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 strength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8초

유아 놀이성에 대한 성격강점의 예측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Prediction Factors of Character Strengths on the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 탁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49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uster types according to the playfulness factors of young children and to predict the character strengths of young children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types of children's playfulness. Methods: Playfulness and character strength tests were administered to 237 young children. The playfulness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a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used to find the character strengths of young children that have a effect on the types of children's playfulness. Results: First, the children's playfulness groups were divided into a high playfulness group and a low playfulness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haracter strengths according to the children's playfulness cluster, and the high playfulness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in all character strengths. Third, the children's character strengths influencing the high playfulness group were vitality and positivity, self-regulation, self-esteem, and sensi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supporting these character strengths was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the playfulness of children in the education field.

성격 강점이 한우경영인들의 심리특성과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경남과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ork Ethics of Hanwoo Managers: Gyeongnam and Gyeongbuk Areas)

  • 백유미;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79-785
    • /
    • 2013
  •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ork ethics of Hanwoo managers, we selected 26 of the 50 managers who took part in this study to avoid unreliable response and non-description from the questionnaire. The cor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cronbach's ${\alpha}$ reliability with highest domain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character strengths (.938), followed by job satisfaction (.841), internal evaluation (.799), and external evaluation (.739). Second, for perception and attitude of Hanwoo management,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ternal evaluation (P<0.05) was observed. Management satisfaction showed higher for intermediate group and subgroup and lower satisfaction for the top group. Thir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P<0.05) in ten character strengths (curiosity, judgment, creativity, social intelligence, wisdom, honesty, optimism, responsibility, humor, and passion) according to group satisfaction. Ten character strengths were lower in creativity (7.14) and higher in responsibility (8.57) in comparison with other items for the top gro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aracter strengths are beneficial to improve Hanwoo management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ork ethics of managers.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격 강점, 정서지능, 학습몰입 비교 및 관계 분석 (Comparison of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 박문숙;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829-84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격 강점, 정서지능 및 학습몰입을 비교하고 관련성을 알아보며, 성격 강점과 정서지능, 학습몰입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학생이 성격 강점, 정서지능 및 학습몰입 전체에서 일반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간애는 두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핵심 덕목이었다. 영재학생은 겸손과 겸양에서는 일반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정서지능과 학습몰입 모든 하위영역에서 영재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 영재학생은 성격 강점과 정서지능, 성격 강점과 학습몰입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초등 영재학생의 성격 강점은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강점 척도를 기반으로 한 업무 유형에 따른 대표 강점 발현의 차이 (Difference of Expressed Character Strengths, the Type of Work : Classification as Per the Korean Strength Scale)

  • 김지은;권예지;나해란;이지은;노재흥;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0
    • /
    • 201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expressed character strengths graded as per the Korean Strength Scale, based on the type of work. Methods : A total of 2,444 conglomerate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1,356 office workers and 1,088 production workers. The subjects were examined through a web or mobile application based on the Korean Strength Scale. The Korean Strength Scale consists of a total of four top entries and 25 sub-items with appropriate validity. Results :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of sum of character strengths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In the office worker group, character strengths such as love of learning, creativity, perspective, curiosity, facilitation, judgment and faith had significantly high scores. On the other hands, modesty, hope, gratitude, sincerity, magnanimity and self-regulation were high in the production worker group. The results remained unchanged in additional analysis of covariants as sex, age and education level, except for self-regulation and faith.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between the two types of work; however, the average of sum of character strength score remains unchanged. These results may help to understand differences between work environments and thus help to establish a positive foundation.

  • PDF

사상체질에 따른 성격강점 차이연구 (A Study of Different Character Strengths in the Sasang Constitution)

