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 making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8초

DGPS와 Motion Sensor를 이용한 선박 동적 거동특성 (Dynamic Behavior Character of Vessel Using DGPS and Motion Sensor)

  • 최철웅;김연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43
    • /
    • 2004
  • 다중빔 음향탐사 시스템(Multibeam Echosounder system : MBES)은 넓은 지역을 소해측량(swath)하여 전자해도 제작, 고정밀 DEM 획득, 동영상 제작 등에 활용하는 최신 수로측량기술이다. MBES의 정확도향상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DGPS와 움직임측정센서(Motion senser)의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박의 동적 거동특성을 연구하였다. DGPS를 선체 전후, 좌우에 설치하여 측량한 GPS 위치 값의 수신정확도는 Roll은 ${\pm}0.0016^{\circ}$, Pitch는 ${\pm}0.0009^{\circ}$로 움직임측정센서 값의 정확도 평가가 가능한 양호한 정도를 얻었다. DGPS와 움직임측정센서의 Heading, Pitch, Roll 상관관계는 모두 정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각 변화량에 따른 편차량의 상관관계는 정상관 관계이나 탐사선의 급회전, 진동 등과 같은 요소에 의해 편차가 발생 될 것으로 사료된다. GPS에 의한 조위변화량, Heave값은 움직임측정센서 값과 유사하며, GPS속도는 설치장소에 따라 변화가 있어 영향이 가장 적은 선박의 중심선에 설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MBES Processor 장치에 입력되는 자이로, 움직임측정센서 값이 DGPS 실시간 관측 값보다 자이로는 15초, Pitch, Roll, Heave는 13초 시간차가 있어 MBES 최종값의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극(京劇) $\ll$독목관(獨木關)$\gg$의 연개소문(淵蓋蘇文) 무대의상(舞台衣裳) 디자인 연구(硏究) - 무대의상(舞台衣裳)의 상징적(象徵的) 의미(意味)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Stage Costume of Yean-GaeSoMoon(Korean) in the Peking Opera <> - Focusing on Symbolic Meaning of Stage Costume -)

  • 신경섭;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2권3호
    • /
    • pp.121-13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new research method of stage costume by designing and making the stage costume of Yean-GaeSoMoon(淵蓋蘇文) in Peking Opera Du Mu Guan (Korean; Dog Mog Guan, 獨木關). The stage costume of Peking Opera was formed on the basis of the Chinese traditional stage costume in the Qing period, however the style of stage costume was beautified the costume of Ming period and here contained the factors of successive costumes. But the stage costume of Peking Opera didn't have the same rank system with real history costume and didn't have demarcation according to period and history. In the stage costume of Peking Opera, the color is cultural language that can inform spectators of sex, age, personality, position of characters. The pattern of decoration also symboled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 of the character. Yean-GaeSoMoon in the play wore green armour (Chinese; ru ying kao 綠硬靠), red pants (Chinese; hong ku 紅褲), red mustache (Chinese; hong ran kou 紅髥口), crown (Chinese; da e zi 大額子), shoes (Chinese; hou di xue 厚底靴) and Xue RenGui wore white armour (Chinese; baikao 白靠), red pants (Chinese; hong ku 紅褲), shoes (Chinese; hou di xue 厚底靴), hat (Chinese; za jin 扎巾). By historical materials, Yean-GaeSoMoon was a nationalist who uphold national sprit and the greatest hero of the age and a charismatic politician who combines literatural arts with military arts. Considering these reviews, defined the thema of his new costumes' image as "the flying bird which has three legs"(三足鳥), the bird which symbolized the sun and immortality in Koguryo fresco. On the basis of this image, presented three types of Yean-GaeSoMoon's stage costume. Yean-GaeSoMoon as the minister in the court wore black gown (Chinese; mang pao 蟒袍) of dargon pattern which symbolizes harisma who opening the heaven. He as the general who directs war wore red mantle (Chinese; dou peng 斗蓬) which symbolizes the blue dragon that soaring into the sky, as the officer who fights the enemy's general wore green armour (Chinese; gai liang jia 改良甲), red pants (Chinese; hong ku 紅褲) which symbolizes the flying Sward that blowing violently. By wearing these stage costumes, the image of Yean-GaeSoMoon could changed from the fierce general of minority race who likes to fight, to the Koguryo general who fights against enemy at the risk of his life for Koguryo's autonomy. Through this study once again we could realized that stage costume played very mportant part In outstnding the characteristic of actor in the Peking Opera.

