특징을 이용하여 텍스트 후보 영역을 추출하고, 텍스트 후보 영역에 대한 검증은 문자-에지 맵의 패턴 히스토그램 및 텍스트 영역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은 복잡한 배경, 다양한 글꼴, 다양한 텍스트 컬러로 구성된 자연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영역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였다.

  • PDF

다중 인식기 및 검증기를 갖는 거버문자 인식 시스템 (A Gerber-Character Recognition System with Multiple Recognizers and a Verifier)

  • 오혜원;박태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0-27
    • /
    • 2004
  • 인쇄회로기판 제작에 사용되는 국제표준규격의 거버 파일로부터 부품 위치 이름을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문자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거버 파일은 벡터형식의 그림파일로서, 각종도형 및 기호가 문자와 혼합되어 있으며,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및 역 세로쓰기가 병용된다. 거버문자인식 시스템은 거버 파일에서 문자패턴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전 처리 단계와 추출된 패턴을 인식하는 인식단계 및 인식된 문자와 숫자를 조합하여 부품위치이름을 구성하는 후 처리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인식률 향상을 위하여 신경회로망에 의한 다중인식기 및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검증기를 개발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거버문자 인식시스템은 인쇄회로기판 조립 및 검사 장비를 위한 자동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사용되어, 전자제품 제조시스템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인쇄체 한글 및 한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nted Korean and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 김정우;이세행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175-1184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한자를 포함하는 한글 문서 인식을 위한 인쇄체 한글, 한자의 구분과 인식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안된 한글, 한자 구분 방법은 한글의 수직모음과 수평모음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였다. 한글은 6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 형태에 대하여 세선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모음 우선추출에 의한 자모분리를 행하고 분리된 자음에 대하여 변형된 교차거리 특징을 이용하여 인식하였다. 한자에 대해서는 획교차수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전체 한자 대상문자에 대해 분류를 하였으며, 문자의 획교차수와 흑점비율 특징을 이용하여 인식하였다. 한글과 한자의 구분에서는 90.5%의 분류율을 얻었다. 한글인식에 있어서는 대상문자 명조체 2512자에 대하여 90.0%의 형태 분류율을 얻었다. 인식 결과 실험 데이타 1278자에 대하여 92.2%의 인식율을 얻었다. 한자인식에 있어서는 대상문자 4585자에 대하여 분류한 결과 최대밀집 구간은 124자로서 약 1/40 정도로 분류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인식실험 결과 89.2%의 인식율을 얻었다.

  • PDF

Online Recognition of Handwritten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 Ma, Ming;Park, Dong-Won;Kim, Soo Kyun;An, Syungo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8권4호
    • /
    • pp.653-668
    • /
    • 2012
  • In this study, an improved HMM based recognition model is proposed for online English and Korean handwritten characters. The pattern elements of the handwriting model are sub character strokes and ligatures. To deal with the problem of handwriting style variations, a modified Hierarchical Clustering approach is introduced to partition different writing styles into several classes. For each of the English letters and each primitive grapheme in Korean characters, one HMM that models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he handwriting is constructed based on each class. Then the HMMs of Korean graphemes are concatenated to form the Korean character models. The recognition of handwritten characters is implemented by a modified level building algorithm, which incorporates the Korean character combination rules within the efficient network search procedur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HMM based method, a post-processing procedure that takes the global and structural features into account is proposed. Experiments showed that the proposed recognition system achieved a high writer independent recognition rate on unconstrained samples of both English and Korean characters. The comparison with other schemes of HMM-based recognition was also performed to evaluate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