  • 박현철;유경;김락형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9-4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sang Constitution character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One hundred fifty students of Woosuk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majors were Korean medicine, nursing science, and pharmacy. Their Sasang Constitutional types were determined using the results of a Two Step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TS-QSCD). The subjects were also tested by a Characteristic Strength Test (CST). The Character Strength test scores were compared to the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s using analysis of variances (ANOVA). Also, the five Signature Strengths presented to the subjects were measured as a percentage within Sasang Constitution Groups, and compared to the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s. Results and Conclusions: 1. In CST score: Soyang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aeeumin in creativity, curiosity, love, social intelligence, vitality, leadership,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and humor. Also, Soyang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oeumin in wisdom, kindness, bravery, and authenticity. 2. In CST score: Taeeum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oyangin in modesty. Taeeumin and Soeum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oyangin in prudence. 3. In the five signature strength analysis: Extrovert character strengths such as curiosity, vitality, social intelligence, bravery, and leadership, were higher in Soyangin. On the other hand, Introvert character strengths such as modesty, prudence, and self-regulation, were higher in Taeeumin and Soeumin. 4. In the five signature strength analysis: The signature strengths of Soyangin and Soeumin indicated a biased distribution. The signature strengths of Taeeumin indicated an even distribution.

융복합 시대에서 대학생의 성격강점(인간애) 및 자기통제력과 이타행동의 관계: 도덕적 고양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s(Humanity), Self-Control, and Altruistic Behavior in the Times of Convergence: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Elevation)

  • 장용희;김경자;이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45-4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시대에서 대학생의 성격강점(인간애) 및 자기통제력과 이타행동의 관계에서 도덕적 고양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청주에 소재한 C대학교 재학생 647명을 대상으로 네 가지 측정도구인 성격강점(인간애), 자기통제력, 도덕적 고양, 이타행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프로그램과 AMOS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CFI=.937, TLI=.917, RMSEA=.077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는 첫째, 성격강점(인간애)와 자기통제력은 이타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덕적 고양은 성격강점(인간애), 자기통제력과 이타행동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국 청소년의 부모양육방식, 성격강점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yles,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China)

  • ;안도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99-22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과 성격강점 및 학교적응 간의 상호관련성과 이들 변인들에 대한 성차를 살펴보고, 지각한 부모양육방식과 성격강점이 학교적응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중국 하남성 정주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재학생 총 378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부모양육방식과 성격강점 및 학교적응은 상호 유의미한 관련을 보였으며, 부모양육방식의 하위 요인인 '권위주의적' 요인과 성격강점의 하위 요인인 '용기' 요인 및 학교적응의 하위 요인인 '교우관계' 요인만이 유의미한 성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양육의 '권위주의적' 요인이 성격강점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성격강점을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부모양육의 '민주적' 요인이 성격강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성격강점을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교육 및 학교적응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중국 청소년을 이해하고 한국과 중국 간의 교육적 차원에서의 교류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의사소통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racter Strengths and Communication Type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김향수;김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00-708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의사소통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건강하고 원만한 학교생활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18년 5월 7일부터 5월 28일까지로 총 204부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지성적 성격강점과 감성적 성격강점, 의사소통유형 및 이성친구 유무를 예측변수로 대인관계만족도를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26.57,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대인관계만족도 총 변화량의 45%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강점에 관한 자기인식을 높이는 상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긍정심리기반 성격강점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농촌 독거노인의 우울, 활력,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and Character Strengths-integrated Activity Program on Depression, Vitality,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s)

  • 한상미;하영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9-30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ositive psychology-based and character strengths-integrated activity program for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reas, and the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 and post-te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The participants included 59 elders in total, of whom 30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to the control group. positive psychology-based and character strengths-integrated activity program for elders consists of sixty-minute sessions held twice per week during 6 weeks, hence 12 sessions in total.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depression, vitality and life satisfaction (all p<.001). Conclusion: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and character strengths-integrated activity program for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reas is effective in that it decreased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increased the vitalit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participants.

디자인과 경영 콘텐츠학습 태도를 기반으로 한 기업 경영자 교육의 효과 연구 (Effect of Design & Business Content Class on the Improvements of Learning Attitude for Corporate Learning Program)

  • 조윤형;이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5-165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자 교육 효율 재고를 위해 학습태도 모형을 실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분류된 학습자의 성격강점과 학습 친화력 강화와 학습태도 개선의 인과 관계를 검증하였다. 최근 기업들은 온 오프라인 경영자 재교육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려고 시도하고 있다. 연구자는 디자인과 경영분야 교과목을 접목하여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경영자 교육에 함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은 공히 학습자 성격강점이 친화력강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친화력강화도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학습태도 개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은 모두 학습자 성격강점이 학습태도 개선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친화력 강화 변인이 매개변수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