  • PDF

몰입감 향상을 위한 VR 영상 콘텐츠의 시청각 유도와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al and Auditory Inducement of VR Image Contents and the Inducement Components of for Immersion Improvement)

  • 이랑구;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495-500
    • /
    • 2016
  • 2016년을 기점으로 VR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VR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VR 콘텐츠이다. 사용자의 몰입감과 상호작용을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 제작 기법과 좀 더 다양한 VR 콘텐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VR 콘텐츠 중 VR 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몰입감을 지속할 수 있게 하고 향상할 수 있는 시청각 유도의 구성요소들을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시청각 유도의 올바른 방향성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시청각 유도의 시각적 청각적 구성요소로는 촬영, 편집, 조명, 스티칭, 그래픽, 이펙트, 성우 내레이션, 더빙, 등장인물의 음성, 배경음악 및 효과음 등이 있었고, 다시 기술적 내용적 요소로는 촬영기법, 편집기법, 조명, 스티칭, 그래픽과 이펙트, 사운드 및 효과음, 미장센 중심의 연극적 연출, 등장인물의 대사 및 내레이션, 등장인물과 오브제의 움직임 등으로 나타났으며, 더불어 향후 VR 영상 콘텐츠는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는 시청각적 구성요소들과 함께 기술적 내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통 편금사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재료 특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 of Materials to Restore Traditional Gold Threads)

  • 유지아;김지은;한예빈;이상현;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7-315
    • /
    • 2014
  • 직금직물은 금사를 이용한 섬유공예 기술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온 공예기법이다. 이와 같은 금사 공예 기법은 우리나라의 문헌기록에서 다양하게 기록되고 있으나 영조 9년 문직기의 철폐와 더불어 현재 금사 제작 기술은 단절된 상태이다. 현재까지 이뤄진 전통 금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보존처리를 위한 세척 및 강화 등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전통 금사의 복원과 재현을 위해서는 재료와 제작기법의 규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금사는 금박과 접착제, 배지로 이루어지며 특히 접착제의 경우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사의 각 층을 이루는 재료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문헌과 국외 금사 제작 공방 조사를 토대로 순금 및 가금, 아교 및 옻칠, 다양한 조건의 한지를 선정하여 의사 시료를 제작하였다. 각 재료별 형태적 특성과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금박은 순금, 접착제는 아교, 배지는 도침지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통 금사의 복원과 현대화를 위해서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제작 기법 및 제직 기법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관광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AR)-based Tourism Conten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 이종욱;박현아;박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2-130
    • /
    • 2018
  • 스마트 관광이 활성화됨에 따라서 관광산업에 증강현실을 접목하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증강현실 기반 관광 콘텐츠는 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제작되어 왔기 때문에 산업화에 의해 파괴되거나 변형된 근현대의 유, 무형 문화유산에 대한 체험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현대의 건축물 및 생활사 등을 다양한 인터랙티브 요소를 통해 체험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충무로 AR>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특히 어플리케이션 제작 대상지인 충무로 지역은 196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영화 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고 이에 대한 일반인들의 역사 관광에 대한 니즈가 존재하기에 선정하였다. <충무로 AR>은 '79년 조감독의 하루'라는 시나리오를 토대로 총 5개의 PoI (Point of Interest)를 선정하고 각 지점에서 증강현실 콘텐츠 체험, 과거배경에서 사진찍기, 스탬프 수집의 인터랙티브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충무로 AR>의 현장 설문을 통하여 참가자들이 느끼는 기술적 용이성, 유용성, 만족도 등을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유용성 항목에서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몰입감과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관광에 적용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관광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방향표지 정보제공 방법에 대한 운전자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Driver's Preferences of Prividing Direction Information in Road Signs)

  • 정규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69-76
    • /
    • 2015
  • 최근 빅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정보 분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운전자 특성을 고려한 정보의 활용은 다소 낮은 실정이다. 이중 도로표지는 운전자에게 직접적 영향을 주는 정보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도로표지는 운전자가 목적지까지 원활한 통행이 가능하도록 최적의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내비게이션 사용을 고려한 적정 정보 제공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로표지규칙에서는 도로의 종류나 규모에 관계없이 일정한 규격을 통한 정보제공을 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원활한 행동판단이 가능하도록 도로 안내 정보의 제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도로표지의 시인성 및 판독성을 고려하여 도로의 설계속도별 도로표지에 사용할 수 있는 최소 글자 크기를 도출하였다. 기존 도형식 안내에 대비하여 분할식 안내를 이용한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정보 제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3차원 시뮬레이션 도로 환경을 구축하였고,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순한 평면 교차로에서는 방향 안내 방식이 운전자에게 크게 영향이 없었으나, 복잡한 입체교차로에서는 도형식 안내방식 보다 직관적 안내방식인 분할식 방향 정보 안내가 운전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에 따라, 입체교차로에서의 분할식 정보 제공 형태를 적용한 2차 검증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운전자의 행동 판단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 하였다.

제도법 개선을 위한 저고리 깃 구성의 재고찰 (- The Review of the Collar Consideration of G go-ri to Improve Drafting Method -)

  • 정옥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9-263
    • /
    • 1996
  •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G gori(the traditional Korean jacket)collar, there are differences in form after its completion. In the construction design of the midsection of the gusset as in that of the basic G gori, not only was the positioning of the two sides of the collar not smooth, but also, when the collar strip was attached, there would be an imbalance on one side or the other so that it was difficult to achieve symetry. Therefore in this project, by applying the pattern design of the gusset midsection to that of the collar midsection, not only did attaching the collar and the collar strip create a visual effect by equalizing the lengths of the tow sides, but the construction was also easy. This method of construction introduces the three-dimensional aspect of the human form in its conic, spherical and cylindrical aspects, so that, through schematizing the scientific character of Korea's clothing, its appropriateness is verified. As a matter of fact, since th-ere in no standardization of pattern whether for educational use or for mass-produced clothing, so that even the patterns used in computer-assisted design are execut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personal skill, the reality is that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the quality has not been uniform. For this schematization, inverse calculation of measurements pertaining to the calculation formula and of teaching materials has been referenced. In particular, the partial requlation of the calculation formula pertaining to the basic pattern construction, the method of making the collar midsec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xtreme and mean ratio adjustment can be adjusted for all measurements, thereby providing the establishment of a design criterion and the possibility of the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methods. The production method for the pattern design is as follows: 1) The conic angle for the G gori's girth, length and neck width is fixed at 70 degrees. 2) The radius of the cone is B/2. 3) The calculation formula is B/4 + 1.5cm 4) The armhole formula is B/4, the same as in the basic method. 5) The width formula is B/10. 6) The ratio of the collar junction(width of collar + width of collar strip)to the gusset length is 5:8. 7) The length of the side seam is a length intersecting the armhole line and the conic radius (B/2), that is an arc that exceeds the length of the G gori's midsection; the component ratio of this length to the collar junction is accordingly 13:5. 8) The curve frame length of the back midsection is an arc exceeding B/4(the armhole line). 9) The ratio of the sleeve opening calculation formula to the armhole length is 8:5, forming an arc with the midsection length.

  • PDF

동부아시아 민족복식 색동계보 (Genealogy of the Rainbow Stripe in Ethnic Costumes in East Asia)

  • 조우현;김미진
    • 복식
    • /
    • 제60권4호
    • /
    • pp.113-125
    • /
    • 2010
  • This study is purpose to trace a genealogy of Rainbow stripe in 30 ethnic costumes in East Asia. And with through comparative views between Korean and the other minority that is shown a bilateral relation of rainbow stripe in their costume, we make sure the unique character of rainbow stripe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e stripe in the costumes was generally used on sleeves with 3~6 patches. There were 10 types of methods for making the stripe including sewing. Weaving and sewing with trimming was also frequently used either and the stripe by weaving with multicolored yarns were mostly found in the southern region of china. Black, blue and red were frequently used in the costume as a main color that was contrasted with rainbow stripe and especially, black was mostly used. Korean preferred bright colors as a main color. Contents of the genealogy of the multicolored stripe in ethnic costume in East Asia are followed. The 28 ethnic groups who used the stripe in their dress except Korean, the Mans, Mongo people and Tibetan were loca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East Asia. And the other ethnic groups distributed in the northwest and northeast region of East Asia. The distribution of the rainbow stripe in the costume could be grouped into two sections: the southern region people and Korean-the Mongol people-the Tus- the Zangs group. And the latter group was shown strong relation with the culture of Korean's rainbow stripe costume. 11 ethnic peoples including Korean, the Vis, the Miaos, the Tus, the Mongol people, the Chaoxians, the Zangs, the Lahus, the Jinuos, the Hanis, the Luobas and the Dulongs, were saliently used the stripe in their costume. The stripe in Japanese costume was judged that was not a kind of the rainbow stripe was shown the other ethnic groups, was a color arrangement by layered dress or geometrical pattern. From above, we could recap a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the rainbow stripe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Many colors were used in the stripe and bodies than the other ethnic people and the color was bright. In many cases, a color of patch at the point of armhole was red and Black color was not used in the stripe. The width of patch was a relatively narrow and regular. It has shown that the rainbow stripe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was organized independently.

국내 쌀 가공식품의 개발현황과 당면과제 (Current Status and Recent Subjects of Rice Products Development in Korea)

  • 금준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2년도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09-119
    • /
    • 2002
  • Rice production in Korea began to rise significantly after 1970. Rice is the dominant food in Korea and most of the rice production (about 95%) is consumed as cooked rice. it provides over 4,000Kj of energy per capita per day. Apparent rice availability in 2000, 93.6Kg of milled rice per person annually. The non-allergenic character of rice offers a sound basis for development of products for markets for all age groups. Whole grains are washed rice, coated rice, enriched rice in Korea. Utilization of rice as food can be categorized three categories in Korea; direct food use, processed foods, and brewing. Rice for direct consumption include regular whole grain, precooked rice, brown rice and specialty products such as aseptic cooked rice, retort cooked rice and rice burger. Rice used for processed foods includes that for cereal, soup, baby food, snack, cake, noodle, brown rice tea, and minor unclassified uses. Rice use for brewing is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rice wine. The use of rice for direct food is by for the greatest of the three uses. Although direct food accounts for the largest domestic consumption, a significant quantity of rice is used in processed products. The use of rice by-products as human food should not be over looked. Utilization of by products(rice germ, rice bran) requires a specialized technology. Typical type of rice is black rice. When cooked, black rice gives a black color to cooked rice. Glutinous rice performs specific functions in several commercial products such as dessert, gravis, cake and snack. Rice starch production is quite limited because of the high cost of making of starch. Rice processed products in Korea are occupied small parts of total rice production compared to Japan. Rice cake (Garadog) is the principal from of rice product consumed in Korea. Rice cake and snack is usually prepared from non-glutinous milled by washing, grinding, steaming, cooling and packaging. Rice cake will be continued to be a major rice product in Korea. Rice products represent a means to study variety differences in rice grain quality, since the processing magnifies differences not normally detected from more boiling. Recently, rice processing companies in Korea are about 400 ones which uses rice about 160,000tons. New rice processed products and modified traditional products must be developed and diversified with high quality and processing properties of rice processed products are improved.

  • PDF

한류 문화상품으로써의 아동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lothing Design as a Cultural Korean Wave Product -Focusing on the Production Work)

  • 변미연;백민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85-7493
    • /
    • 2015
  • 한류의 활성화에 따라 한류 관광객을 위한 문화 상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상품들은 연예인 캐릭터의 생활용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용성이 가미된 의류제품의 문화상품은 현저히 그 수가 적다. 특히 아동복과 관련된 문화상품은 거의 개발되지 않았으며, 소수의 상품은 기본 티셔츠에 그래픽 또는 전통한복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인들의 소비 패턴과 한류 문화상품을 적용시켜 볼 때, 한류 문화 상품으로써의 아동복이 개발 된다면 한류의 활성화 및 국내 패션시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류 문화상품으로써의 아동복 디자인을 개발하여 실증적인 연구 결과물을 제시하고자 하며 다음의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한류 문화상품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들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 시점의 한류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함이며 둘째, 디자인 개발을 통한 실물작품을 제작하여 한류 문화 상품 시장에 실증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으로는 선행연구 리뷰 및 질적 연구를 위한 일대일 심층 면접, 시장조사와 작품 개발의 실증적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최종 연구결과물인 4벌의 작품을 통해 소비자 니즈를 만족할 수 있는 한류 문화상품 아동복을 실증적 자료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패션 시장 및 문화상품 시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중국 소비자 니즈 분석을 위한 참고자료로 그 의의가 있다.